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전환(AX)이 기존의 전공·자격 중심의 산업 교육 질서를 흔들고 있다. 기업은 로봇을 ‘만드는 방법’보다 ‘쓰는 법’, 즉 현장 과업을 세분화한 기술 단위의 학습을 원하고, 교육 주체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데이터를 한데 통합한 실습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드러내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는 로봇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개발자 등으로 수요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향후 협동 로봇(코봇), 자율주행로봇(AMR), 비전(Vision), 엔드이펙터(End-effector) 등을 통합하는 역량과 인공지능(AI) 활용 및 이해 능력(Literacy)이 로봇계 인재의 기본 소양이 될 전망이다. 업계는 교육 과정에서 과목보다 필요한 요소를 바로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낸다. 현장 문제를 하나씩 떼 세분화된 과제로 만들고, 로봇을 직접 가동하며 데이터 모으고, 간단한 AI 모델을 얹어 결과를 확인하는 식의 주장이다. 이때 과제 결과와 실습 기록이 이력서보다 힘을 가져야 하고, 특정 장비에 한정되지 않는 역량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한다. 이 과정에서 표준 인터페이스와 개방형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다루는 능력이
학·연 네트워크 구축 통한 인재양성 상호협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과 목원대학교가 KISTI 대전본원에서 과학기술데이터 인프라 확산과 미래인재양성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KISTI는 4차 산업 혁신기술 인재양성을 위해 KISTI가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데이터, 슈퍼컴퓨터, 초고속연구망, 기술사업화 플랫폼 등 데이터 인프라에 대한 공동 활용과 학술활동, 교육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KISTI와 목원대 간 업무협약은 대전 소재 출연(연)과 대학 간의 상호교류라는 관점에서 지역인재 발굴 및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 기관은 ▲학술 활동 및 인재 양성 등을 위한 과학기술데이터 인프라 공동 활용 ▲4차 산업 등 혁신 기술의 사업화 전문 인력 양성 관련 사업 추진에 관한 공동협력 ▲우수 인재 육성을 위한 공동 교육과정, 인턴십, 멘토링 개발 및 운영 ▲양 기관 보유 기술사업화 관련 데이터, 기술, 프로그램 등의 공동 활용 등의 분야에서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KISTI와 목원대의 이번 상호협력이 학·연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미래 주도 우수 인력 양성의 좋은 계기가 되기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