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0일 행사서 민간 주도 첨단 전략 기술 및 연계 강조 산업·공장 자동화(FA), 스마트 국방 솔루션 등 ‘피지컬 AI’ 실제 적용 사례 및 미래 비전 제시 마음AI가 이달 30일 ‘피지컬 AI(Physical AI) 정책 세미나’에 참가한다. 이 자리에서 정책 제안, 산업 표준화, 수요 생태계 구축 등을 민간 주도로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펼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AI가 물리적 세계를 인식·이해하며 직접 행동하는 '피지컬 AI'를 대상으로 열린다. 주제는 ‘산업 전반에 미치는 Physical AI의 영향과 AI 정책 방향’이다. 산·학·연·관·정 이해관계가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전환(DX)과 첨단 기술 융합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행사는 디지털병리학회·의료메타버스학회·첨단산업브릿지포럼·한국드론협회·한국로봇산업협회·인천테크노파크·(사)한국피지컬AI협회 등이 주관한다. 마음AI는 이번 세미나에서 (사)한국피지컬AI협회 초대 협회장사로 출범한다. 이 가운데 손병희 마음AI 연구소장은 이 자리에서 ‘Physical AI와 산업’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실제 공간에서 작동하는 인공지능(AI)이 제조·물류·의료·건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을
생성형 AI, AI 비전, AICC, AI 데이터 등 AI 공동 사업 추진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코난테크놀로지와 SK텔레콤(이하 SKT)가 AI 기술 고도화에 뜻을 함께했다. 양사는 지난 2022년 10월 AI 기술협력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앞으로도 함께 협력해 AI 사업을 위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할 계힉이다.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생성형 AI, AI 비전, 인공지능 고객센터(AICC), AI 데이터 등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이사는 “양사 간 공동 사업 기회 발굴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시장 선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코난테크놀로지는 지난해 8월 거대언어모델(LLM) ‘코난 LLM’을 출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대한민국 초거대 AI 출정식에서 AI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합리적 예산 산출·과업 기준 명확화·기존 관행 타파 등 방안 제시 그동안 법령 제도개선·과업심의위원회 출범 등 공공 SW 사업의 합리적이고 정당한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지속돼왔다. 하지만 잦은 과업변경·개발자 근로여건 악화·수익성 저하 등이 공공 SW 사업의 고질적 근본 문제로 지적받고 있다. 이에 사업 내 정당한 문화·환경 조성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이달 13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과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가 각각 주최 및 주관을 맡았다. 토론회는 개회사·축사·발제 발표·주제 토론 등 4가지 과정으로 됐다. 최현택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회장은 “공공 SW 사업은 국가 각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술인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중요한 사업”이라며 “발주사항 불일치·빈번한 과업 변경 등 사업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존재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개회사를 통해 말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공공 SW 사업 환경을 개선하고, 사업 이해관계자가 겪는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 방안이 도출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서는 박찬욱 성결대학교 교수와 김이기 휴고컨설팅그룹 이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