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지난 27일 기업 고객 보안 담당자를 대상으로 보안 전략 세미나 안랩 ISF 스퀘어(AhnLab ISF SQUARE 2024 for Enterprise)를 성료했다. 안랩 ISF 스퀘어는 다양한 산업군 고객 대상으로 열리는 고객 맞춤형 보안 전략 세미나로, 이번 행사에서 ‘최신 보안 위협 동향 및 위협 인텔리전스 활용 방안’, ‘골프존 안랩 XDR 구축 사례’ 등 실제적인 조직 보안 강화 전략과 솔루션 사례를 발표했다. 양하영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 실장은 최신 보안 동향을 주제로 ‘취약점 공격’, ‘랜섬웨어’, ‘피싱’ 등 안랩이 분석한 최신 사이버 위협 사례와 자사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를 활용한 대응 방안을 소개했다. 양하영 실장은 “효과적인 보안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최신 위협 정보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안랩 TIP는 고객사 맞춤형 위협 인텔리전스를 제공해 다양한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김정훈 골프존 정보보안팀 팀장은 SaaS형 보안 위협 분석 플랫폼 안랩 XDR 도입 배경과 운영 노하우를 발표했다. 김정훈 팀장은 “안랩 XDR로 사내 다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 및 탐지 이벤트를 연계
킨드릴이 AWS와 공동으로 진행한 글로벌 조사 ‘사이버 게이지(Cyber Gauge) 2024: 복잡한 사이버 보안 환경의 탐색’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기업이 인식하는 사이버 보안 준비 수준과 실제 준비 상태 사이 격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에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강력한 사이버 레질리언스 전략의 필요성을 전했다. 조사에 따르면, 94%의 조직이 사이버 공격 대응 준비가 되어 있다고 느끼지만 71%가 향후 1년 내 재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에 킨드릴은 사이버 위협에 대한 인식 개선과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을 다루는 강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조사에서 밝힌 기업이 당면한 사이버 보안 문제로는 IT 리더의 52%가 국가 주도 공격이나 생성형 AI 공격 등 새로운 위협에 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보안 확보 및 보안 솔루션 운영의 복잡성 관리가 뒤이은 주요 우려 사항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대규모 기업의 54%가 IT 시스템 또는 데이터가 중단을 초래하는 사이버 공격을 겪었으며, 이 중 61%는 4회 이상 공격을 받았다. 69%의 응답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