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474억원·사우디 676억원 등 고압 전력기기 계약 글로벌 에너지 공급난에 유럽·중동 등 전력 인프라 투자 분위기 확산 현대중공업그룹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현대일렉트릭은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잇따라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대일렉트릭은 영국 전력회사인 ‘내셔널그리드’와 400kV급 초고압 변압기 7대, 275kV급 변압기 1대 등 총 474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현지 시간으로 6일 영국 내셔널그리드 본사에서 열린 계약식에는 현대일렉트릭 조석 대표와 내셔널그리드 마크 브래클리 구매 본부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에 수주한 변압기는 내셔널그리드가 영국 내에서 운영하는 변전소 5곳에 2024년부터 설치될 예정이다. 올해 영국은 유례없는 폭염으로 전력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발전 가동률이 떨어져 전력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에너지 공급난이 우려되면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내 주요 국가들이 노후 전력설비와 송전망 교체 등 전력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망 확충에 필요한 초고압 변압기와 고압차단기 등 현대일렉트릭의 주력 제품군에 대한 발
대한전선은 호주에서 진행된 ‘Powering Sydney’s Future(PSF)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무리하고, 현지 시각으로 20일 오전 10시에 열 준공 기념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념식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사업 수행과 정상 운전을 축하하기 위해 발주처인 트랜스그리드가 마련한 자리로, 뉴사우스웨일즈의 비콘스필드에 위치한 변전소에서 약 2시간 동안 진행됐다. PSF 프로젝트는 향후 수십 년 동안 시드니 도심과 주변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지중 전략망을 새롭게 구축하는 난이도 높은 사업으로, 뉴사우스웨일즈의 송전 전력청인 트랜스그리드가 수년간 공들여 준비한 프로젝트다. 대한전선은 2019년 12월에 수주를 확정하고, 2020년 8월부터 올 6월까지 약 22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다. 호주에서 가장 높은 전압인 330kV급 전력망의 ▲설계 ▲자재 납품 ▲시공 ▲상업 운전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풀 턴키 방식으로, 총 수주 규모가 1400억원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나형균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어려운 환경에서도 철저한 프로젝트 관리를 통해 대규모 사업을 기일 내에 안정적으로 수행해 낸 만큼, 앞으로 호주에
"실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도심지에서 대규모 토목공사 없이 친환경적인 전력 설비를 갖출 수 있다" 한국전력은 24일 경기도 파주시 선유 변전소에서 '23kV 초전도 플랫폼 실증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파주시 문산 변전소와 선유 변전소 간에 초전도 스테이션을 신설하고 영하 200도 이하로 유지되는 초전도 케이블로 연결해 인근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한전은 "이번 사업은 도심지에 기존 변전소의 10분 1 수준인 소규모 초전도 스테이션을 설치한 뒤 외곽의 변전소와 23kV 초전도 케이블을 지중(地中)으로 연결해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세계 최초로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전도 기술은 물질을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면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워지는 초전도 현상을 이용하는 기술로, 이를 활용하면 에너지 손실이 적은 에너지 송신과 통신이 가능하다. 현재는 도심지에 대규모 변전소를 건설해 도심 외곽 변전소와 여러 회선의 전선으로 연결한 뒤 주변압기로 변압 후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이중호 한전 전력연구원장은 "실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도심지에서 대규모 토목공사 없이 친환경적인 전력 설비
여의시스템이 지난 5월 18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2022에 참가해 MOXA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컴퓨팅 솔루션을 선보였다. 한국전기기술인협회가 주최한 이번 전시회는 4차 산업혁명 이후 세계 각국의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환경 정책 동향과 주목받는 에너지 신산업 등을 고려해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다양하게 선보였다. 여의시스템가 선보인 MOXA의 솔루션은 체계화한 스마트 그리드 시설을 구축한다. 한 예로, MOXA는 넓은 지역에 분포된 장치를 손쉽게 관리하고 SCADA 시스템 및 운영자 제어 장치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과 원활하게 통합하는 산업 표준 기반 통신 및 컴퓨팅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에 MOXA는 대규모 태양광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통신 솔루션, IEC 61850 네트워크 이중화 및 SCADA 컴퓨팅 솔루션, 전력의 고가용성을 위한 견고한 통신 네트워크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 52GW 이상의 태양 에너지를 모니터링하며, 7500여개 이상의 변전소 성공 사례 등을 보유하고 있다. 변전소 시스템 내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MOXA 솔루션은 완벽한 이중화를 위한 PRP·HSR, SNMP·MMS 전력 SCADA 통합 네
Moxa가 파타야의 스마트 시티 전환을 위해 전기 인프라를 스마트 그리드로 구현하고자, 태국의 지역전력당국(PEA)과 EPC(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서비스의 대표 엔지니어링 계약업체인 이탈타이 엔지니어링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PEA는 변전소의 디지털 업그레이드를 통해 태국 정부의 에너지 4.0 계획에 따라 에너지 전환을 주도함으로써 태국의 경제적 성공에 기여하고 아세안 내 국가 간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변환의 핵심은 전력 공급을 개선하고 정전 시 불안정한 전압 공급을 최소화 하기 위한 파타야 변전소의 디지털 업그레이드이다. 현재 파타야는 태국의 주요 경제 구역인 EEC(동부 경제 회랑)의 첨단 제조 부문을 확장하고, 부흥하는 관광 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갖췄다. 태국은 저탄소 경제 개발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재생 에너지원 채택을 강조하고 있는 데, 파타야가 스마트 변전소의 디지털 전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범 도시가 됐다. 99%의 태국 국민에게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PEA의 Pongsakorn Yuthagovit 부총재는 "디지털 변전소의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고 유지 관리하려면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며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가 변전소에 탁월한 이중화, 보안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GridTime 3000 GNSS 타임 서버를 출시했다. GridTime 3000 시스템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 시스템을 동기화하기 위해 정확한 타이밍 및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이 타이밍 플랫폼은 악천후, 환경적 교란, 신호 재밍(jamming) 및 스푸핑(spoofing)으로 인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신호 중단 상황에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타이밍 입력 값을 통합한다. 또한, 홀드오버 지속 시간 연장 및 성능 향상을 위해 기본 전압 제어 온도 보상형 크리스탈 오실레이터(VCTCXO), 고성능 오븐 제어 크리스탈 오실레이터(OCXO), 루비듐 오실레이터 등 세 단계의 내부 홀드오버 옵션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칩의 최신 정밀 타임 서버는 변전소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산업 표준 IEC 61850의 환경 구성 요소인 IEC 61850-3을 준수한다. 또한, 변전소에 대한 국제 환경 및 테스트 요건 표준인 IEEE 1613-2009를 준수한다. 이러한 표준 준수는 전기 과도현상뿐만 아니
[헬로티]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ALTS) ‘아스코(ASCO) 7000’시리즈를 출시했다. 아스코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자회사이자, 국내 CTTS(무정전절체스위치) 부문 대표 기업이다. ALTS는 변전소로부터 들어오는 22.9kV 전압을 수용가에서 이중으로 수용하여 주전원의 정전이나 전압강하 발생 시 신속히 예비 변전소전원으로 절체(순간전환)하는 특고압 스위치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자회사인 아스코가 새롭게 출시한 제품은 무정전 절체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 아스코(ASCO) 7000 시리즈 주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또는 반대로 절체를 하는 경우 약 400ms의 순간 정전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운영자 입장에서는 특별히 문제가 없는 경우 한번 설치된 ALTS에 대한 절체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지보수 관리도 정기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정전이 발생하거나, 한전의 예비 정전 통보 시에 ALT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번에 출시된 무정전 ALTS를 도입하면 언제든지 운영자가 수동으로 절체버튼을 조작해 양 전원 사이에서 무정전으로 절
[첨단 헬로티] LS전선(대표 명노현)이 지난 6월 4일, 국내외 전력청과 플랜트 등을 대상으로 전력망 운영 컨설팅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국내 최초 전력 계통 전체에 대한 종합 컨설팅 서비스다. 이 컨설팅 사업이 이뤄질 경우 발전소와 변전소, 또는 변전소간 송전 선로와 플랜트의 전력망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전력망은 국가 안보와도 관련된 핵심 인프라”라며, “국내외 전력청과 대규모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전력망의 안정적인 운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 서비스는 선로의 이상 방전을 감시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부분 방전 진단, 케이블의 온도를 점검하여 화재를 막는 과열 진단, 공사 등 외부의 기계적 충격을 감지하여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외상/진동 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LS전선은 향후 산업별 전력 사용 패턴과 전력망 설치 환경에 따른 케이블의 내구 연한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 좀 더 정밀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ABB는 세계 최대 화학 회사 중 하나인 LG화학의 폴란드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변전소 공급사로 선정됐다. 변전소는 그리드와 공장의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특히 고도로 자동화된 설비의 경우, 에너지 안보를 위해 올바른 운영이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에 문제 발생시 높은 비용을 수반하는 운영정지를 야기할 수 있다핵심 장비에는 안전하고 신뢰되는 전력 공급을 위한 변압기, 피뢰기, 가스 절연 개폐장치가 포함된다. 브로츠와프 인근 코비에르지체에 있는 신규 자동차 배터리 공장은 연간 250,000대 이상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 가능 규모이며,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LG화학의 폴란드 공장은 전극에서 셀, 모듈과 팩까지 모든 배터리 부품을 생산하는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대 규모의 리튬 이온 배터리 공장이다. ABB 파워 그리드 사업본부 그리드 통합 사업부 총괄 패트릭 프래그만은 “해당 변전소 솔루션은 ABB 전문지식, 동종 최상의 제품 및 시스템 통합 역량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좋은 예시”라며, “ABB는 지속가능한 운송에 대해 헌신과 노력을 기
[첨단 헬로티] 캘리포니아에서 총 2200만달러 규모 배전용 케이블 프로젝트 수주...500kV 등 초고압에 이어 배전용 프로젝트도 수주,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최진용)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배전용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2건 연이어 수주했다고 밝혔다. 두 프로젝트 모두 캘리포니아 지역 내의 노후한 전력망을 보수하고 교체하기 위해 배전용 케이블을 납품하는 건이다. 수주 금액은 각각 1800만달러, 400만달러로 배전용 케이블 프로젝트로서는 상당히 큰 규모다. 후속 공사도 예상되고 있어, 지속적으로 수주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배전 케이블은 전력을 분배하여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한 용도의 케이블로 전력을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 보내는 송전 케이블과는 구분된다. 중·저압(MV/LV)의 케이블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현지 업체와의 가격 및 기술 경쟁이 치열해 해외 시장에서 수주가 쉽지 않은 제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대한전선은 미국 시장에서 다수의 초고압 케이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쌓아온 성과와 신뢰가 이번 수주의 바탕이 되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대한전선은 올해 초 선지아 500kV 초고압 프로젝트를 수주한 데 이어 샌디애고와 동부 플로리다에서 각
변전소란 무엇인가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기를 경제적으로 소비지에 보내려면 송전 전압을 차례로 올릴 필요가 있다. 또 소비지에서의 안전을 위해서는 낮은 전압으로 차례로 내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송배전 선로의 적당한 장소에 전압을 바꾸는 변전소가 설치된다. 발전소에서 전압을 바꾸려면 <그림 1>과 같이 변압기를 이용한다. ▲ 그림 1. 전압을 바꾸는 배전용 변전소(예) 발전소의 전압을 구분하는 방법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10~20kV)를 송전하기 위해 고전압(154kV, 275kV, 500kV)으로 하는 송전용 발전소와 소비지 주변에서 전압을 내리는 1차 변전소(77kV), 전압을 더욱 낮추는 2차 변전소(22kV, 33kV), 배전선에 보내기 위한 배전용 변전소(6.6kV) 등이 있다. 배전용 변전소에서 6600V의 전압으로 떨어진 전기는 <그림 3>과 같이 배전선을 통해 일반 빌딩이나 공장 등으로 직접 보내지는 외에 전주에 부착된 주상 변압기에 의해 200V나 100V의 사용하기 쉬운 전압으로 낮춰져 주택이나 상점, 소규모 고장 등에 배급된다. 이와 같이 배전선이란 배전용 변전소에서 주택이나 상점, 공장으로 보내는 전선로를 말하며,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공사(사장직무대행 김시호)는 지난 5일(월)부터 18일(일)까지 설 연휴 기간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설비 특별점검을 시행한다. 이번 점검은 경영진 및 본사 주요 부서장 주관으로 전력분야 국가안전대진단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특히, 다중이용시설이 있는 복합변전소(47개소)의 화재 취약설비를 중점적으로 점검하여 전력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한전은 설 연휴 기간 비상근무 및 보고체계를 강화하여 불시 정전에 대비한 비상대응 태세를 구축 운영함. 아울러, 설 연휴 기간에도 고객센터(☏123)와 ‘스마트한전’ 앱을 운영하여 전기관련 민원에 24시간 응대할 예정이다. 한편, 한전은 전국에 산재한 송전선로 2,810회선, 변전소 839개소, 배전선로 10,367회선 등 전체 전력공급설비뿐만 아니라 통신보안설비 및 대형공사장까지 전력분야 전반에 결처 2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전력분야 국가안전대진단을 시행 중이다. 특히 국가안전대진단 실효성 제고를 위해 화재취약시설 집중점검, 첨단장비 기술을 활용한 설비점검을 집중 추진하며, 정부 방침에 따라 안전점검 실명제, 국민참여 확대, 점검결과 대국민 공개를 추진할 예
[첨단 헬로티] 한전 전력연구원(원장 배성환)은 변전소 등 전력관련 시설물과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보강 지진감쇠장치'를 개발했다. 국내에서 규모 3.0 이상의 지진 발생 횟수가 2010년 이전 연평균 3회에서 최근 10.6회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변전소 등 전력 시설물은 지진재해대책법에 따라 규모 6.6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진안전성을 확보해야 함. 따라서 내진성능이 부족한 기존 건물의 경우 새로운 벽이나 기둥의 설치와 보강,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장치의 추가설치 등을 통해 건물의 내진성능을 보강해야 한다. 전력연구원이 개발한 ‘내진보강 지진감쇠장치’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진이 발생할 때 건물에 전달되는 수평 방향의 힘을 장치 내부의 철제 기둥이 흡수하여 건물 내진성능을 87% 이상 향상시킨다. 기존 전력 시설물 또는 건축물 내부에 내진보강이 어려운 경우 ‘내진보강 지진감쇠장치’를 건물 외부에 볼트만으로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 및 현장 적용성을 높인다. ‘내진보강 지진감쇠장치’의 강성과 지진 감쇠력을 국내외의 다양한 내진설계기준에 맞춰 설치할 수 있어,
한국전력(사장 조환익) 지난 16일 부탄 수도 팀푸 현지에서 부탄전력청(BPC) 겜 세링 (Gem Tshering) 청장과 2560만 달러(약 300억 원) 규모의 “지능형 변전소 EPC 사업”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번 사업은 부탄 산업단지 인근의 노후한 220㎸ 옥외 변전소를 한국형 디지털 자동제어, 감시시스템 등을 적용한 콤팩트 지능형 옥내변전소로 교체하는 것으로 2018년 준공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 설치될 주요 기자재는 국내 제작사로부터 공급되어 약 140억원 상당의 수출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며, 2008년도부터 부탄 현지에서 네트워크를 다져 온 국내 중소기업(우선E&C)과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실현한 모범 사례다. 한전은 송배전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2001년 이후 카자흐스탄, 인도, 도미니카 등 23개국에서 1억 7천만 달러(1,930억 원)의 송배전망 건설·컨설팅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현재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캄보디아 등 13개국에서 총 4,000만 달러 규모의 송배전사업을 수행중이다. 한전 조환익 사장은 &ld
LS산전이 이라크에 구축되는 신도시의 전력 인프라 사업자로 선정, 글로벌 시장에서 단일 계약으로선 사상 최대인 1억 4700만 달러(한화 약 1604억원) 규모의 GIS(가스절연개폐장치) 변전소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LS산전은 지난 5월10일, 한화건설이 추진하는 이라크 비스마야 뉴 시티 프로젝트(이하 BNCP)의 GIS 변전소 기자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BNCP는 이라크 NIC(N국가투자위원회)가 발주한 신도시 단지 조성 프로젝트로, 총 사업비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원)를 투입해 오는 2019년 완공된다. 한화건설이 추진하는 이 사업은 바그다드에서 약 10km 떨어진 비스마야에 여의도의 약 6배 크기인 1,830ha 규모로 구축, 10만 가구에 60만 명이 거주하게 될 계획이다. LS산전은 BNCP에 있어 전력 인프라를 책임지게 될 GIS 변전소 기자재 공급 계약을 1억 4700만 달러에 체결, 해외 사업 중 단일 계약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을 수주했다. 계약 기간은 총 48개월이며, 비스마야 지역 전력 공급을 담당할 132kV 변전소 2개, 132kV 중계 변전소 6개, 33kV 배전 변전소 24개 등 GIS 변전소 솔루션 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