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B의 레이저 드릴링 또는 레이저 마킹과 같은 넓은 영역에서 고밀도 구조물을 가공하려면 높은 정밀도와 처리량이 필수적이다. 다축 포지셔닝 시스템과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조합은 산업 생산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다. syncAXIS의 PI XY 스테이지와 XL SCAN 방식의 excelliSCAN 갈바노미터 스캔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넓은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유휴 시간을 방지하고 스티칭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스테이지의 이동 범위에 따라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은 정확도, 스폿 크기 및 성능 측면에서 광학을 고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XY갈바노미터 스캐너를 갖춘 SCANLAB의 excelliSCAN 스캔 시스템이 레이저 빔을 제어한다. 높은 기하학적 특성과 빠른 속도의 XY리니어 모터 스테이지는 작업물을 포지셔닝하며 정밀도와 안정성을 위한 석정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EtherCAT 기반의 ACS Motion Control 솔루션으로 제어할 수 있고 프로세스 레벨에서 모션, 스캐너 및 레이저 제어를 통합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 XL SCAN 방법을 사용하면 작업물 모션 시스템, 스캐너 및 레이저 변조를 동시에
[헬로티] 힐셔, netX 90 멀티 프로토콜 네트워크 칩을 위한 새로운 모션 제어 기능 출시 힐셔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공장 및 공정 제어 시스템과 조립 및 패키징, 로보틱스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모터 제어 기능을 갖춘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인 '넷모션(netMOTION)'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힐셔가 개발한 펌웨어 구성 통신 솔루션 'netMOTION' 개발자는 넷모션을 사용해 실시간 이더넷 연결과 범용 모터 및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 솔루션으로 구현할 수 있어 설계를 간소화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펌웨어 구성 솔루션으로 여러 실시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힐셔의 오랜 전략은 새로운 넷모션 솔루션을 통해 모션 제어 영역까지 확장됐다. 일반적으로 모션 및 모터 제어 시스템을 위한 칩 솔루션은 실시간 이더넷 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힐셔의 netX 90 멀티 프로토콜 네트워크 칩은 넷모션을 이용해 산업용 통신과 다목적 모션 제어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한다. 이를 통해 설계 부담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지원 필드 장치 애플리케
[헬로티] “더욱 확장된 EtherCAT 성능으로 까다로운 작업도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겠다.” 백오프 오토메이션은 PC 기반 제어시스템 기술과 다양한 제품군을 갖추고 있는 통합 자동화 시스템 회사이다. 백호프가 공급하는 제품들은 개별적 또는 전체적인 통합 자동화 시스템의 일부로 기계 및 전체 생산 공장을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백호프 코리아의 김정남 과장은 코로나 바이러스 상황에서 이와 같은 제품은 기계 및 설비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장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고 말한다. ▲ 백호프 코리아 김정남 과장 Q. 주력하고 있는 사업은. A. 백호프 오토메이션은 IPC, I/O, 모션,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군은 백호프f에서 제공하는 TwinCAT 플랫폼을 통해 하나의 원활한 제어시스템 기술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개방형 프로토콜인 EtherCAT을 개발한 백호프는 필드 레벨의 완벽한 통신 능력을 제공하는 한편,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외 시장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많은
[헬로티] ABB는 현장 작업자의 경험을 디지털화하고 현장과 제어실 운영 간 의사소통을 향상시켜주는 혁신적인 증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ABB 측에 따르면 현장 작업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특별히 개발된 이 기술은 현장과 플랜트 분산 제어 시스템의 완벽하게 통합하고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사람으로 인한 오류 위험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현장 작업을 지원한다고 한다. 조사 보고에 따르면 산업계 운전정지 원인 중 20% 이상이 사람의 실수에 기인한다. ABB Ability Augmented Field Procedures(증강 현장작업절차서)는 수작업 진행 시 일관성을 유지, 작업 절차 및 현장에서 유지 보수 기술의 표준화, 현장과 제어실 통합 강화하며, 아울러 디지털 메모 기능으로 운영 관련 지식을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다. 기존의 서면 기반 작업 절차와 달리, 휴대용 기기를 사용한 양방향 대화방식 진행으로 작업자는 이 기술을 통해 각 단계별 일관되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방식으로 안내를 받는다. ABB 에너지 산업 부문 디지털 총괄 크리스 넌하이머는 “엔지니어가 데이터를 이용하고 해석하는 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며, “
[첨단 헬로티] ABB는 Relion 시리즈인 디지털 스위치기어의 보호 및 제어 계전기 계열의 신제품을 지난 11월8일부터 9일까지 진행한 DA On the Road 행사에서 국내 첫선을 보였다. 오랜 기술혁신의 산물인 REX640은 자유로운 구성이 가능한 다기능 계전기로서 사용자 맞춤 설계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 REX640 REX640은 동일한 장치로 다양한 유틸리티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고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연하고 다양한 경제적인 보호 솔루션을 보장한다. 요컨대, REX640은 보호 및 제어 장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모듈성과 확장성을 통해 완벽한 사용자 맞춤설계가 가능하고, 제품 수명 주기 동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REX640은 변화하는 보호 관련 요구 사항에 대해 항시 적용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해 지속적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REX640은 최상의 자산 관리를 제공한다. ABB의 배전 솔루션 사업부 총괄 알레산드로 페일린은 "REX640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솔루션 도입을 위해 수 많은 사람들의 땀과 열정이 만
[첨단 헬로티] 지능형 빌딩 블록 및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하는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가 3월28일부터 30일까지 열리는 오토메이션월드 2018에 참가해 IIoT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비전, 모션, T&M 솔루션 등을 전시한다. 에이디링크는 다양하고 수직화된 시장에서 IoT를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를 포함한 최신 IoT 기술 스마트 팩토리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예정이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시되는 지능형 데이터 추출 시스템 DEX-100은 광학적 문자 판독(OCR)을 활용하여 레거시 PC 기반의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수집 및 처리하며, 기존의 분산된 데이터 추출 방식을 모든 타입의 PC 기반 머신을 위한 솔루션으로 통합했다. 또한 회전 기계 및 장비를 위한 머신 상태 모니터링 에지 플랫폼 MCM-100은 높은 정확성과 빠른 샘플링 속도로 24시간 데이터 수집 및 진동 측정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최신 Neon 스마트 카메라를 활용한 슬롯 카 검사 비전 데모와 비전이 통합된 자동 컨트롤 EtherCAT 모션 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에이디링크의 Test & Measurement 파트너인 제이와이텍 코
3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Automation World 2016'에 참가하는 엠씨테크는 모션 솔루션 전문업체이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이는 주요 제품은 ‘바람소리’ 시리즈이다. 기존 펄스 방식을 간편하게 통신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한 제품들이다. 또한 RS-232/422/485, 캔오픈(CANopen), 이더넷/IP 등의 통신 지원과 볼 스크루(Ball screw), 감속기, 브레이크 결합 등 다양한 기구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엠씨테크의 한 관계자는 “모든 것은 자세에 달려있다는 사훈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항상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PLCopen은 모션 제어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방하고 표준화하자는 운동으로써 30년 전 유럽을 시작으로 현재 일본, 중국까지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은 2013년에 PLCopen 코리아를 결성, 정부 지원 하에 표준 지향 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KOSMOS) 기반 범용 모션 제어기 개발에 나섰다. 지난 7월3일, PLCopen 코리아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전자부품연구원 정일균 책임연구원이 발표한 ‘생산자동화를 위한 표준지향 KOSMOS 기반 범용 모션 제어기 개발’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 정일균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 생산자동화를 위한 표준 지향 KOSMOS(한국형 오픈소스 모션 플랫폼) 기반 범용 모션 제어기 개발 과제는 정부 지원으로 현재 시작 단계이다. 수행 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총 36개월이며, 주관 기관인 전자부품연구원을 비롯해 하이젠모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융복합기술연구조합, 두림로보틱스, 신성에프에이가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목표는 PLCopen 표준을 지향하면서 개방성을 가진 오픈소스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있다. PLCopen은 IE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한국 NI)는 지난 6월24일(부산)과 6월30일(대전) 행사에 이어 7월8일 서울에서 '연구개발자와 산업엔지니어를 위한 측정제어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한국NI는 측정제어 심포지엄에서 최신 기술 트렌드인 산업용 IoT 시대에서 연구개발자와 산업엔지니어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공개할 예정이다. 테크놀로지 트랙에서는 측정의 기초인 센서의 원리와 활용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측정 이론과 더불어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상황마다 적합한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는 축적된 노하우, 다채널 대형 시스템 구축 방법, IoT 첫걸음인 LabVIEW를 활용한 통신 기반의 시스템 통합, 전수 검사를 위한 비전 측정 및 영상 처리 기법도 공개한다. 애플리케이션 트랙에서는 모듈형 측정․제어 플랫폼의 데모 시연을 통해, 데이터로거, 소음진동 분석, HMI, 모션, 비전 등의 구현방법을 직접 보여준다. 또한 기존에 PC, PLC 등으로 공장자동화 및 산업용 장비제어를 구현한 경우에는 단일 플랫폼으로 유연하게 구축하는 방법과 생산성을 극대화시켜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하는 방법을 선보인다. 한국NI 관계자는 “산업용 IoT 시대에 측정의 단계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