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로 전기를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는 해수전지 상용화를 위한 값싼 촉매 물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목재 폐기물에 요소를 첨가해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촉매는 해수전지에 걸리는 과전압을 낮추고 전기를 빠르게 꺼내 쓸 수 있게 반응 속도를 높여 주는 물질이다. 기존에는 백금과 같은 고가의 물질을 촉매로 썼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저렴한 리그닌과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 리그닌은 목재의 15∼35%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종이를 만드는 공정이나 바이오 연료 생산 과정에서 남는 부산물이다. 산업 폐수에 주로 있는 요소는 질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다. 리그닌을 800도에서 태운 뒤 요소와 같은 온도에서 반응시키면 리그닌 구석구석 질소가 첨가돼 고성능 촉매가 만들어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리그닌을 구성하는 특정 탄소 원자 자리에 대신 들어간 질소는 방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이 촉매를 해수전지 전극에 입혀 실험한 결과 백금 촉매와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과전압은 백금 촉매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과전압이 낮을수록 충전시킨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버려진 나무를 원료로 친환경 접착용 수지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6월 9일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목재로 펄프를 만들 때 생기는 부산물에서 추출되는 고분자화합물인 '리그닌( (Lignin·목질소)'을 원료로 친환경 접착용 수지 '리그닌 수지'를 개발했다. 현재 리그닌은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제조 공정 과정에서 폐기된다. 석유화학 원료와 비교하면 생산 공정상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고, 유독성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원료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바이오매스(생물자원) 연구를 기반으로 2년여의 실험 끝에 기존 석유화학 원료를 대체할 리그닌 수지를 개발했다. 리그닌이 접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나 다른 물질과 쉽게 섞이지 않는 화학적 결합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기존 페놀수지 생산 노하우를 적용해 개발에 성공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김천2공장의 기존 수지 설비를 활용해 리그닌 수지를 생산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판매를 목표로 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최근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인 'PBAT',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를 사용한 'PCR PET 필름'을 개발·상용화한 데 이어 리그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