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활용기술 및 AI 예지정비 솔루션 ‘Konan PHM on cloud’ 공개할 예정 코난테크놀로지(이하 코난)가 오는 26일부터 29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기술 박람회 ‘MWC 2024'에 참가한다. 코난은 SK텔레콤과 함께 AI 파트너로서 2년 연속 참가한다. 지난해 유무인 복합전투를 지원하는 ‘AI 파일럿’과 대용량 영상처리 AI 솔루션 ‘코난 와처’를 선보였다면, 올해는 지능형CCTV 인증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활용기술 및 AI 예지정비 솔루션 ‘Konan PHM on cloud’를 관람객에게 소개하며 진화한 비전AI 기술력을 알린다. 코난은 먼저 육안으로 찾기 어려운 구조요청자를 빠르게 탐지해 구조업무를 돕는 AI 솔루션을 소개한다. 앞서 코난은 실종자를 수색하는 지능형 CCTV 이동형(실종자) 분야에서 성능 시험, 인증을 국내 최초로 통과했다. 이동형 CCTV, 곧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종자 탐지 및 인식 등 재난안전 분야에 적용해 고도의 실외 환경에서는 물론 악조건의 실내 구조 현장에서도 사람과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디지털 트윈 기반 고장진단 및 수명예측 솔루션 ‘Konan PHM’도 시연
무협, '국내외 기업 디지털 전환 대응 역량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유럽과 미국 기업에 비해 한 단계 이상 뒤처져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디지털 전환 수준을 '준비 중', '도입 시작', '적용 중', '정착', '활발히 진행 중' 다섯 단계로 나눠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기업은 해외 기업에 비해 디지털 전환 수준이 1∼1.5단계 뒤처진 것으로 분석됐다고 31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국내 기업 515개사와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참가한 해외 기업 12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해외 기업은 디지털 전환 단계가 정착(36.6%), 적용 중(27.6%), 활발히 진행 중(23.6%)이라는 응답이 많은 반면 국내 기업은 적용 중(39.8%), 도입 시작(26.0%), 준비 중(22.9%)이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응답한 국내 기업은 3.5%에 불과했다. 무협은 또 디지털 전환 진행 단계를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음', '시작은 했으나 진행이 더딘 편', '보통', '어느 정도 진행', '매우 잘 진행' 5개로 구분해 설문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시대를 개척하는 디지털 전환(DX) 파트너 디지코 KT'를 주제로 참가 KT는 오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분야 세계 최대 박람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에서 전시관을 열고 '디지코 KT'로 대변되는 디지털 전환 성과를 전 세계에 소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전시 주제는 '디지털 시대를 개척하는 디지털 전환(DX) 파트너 디지코 KT'로, 전시관은 개최지인 스페인의 대항해 시대 선박과 KT스튜디오지니가 공동제작한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활용된 고래 모티브를 차용해 마련됐다. KT는 또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공동 전시 공간인 '인더스트리 시티'에 전시관을 마련하고 DX 플랫폼, DX 영역확장, DX 기술선도 등 세 가지 테마를 선보인다. DX 플랫폼에서는 인공지능(AI) 연구 포털인 '지니랩스'와 AI 반도체 개발을 협력 중인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제작기술 등을 소개한다. 또한 모빌리티 분야에서 물류센터 효율화 솔루션·플랫폼, 자율주행 기술을 전시하고, 금융(BC카드)과 미디어(kt스튜디오지니) 등 디지코 서비스를 소개할 예정이다. DX 기술선도 영역에서는 냉·온장이 가능한 배송 로봇 실물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KOTRA가 롯데하이마트와 함께 이달 7일부터 20일까지 ‘2021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출품된 국내 중소·스타트업 상품을 체험할 수 있는 ‘2021 혁신상품 체험관’을 운영한다. 서울 송파구 소재 롯데하이마트 월드타워점 내부에 96m2(약 30평) 규모로 별도 부스를 조성해, 올해 MWC의 KOTRA 통합한국관 참가한 10개 기업의 14개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MWC는 세계 최대 규모 모바일 전시회 중 하나로 손꼽힌다. 올해는 6월 28일(현지시각)부터 7월 1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온·온프라인 통합 방식으로 진행됐다. KOTRA는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4개 기관과 함께 온·오프라인 통합한국관을 운영했으며, 국내기업 64곳이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우수 중소·스타트업에 판로 확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KOTRA와 롯데하이마트는 MWC 2021 통합 한국관 참가기업들을 중심으로 사전 참가 신청을 받아 상품기획자(MD) 심사를 통해 제품들을 선정했다. 행사 기간, 체험관에 제품을 선보이는 우리 기업들은 롯데하이마트 MD들과 함께 입점을 논의할 예정이다. 소비자는 ‘펫존(Pet Zo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9일(현지시간) 위성 기반 인터넷·통신 서비스인 스타링크에 200억∼300억 달러(약 22조6300억 원∼33조9500억 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1' 연설을 통해 스타링크가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머스크는 또 현재 6만9000명인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 가입자가 1년 안에 5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오는 8월에 극지방을 제외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화상 연설을 한 머스크는 스타링크에 2개의 대형 통신회사 파트너가 있다면서 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속도 차이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가 만든 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의 사업으로 저궤도 소형위성 1만2000개를 쏘아 올려 지구 전역에서 이용 가능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페이스X는 지난달 스타링크의 첫 번째 궤도 위성망 구축작업을 마무리했다. 스페이스X는 '
헬로티 서재창 기자 | MWC는 세계 3대 IT 전시회 중 하나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1(Mobile World Congress 2021, 이하 MWC)가 28일(현지시간 기준)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모바일 올림픽'으로 불리는 MWC는 매년 10만 명 이상 방문객을 불러 모으는 대형 행사로 1987년부터 격년마다 바르셀로나에서 열려왔으나, 지난해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일정이 지연돼 올해 개최하게 됐다. MWC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참여는 어려울 전망이다. KT와 삼성전자에 이어 SK텔레콤도 최근 MWC에 불참하기로 했다. 앞서 구글, 노키아, 에릭슨, 소니, 오라클 등 해외 주요 ICT 기업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여행 제한에 따라 올해 MWC에 불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주최 측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이하 GSMA)는 이번 행사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게 됐음을 밝히며, 행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쏟아내고 있다. 6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총 4일간 열리게 될 행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온오프라인 개최 강행, 성패 여부는 어디에? MWC 2021 주제는 '커넥티드 임팩트(Connected
[첨단 헬로티] 화웨이와 겔젠키르헨시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2019)에서 스마트 도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겔젠키르헨시와 화웨이 테크놀러지는 독일의 겔젠키르헨시에서 시민, 관광객 및 사업체에 정부 서비스를 제공할 스마트 도시 플랫폼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그 첫 단계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OpenAir Innovation Lab을 만드는 것이다. ▲화웨이와 겔젠키르헨시가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스마트 도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시민, 사업체 및 관광객을 위한 스마트 도시 쇼케이스 ▲겔젠키르헨과 겔젠키르헨의 파트너들을 위한 스마트 도시 쇼케이스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을 위한 시험대 ▲지역의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플랫폼을 확장할 허브 이는 스마트 도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화된 공동 플랫폼을 구축할 제안된 접근법을 증명하고, 더불어 가시성이 높은 공공 스마트 도시 서비스를 시행하고 검증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파트너들이 각자의 전문지식을 발휘하는 디지털 도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화웨이는 겔젠키르헨시를 위한
[첨단 헬로티] 베트남 최대의 모바일망 통신사 Viettel 그룹이 2019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어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할 세 가지 새로운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현재 어부들은 예측 불가능한 날씨와 복잡한 국제 어업법을 포함해 현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Viettel은 자사의 기술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이들 어부가 S-추적 장치(S-Tracking Device), 자동식별시스템(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HF 통신 트랜시버(HF Communication Transceiver)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Viettel이 2019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어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할 세 가지 새로운 기술 솔루션을 공개했다. S-추적 장치는 잠재적인 위험에 당면한 어선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한편, 어부들이 악천후를 피할 수 있도록 기상 상황의 최신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선박의 실시간 데이터를 기록해서 기본 시간마다 전송함으로써 선박이 제한 구역에 들어갈 경우 선원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어부들에게 전달되는 모든 경고 메시지는 기밀로 취급된다. 한편, 자동
[첨단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오는 26일부터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이동통신 산업 전시회인‘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참가, 공동연구기관과 해외 마케팅을 추진한다. ETRI는 이번 전시회에 5G기가서비스, 초연결통신, SW·콘텐츠 기술 등 총 8가지 최신 융합 ICT를 선보인다. 연구원은 먼저 5G기가서비스 관련기술로 ▲소형셀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MHN) ▲초고속 근접통신 기술인 징(Zing) 등 5G와 관련된 4개의 기술을 전시한다. 아울러 초연결통신 분야에서 신뢰 기반 모바일 클라우드 접속 및 데이터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TCC(Trustworthy Controllable Cloud)’기술을 전시한다. 또 SW·콘텐츠 기술로 ▲대화형 영어학습 기술인 지니튜터(Genie Tutor) ▲모바일 언터랙티브 증강현실(AR) 체험 기술 ▲K-Star 3D 가상현실(AR) 실감체험 기술을 선보인다. ETRI는 이번 전시회에 ㈜스텔스솔루션, ㈜포스링크, ㈜에이치앤비트, ㈜애니펜, ㈜유니토엔터테인먼트,
[첨단 헬로티] 퀄컴 테크놀로지는 KT, 삼성전자와 함께 최근 3GPP 릴리즈15(Rel.15) NSA(Non-Standalone) 5G NR(New Radio) 규격에 기반한 멀티 벤더 상호 호환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해당 시험은 KT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3.5 GHz 및 28 GHz 대역에서 실시간 OTA(over-the-air) 상호 호환 데이터 연결로 시연했으며, 삼성의 상용화 전단계 5G NR 기지국과 퀄컴 테크놀로지의 5G NR 단말기(UE) 프로토타입을 활용했다. 이번 상호 호환성 시험은 2018년 중에 진행될 5G NR 시범 서비스를 위한 핵심 이정표 중 하나로 2019년 중 예정된 5G NR 상용망 구축 및 멀티모드 스마트폰의 적기 출시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5G NR 시범 서비스는 삼성전자 수원 연구소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되었으며, 멀티 기가비트 다운링크 속도와 1000분의 1초 수준의 지연시간을 기록했다. 이러한 광케이블급 속도와 저지연성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같이 모바일 광대역이 필요한 신기능을 비롯해 산업용 서비스·자율주행·드론 등을 지원할 수 있는 고신뢰성과 저지연성을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