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 상품에 가장 적정한 크기의 박스 제작과 매칭 방법' 특허 2건 출원 넓은 창고, 많은 인력·큰 장비에서 '지식재산권'으로…물류기업 핵심역량 변화 CJ대한통운이 물류관련 지식재산권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물류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역량이 기존 넓은 창고나 많은 인력, 큰 장비, 경험 기반에서 첨단기술과 알고리즘 등 무형의 자산기반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CJ대한통운은 최근 이커머스 풀필먼트 센터 운영 최적화 관련 알고리즘 특허 2건을 출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출원한 특허는 '주문별 적정 박스 크기 산출 알고리즘'과 '최적 박스 규격 선정 알고리즘' 등이다. 주문별 적정 박스 크기 산출 알고리즘은 고객의 주문에 맞춰 상품에 가장 적정한 크기의 박스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특허다.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3개월간 소비자들이 주문한 상품의 종류와 수량을 바탕으로 112억 가지 경우의 수를 조합해 주문별로 최적화된 박스 크기를 찾아냈다. 최적 박스 규격 선정 알고리즘은 상품이 풀필먼트 센터에 입고될 때 측정된 모든 상품의 크기와 부피 등 체적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이에 기반해 고객이 주문한 여러 상품들의 체적을 계산한다.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빅테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특성에 맞는 신제품 개발에 나섰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빅데이터 협업 플랫폼인 'DI 360' 성과 보고회를 열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업무 문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고 2월 13일 밝혔다. DI 360은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2020년 빅데이터 기업인 미국 팰런티어 테크놀로지스와 공동 개발해 오픈한 빅데이터 협업 플랫폼이다. 사내 부문별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통합해 한 번에 빠르게 분석하고 공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DI 360으로 분석된 데이터를 생산성 향상, 재고 관리 시스템 구축, 신제품 개발 등에 활용했다. 각 지역에 분산된 장비들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고객은 연비를, 북미 고객은 엔진 스피드를, 유럽 고객은 엔진 출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내 고객의 경우 엔진 출력을 스탠더드(표준)로 놓고 작업을 하지만, 북미 고객의 경우 연비보다도 엔진 출력과 스피드를 높여 작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고객은 북미 고객과 특성이 유사했지만, 빠른 작업을 위해 높은 엔진 스피드까지 설정하지는 않았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유럽지역에 판매한 21톤 휠굴착기의 절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