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냅소프트는 전자공시 기반 AI 기업정보 서비스 ‘DartPoint AI’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DartPoint AI는 사이냅소프트의 ‘사이냅 DU LLM’을 기반으로 DART 전자공시 서비스에 등록된 기업 정보를 인공지능이 분석,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기업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주식 투자, 취업 준비, 기업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기업의 개요, 재무 정보, 직원 수, 주주 현황, 건전성 분석 등을 그래프와 표로 시각화해 직관적인 이해를 돕는다. 또한, 공시정보 특화 LLM 어시스턴트를 제공해 다차원적인 질문과 분석도 가능하다. 답변 생성에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공시 보고서에서 정보를 찾아 분석하고 답변과 함께 근거 자료를 제시해 답변의 신뢰성을 높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기능은 재무제표 및 주요 보고서 내 표를 엑셀로 저장하는 기능이다. 공시 보고서의 표 형태 정보를 엑셀로 변환하는 작업은 기업 분석에 필수적이지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DartPoint AI의 엑셀
사이냅소프트가 19일 코스닥에 입성했다. 회사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사업화 및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더욱 속도를 높여 디지털 문서 산업의 선두주자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사이냅소프트는 지난 25년간 디지털 문서 활용 분야를 주력으로 삼성, SK, 현대, LG 등 주요 대기업을 포함한 7000개 이상의 민간 기업과 80%의 정부기관 점유율을 확보하며 디지털 문서 산업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최근 정부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투자 확대를 기회로 기존 제품에 SaaS를 더해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 대한 서비스를 한층 더 고도화하며 성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사이냅소프트는 기업의 디지털 문서 활용을 위한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에 필수적인 디지털 자산화를 지원하는 ‘도큐애널라이저’를 출시하며 사업화에 성공했다. 또한 금융, 법률, 특허,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식 활용에 최적화된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사이냅 DU LLM’을 개발 중이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디지털 문서 활용 분야에서 사이냅소프트는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사업성을 갖춘 기업이라 자부한다”며 “
사이냅소프트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일반청약을 완료했다. 사이냅소프트는 8일부터 진행된 일반청약 결과 60.466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약 건수는 4만9828건, 청약 수량은 1526만7540주다. 주문액 절반을 미리 납부하는 증거금은 약 1870억 원으로 집계됐다. 상장 예정일은 오는 19일로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2075개 기관이 참여해 참여기관 중 92%가 밴드 상단 이상의 금액을 제시하며 2만45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 사이냅소프트는 디지털 문서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집중하면서 최근에는 디지털 자산화를 지원하는 ‘도큐애널라이저’를 출시해 사업화에 성공했다. 더불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DART) 보고서에 자체 거대언어모델 솔루션 ‘사이냅 DU LLM’을 활용한 특화된 일반인 대상 기업정보 서비스를 올해 안에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이냅 DU LLM은 금융, 법률, 특허, 정책 등에 최적화된 LLM 활용을 제공한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사이냅소프트의 성장 가치를 믿고 투자한 모든 투자자에게 감사드린다”며 “인공지능 전환 시대를 기회로 AI 기술에 대한 적극적 투자와 S
“솔루션에 인공지능 기술 이식해 수익구조 다각화할 것” 사이냅소프트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에 통과했다. 이로써 상장 초기 작업에 돌입했다. 사이냅소프트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문서 기술 업체다. 그동안 축적한 문서 디지털화, 문서 구조 분석 등에 대한 노하우를 활용해 각종 국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한 바 있다. 특히 지난 5월 출시한 문서 구조 분석 솔루션 ‘도큐애널라이저’를 통해 각 기업이 진행한 AI 전환 과정에서 디지털 자산화에 기여했다. 현재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사이냅 DU LLM)’을 개발하고 있다. 사이냅소프트는 향후 코스닥 상장으로 확보되는 자금을 활용해 AI 기술을 디지털 문서 솔루션에 이식하겠다는 로드맵을 설계했다. 이와 함께 모든 솔루션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전환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에 AI 기술을 적용해 기술 확장과 신규 사업 발굴을 노리고 있다”며 “이 밖에도 솔루션의 SaaS 전환을 확대해 수익구조를 다각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