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는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유재석·김회준·이상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 속 깊은 곳의 혈관을 3차원으로 선명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초음파 영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방사선 노출이나 조영제 주사 없이도 정밀한 3D 혈류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 의료 영상의 안전성과 접근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 초음파 검사는 대부분 2차원 단면 영상이기 때문에 장기나 혈관의 전체 형태를 보기 어렵다. 인체 내부 혈관을 입체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조영제 주입이나 CT·MRI 같은 대형 장비가 필요하지만, 조영제는 신장 손상과 알레르기 등 부작용 위험이 있고 검사 비용과 방사선 노출 부담도 크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하고 간편한 3D 초음파 기술에 대한 의료계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기존 3D 초음파 기술은 수천 개의 송수신 채널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센서 구조로 인해 장비가 크고 가격이 높다는 한계가 있었다. DGIST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채널 수를 크게 줄인 ‘행-열 방식 배열(RCA)’ 구조를 도입했다. RCA 방식은 하드웨어가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신호 감도와 영상 품질이 떨어지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보호 대책 연구 일환으로 가상 임상시험이 가능한 인체모델과 영장류 모델을 개발, 데이터 댐에 공개했다고 밝혔다. ▲ETRI 연구진이 동국대 의대와 공동으로 개발한 여성 전신 모델의 해부 구조물을 관찰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하는 데이터는 전자파 관련 연구는 물론, 방사능과 같은 타 분야의 가상 생체실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인체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임상 연구의 어려움과 한계를 다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이 공개한 데이터는 ▲성인 남·녀 전신 모델 ▲머리 모델 ▲영장류 모델 세 가지다. 남성과 여성 전신 모델 세트는 각 100여 개의 신체 기관 및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모델 활용 시 전자파 노출되는 신체 부위별 체온 변화, 전자파흡수율 등을 관찰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1mm 이하의 간격(0.2x0.2 mm2)으로 인체 정밀 해부하는 영상을 기반으로 모델링 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연구진은 180여 개 구조물로 이루어진 영장류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 전자파 흡수율(SAR)에 따른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할 계획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