에이슬립이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해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 한 침대에서 동시에 취침하도록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이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산하 IT 기업인 리얼라이즈(Realize Innovations)와 업무 협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위한 준비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리얼라이즈는 2000년 소프트뱅크 모바일로 설립됐고 이후 리얼라이즈로 사명을 바꾼 뒤 최근에는 모바일 영역을 넘어 최근 슬립테크 관련 솔루션 라인업을 확대하는 한편 다양한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리얼라이즈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에이슬립이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할 예정이다. 에이슬립 관계자는 "리얼라이즈는 에이슬립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하고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 협업 등을 진행할 것"이라며 "에이슬립의 B2B 서비스와 '슬립루틴' 앱을 연계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에이슬립은 AI 기술을 바탕으로 수면 단계 및 무호흡증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수면다원검사와 스마트 워치 등 글로벌 IT 업체의 수면 측정 기기를 포함한 총 11개 기기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이 논문을 통해 발표됐다. 이 연구는 SCI급 학술지인 'JMIR mHealth and uHealth' 최신
라온피플이 세계 최초로 AI 융합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 라온피플은 최근 코엑스에서 열린 2022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에서 대한민국 11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AI융합 영상진단소프트웨어 라온슬립을 공개하고 성능을 시연했다. 라온슬립은 ‘AI 수면무호흡증 진단 솔루션’으로 두경부 CT 촬영 데이터와 몇 가지 정보만으로 기도 내 기류를 분석하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중증도를 판단하는 2등급의료영상검출 진단소프트웨어다. 인공지능과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진단 기술로 3편의 관련 논문이 SCI급 저널에 등재되고, 세브란스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승인을 획득했다. 특히, 라온슬립은 기존의 수면다원검사 대비 AI를 통한 빠르고 간편한 검사 및 진단이 가능하다. 라온슬립을 도입할 경우 의료기관에서는 수면다원검사를 위한 검사실과 별도의 장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자 또한 상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환자는 내원 및 입원을 통한 수면 없이도 간단한 검사를 통해 진료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하며, 신속한 검사 결과로 의료인의 빠른 의사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