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생성형 AI, 금융·보험업에 가장 영향력 커...업스킬링 강화해야
대한상공회의소,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향후 금융·보험업이나 과학·기술 서비스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마이크로소프트(MS), 글로벌 IT·공공정책 컨설팅 그룹 액세스파트너십과 함께 이런 내용이 담긴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펴냈다고 28일 밝혔다. 산업 부문별 생성형 AI의 업무 활동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금융·보험업이 10.1%로 가장 높았다. 이는 금융·보험업의 경우 전체 업무영역의 10분의 1가량이 생성형 AI 적용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다. 이어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생성형 AI가 업무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다고 보고서는 예측했다. 보고서는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더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생성형 AI는 한국에서도 상당수 근로자의 업무수행 방식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보고서는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67%가 업무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