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내수·서비스업 호조지만 수출·제조업 부진해 경기 회복 주춤" 반도체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8월 산업생산이 두 달째 감소했다. 다만 소비와 투자는 증가로 전환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8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4(2015년=100)로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5월(0.7%)과 6월(0.8%) 증가했으나 7월(-0.3%) 감소로 돌아섰고 8월까지 두 달 연속 줄었다. 제조업 생산(-1.6%)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1.8% 감소한 영향이다. 특히 반도체 생산 감소 폭이 컸다. 반도체 생산은 전월보다 14.2% 줄어 7월(-3.5%)에 이어 두 달째 하락했다. 반도체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도 1.7% 줄었는데, 반도체 생산이 전년 동월보다 감소한 것은 2018년 1월(-1.7%) 이후 4년 7개월 만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는 중국 봉쇄 조치 여파 등으로 수출이 정체하고 있고 세계 경제 둔화 우려로 정보기술(IT) 수요도 줄어 출하가 좋지 않고 재고가 쌓이면서 생산이 감소하는 양상"이라며 "반도체 업황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뿐
[첨단 헬로티] 최근 글로벌 경기가 침체되고 경쟁국의 거센 추격으로 수출 둔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수출을 주도했던 반도체 분야의 수출 증가세가 꺾이면서 앞으로의 시장 변화를 전망하는 보고서가 발표돼 주목된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반도체 업종 전문가들이 바라본 2019년 반도체 경기 전망’ 보고서가 그것으로, 이 보고서에서는 최근 국내외 반도체 관련 지표들의 급속한 하향세로 반도체 경기 부진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본격적인 불황 국면에 진입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산업연구원 민성환 연구위원은 “대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점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 경제와 산업에서 중요도가 매우 큰 반도체 업종의 경기 변화도 보다 면밀히 주시하면서 관련 대응책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간 기술 융합 등을 통해서 여러 주력 업종들과의 동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정부 당국의 지원과 유관 기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반도체산업 중요도 ↑…경기 부진 우려 높아 반도체 수출은 지난 2018년 우리나라 수
[첨단 헬로티] 반도체 산업의 서버 도입 증가와 클라우드 사업자의 IT 인프라 확대가 서버 시장 성장을 주도하면서 지난해 1조 5천 억원 규모를 형성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는 최근 발간한 2018년 국내 서버 시장 보고서에서 2018년 국내 서버 시장 매출이 1조 5,441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5.7%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성장의 원인이 반도체 제조업의 생산량 증가에 따른 반도체 생산 라인 증설과 R&D 고도화, 그리고 대기업 및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IT 인프라 투자 증가로 분석했다. 서버 종류별 매출액은 x86 서버가 16.1% 성장한 1조 2,881억원, non-x86서버는 13.6% 성장한 2,560억원을 기록했다. IDC는 x86 서버를 벤더가 직접 제공하는 OEM서버와 사용자에 의한 주문형 서버인 ODM 서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 OEM 서버는 국내 서버시장에 여전히 높은 비중을 보이며 2018년 x86 서버 총 매출의 85.3%를 차지했다. 2018년 국내 x86 OEM 서버 시장은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