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부, 美와의 경쟁 우위 점하기 위해 AI 기술 사용 확대 모색 바이두와 센스타임 등 중국 기술기업 4곳이 31일 정부 승인을 받아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 챗봇을 공개했다. 이번 승인은 미국과의 경쟁 속에서 중국 당국이 이 기술의 사용 확대를 모색하는 가운데 나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바이두는 이날 성명을 통해 자사 챗봇인 어니봇이 이제 대중에 완전히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바이두는 지난 6월에는 어니봇이 여러 측면에서 챗GPT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센스타임 대변인도 이메일을 통해 자사 챗봇인 센스챗이 이제 모든 사용자에게 완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AI 스타트업인 바이촨(Baichuan)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와 지푸 AI도 정부 승인을 받아 유사한 챗봇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는 미니맥스도 이날 승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중국과학원은 '타이추' 서비스로 승인받았으나 챗봇을 선보이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인터넷 감독 당국인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이 주요 기술기업과 신생기업을 포함해 이 분야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소수의 기업에 대해 승인했다고 전했다.
중국이 AI 활용해 논문 쓰는 경우에 대해 다루는 것은 처음으로 알려져 중국 당국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논문을 쓴 학생의 학위를 박탈하는 법안을 검토한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해당 법안은 전날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제5차 회의 심의 안건으로 제출됐다. 법안에는 도용·위조 신분이나 뇌물을 통해 취득한 학위도 박탈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앞서 2021년 중국 교육부가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취득한 이들을 겨냥해 내놓은 법안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중국에서 AI를 활용해 논문을 쓰는 경우에 대해 다루는 것은 처음이다. 중국에서는 미국 오픈AI의 챗GPT 접근이 공식적으로 차단됐지만 가상사설망(VPN) 등 다른 우회로를 통해 챗GPT에 접속하는 길이 있고 비슷한 유형의 중국 챗봇들도 속속 등장했다. 지난해 11월 챗GPT가 출시되면서 세계적으로 생성형 AI 열풍이 분 가운데 중국 IT 업계도 AI 챗봇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지난 3월 바이두가 AI 챗봇 '어니봇'을 공개한 이후 알리바바는 '퉁이 첸원', 센스타임은 '센스챗'을 발표했다.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다른 빅테크도 저마다 챗GPT 대항마
센스타임 거대 AI 모델 '센스노바' 기반으로 여러 질의에 대한 결과물 선보여 중국 AI 스타트업인 센스타임이 10일 AI 챗봇 '센스챗'을 공개했다고 블룸버그·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센스타임의 공동창업자 쉬리 최고경영자(CEO)는 '센스챗'이 자사의 거대 AI 모델 '센스노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쉬 CEO는 이날 시연회에서 센스챗이 여러 차례 질의·응답을 통해 물고기를 잡는 고양이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센스챗이 컴퓨터 코드를 작성하거나 비전문가 수준의 질문을 영어나 중국어로 받아 이용 가능한 결과물로 번역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도 시연했다. 쉬 CEO는 현재는 인간 프로그래머가 AI 개발에서 약 80%를 담당하지만, 미래에는 역전돼 AI가 개발의 80%를 담당하고 인간은 지시나 다듬기를 위한 나머지 20%의 작업만 맡을 것으로 전망했다. 2014년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출신 탕샤오어우 등이 설립한 센스타임은 미국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이다. 얼굴 인식, 영상 분석,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의 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얼굴 인식 분야에서 세계 정상급의 기술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