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월보다 2.9% 증가한 63조원…"새해에도 강세 지속 예상" 세계 반도체 매출이 15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지난해 11월 한 달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이 480억 달러(약 63조 원)로 전월의 466억 달러보다 2.9% 증가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특히 전년 동월인 2022년 11월 매출 456억 달러에 비해서도 5.3%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인 것은 2022년 8월 이후 처음이며, 전월 대비로는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이다. 존 뉴퍼 SIA 회장은 "11월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것은 새해에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강세를 지속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올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IA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작년 연간 세계 반도체 매출은 5,200억 달러(약 683조 원)로 전년보다 9.4% 감소하지만 올해 매출은 5,884억 달러(약 772조 원)를 기록해 지난해보다 13.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지역별로는 중국(7.6%), 아
세계 반도체 시장의 업황이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올해 2분기 세계 반도체 매출이 1245억 달러(약 162조4000억 원)로 전 분기보다 4.7% 증가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17.3% 감소한 것이다. 이와 함께 6월 한 달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415억 달러(약 54조1000억 원)로 전월 대비 1.7% 늘어났다. 이는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3월과 4월은 각각 0.3% 늘어났으며, 이후 지난 5월과 지난달은 각각 1.7%가 증가하는 등 매출 확대 폭이 커지고 있다. 존 뉴퍼 SIA 회장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지난해 동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6월 매출이 4개월 연속 증가했고, 분기 매출도 전 분기 대비 견조하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흐름은 시장이 하반기에도 반등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로는 미주(4.2%), 중국(3.2%), 일본(0.9%), 유럽(0.1%)지역이 전월 대비 매출이 늘었지만, 아시아·태평양/기타(-0.5%) 지역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서는 유럽(7.6%)지역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미국 정부의 추가적인 대 중국 수출 통제 조치에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중국 반도체 업체들도 협회 차원의 우려 표명으로 호응에 나섰다. 중국반도체산업협회(CSIA)는 19일 성명에서 "미국 정부는 최근 몇 년 동안 제한 조치를 잇따라 내놔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화와 세계 공급망 안정을 파괴했다"며 "이는 세계 소비자의 이익을 해칠 수밖에 없고, 미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도 약하게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CSIA는 "수십 년 동안 반도체 산업이 지속해서 혁신·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세계 주요 국가 산업 주체의 협력과 글로벌 분업 덕분"이라며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시장으로서 글로벌 파트너에 80% 이상의 시장을 제공하며 공급망을 지탱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반도체 산업 글로벌화가 무너지면 세계 경제에 엄중한 악영향이 생길 것"이라며 "미국 반도체 산업을 포함한 글로벌 인사들의 광범위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개방과 협력을 시종일관 견지하고, 세계 각국에서 협력을 원하는 업계 사람들과 함께 반도체 산업 글로벌화를 지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인텔, IBM, 퀄
세계 반도체 산업 월별 매출 3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세계 반도체 시장의 업황 개선 조짐이 보이고 있다. "바닥이 지났다"는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최근 홈페이지에서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5월 매출이 407억 달러를 기록해 전월의 400억 달러에 비해 1.7%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월별 매출은 3개월 연속 증가했는데, 상승 폭은 3월과 4월의 각각 0.3%보다 확대됐다. 하지만 5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의 517억 달러보다는 여전히 21.1% 하락한 수치다. SIA의 존 뉴퍼 회장은 홈페이지에서 "시장이 계속 부진하지만, 반도체 매출이 3개월 연속 늘면서 올해 하반기 시장에 대한 낙관론을 불렀다"고 말했다. 뉴퍼 회장은 지난달에는 "올해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두 자릿수 하락을 기록한 후 내년에 강한 반등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 월별 지역적 매출의 경우 전 지역에서 소폭 늘어, 중국 3.9%를 비롯해 유럽 2.0%, 아시아·태평양/기타 1.3%, 일본 0.4%, 미주 0.1% 각각 증가했다. SIA는 이 같은 반도체 월간 매출은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가 집계한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TSMC는 10일 올해
3월에 전달보다 0.3% 늘어…1분기는 전년대비 21.3% 감소 세계 반도체 매출이 10개월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현지시간)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1195억 달러(약 158조 원)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는 8.7%,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1.3% 줄어든 수치다. 하지만 3월에 국한한 매출액은 앞선 2월보다 0.3% 늘었다. 10개월 만에 전월 대비 기준으로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유럽(2.7%), 아시아태평양 및 기타(2.6%), 중국(1.2%)은 상승했지만, 일본(-1.1%), 미주(-3.5%)는 월간 기준 감소세를 나타냈다. 존 뉴퍼 SIA 회장은 "1분기 매출은 시장 사이클과 거시경제 역풍에 따라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월별 기준으로는 거의 1년 만에 올랐다"며 "몇 달 안에 업황이 반등할 수 있다는 낙관론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최근 삼성전자의 하반기 반도체 부문 실적 개선을 예상하는 등 반도체기업들의 실적 호전에 대한 기대가 나오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헬로티] 미국 정계와 관련 업계가 조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반도체 산업 투자 확대를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업계와 화상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반도체 굴기'에 대한 공개 견제를 선언한 것과 조응해서다. ▲출처 : 백악관 여야를 아우르는 70명 이상의 미 상·하원 의원은 1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 내 반도체 공급난 해소를 위해 반도체 연구와 생산을 지원하는 펀드를 조성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최소한 의회에 제출한 수준의 반도체 산업 지원을 고려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공산당은 공격적으로 반도체 공급 체인에 투자하고 있다. 반도체 생산 보조금으로 1천500억 달러(약 169조 원)를 쏟아붓고, 1조4천억 달러(약 1천575조 원)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한다"며 반도체 산업 지원이 국가 안보적 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500억 달러(약 56조 원) 규모의 반도체 지원을 포함해 2조2천500억달러(2천530조 원) 규모의 인프라 예산을 의회에 제출한 바 있
[헬로티] 화웨이 수출하는 미 전자기업들 면허 신청 다수 반려 계획...국무부는 중국·홍콩 관리 6명 추가 제재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정권 교체 직전까지 중국에 대한 제재의 끝을 바짝 조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17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등 화웨이(華爲)에 부품을 수출하는 미국 전자·통신기업의 수출 면허를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출처:연합뉴스)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반도체산업협회는 지난 15일 상무부로부터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에 대한 미국 반도체기업들의 수출 면허 신청을 다수 반려하겠다는 뜻을 전달받았다. 로이터의 한 소식통은 4개 기업에서 최소 8개의 수출 면허가 이미 취소됐다고 말했다. 면허 취소 기업에는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인텔이 포함됐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미 상무부는 지난 2019년 화웨이에 반도체 등 부품과 장비를 공급하려면 사전에 수출 면허를 취득하도록 하는 규제를 도입하는 등 중국의 통신·전자기업에 대한 제재 수위를 계속 끌어올려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에 대한 책임을 물어 중국과 홍콩의 관리 6명에 대한 추가 제재도 발표했다.· 미 국무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