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테크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 자사 레이저 라벨 기술에 친환경성을 부여한 제품을 전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투테크는 2003년에 출범한 이후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경험을 갖췄다. 레이저를 이용한 라벨 중간층 인쇄 기술을 통해 한국·미국·유럽·일본 등에서 특허를 취득했고, 레이저 라벨은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전시장에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 ’TTE-72FK‘와 레이저 오토 라벨러를 선보인다. 이 중 TTE-72FK 리본을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 인쇄 기술로, PET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환경친화적 기능을 장착했다
PCB의 레이저 드릴링 또는 레이저 마킹과 같은 넓은 영역에서 고밀도 구조물을 가공하려면 높은 정밀도와 처리량이 필수적이다. 다축 포지셔닝 시스템과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조합은 산업 생산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다. syncAXIS의 PI XY 스테이지와 XL SCAN 방식의 excelliSCAN 갈바노미터 스캔 시스템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넓은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유휴 시간을 방지하고 스티칭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스테이지의 이동 범위에 따라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은 정확도, 스폿 크기 및 성능 측면에서 광학을 고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XY갈바노미터 스캐너를 갖춘 SCANLAB의 excelliSCAN 스캔 시스템이 레이저 빔을 제어한다. 높은 기하학적 특성과 빠른 속도의 XY리니어 모터 스테이지는 작업물을 포지셔닝하며 정밀도와 안정성을 위한 석정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EtherCAT 기반의 ACS Motion Control 솔루션으로 제어할 수 있고 프로세스 레벨에서 모션, 스캐너 및 레이저 제어를 통합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 XL SCAN 방법을 사용하면 작업물 모션 시스템, 스캐너 및 레이저 변조를 동시에
레이저발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데이터로직의 최신 레이저 마커 제품군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레이저발코리아가 선보인 AREX 450은 화이버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부품 마킹 어플리케이션 전용 레이저 마커 제품군이다. 화이버 레이저 기술은 광범위한 반복 주파수에서 레이저 펄스 지속 시간을 적용할 수 있워 더 높은 수준의 변수 유연성을 제공한다. 데이터로직은 자동 데이터 캡처 및 공장 자동화 시장의 글로벌 기술 리더로서 바코드 판독기, 모바일 컴퓨터, 감지, 측정 및 안전용 센서, 비전 및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설계 및 생산의 전문화된 기업이다. 데이터로직의 첨단 솔루션은 전체 가치 사슬에서 유통, 제조, 운송 및 물류 및 의료 산업의 프로세스 효율 및 품질
비디오젯 박영돈 대표 인터뷰 비디오젯은 1960년대에 설립돼 오늘날까지 고품질의 인쇄 및 마킹 장비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글로벌 회사다.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마킹 시스템, 열전사 프린터 및 라벨링 장비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비디오젯의 마킹 장비는 대부분의 제품에 생산 일자, 유통 기한 등 제품 정보와 바코드 등을 인쇄할 수 있는데, 현재까지 중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 현지 법인을 통해 325,000대 이상의 장비를 설치했다. 최근 3개월 동안에도 본사의 Global Commercial VP, Global President 등 주요 임원진이 한국을 방문하는 등, 비디오젯은 한국을 단순히 수많은 아시아 국가 중 하나가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는 주요 국가 중 하나로 보고 있다. 비디오젯코리아의 모기업인 다나허 그룹은 한국에 진출한 다양한 계열사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시너지를 확대하기 위해 작년 1월 다나허코리아를 출범시켰다. 다나허 그룹은 연 매출 300억 달러, 시가 총액 20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기업으로, 한국에는 생명공학, 진단, 환경, 응용 솔루션 등 분야의 16개 계열사를 두고 있다. Q. 한국 시장
날짜 코드 마킹에서 PET 경량화의 영향에 대한 평가 가벼운 음료용기로 음료병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는 직접적인 재료 및 운송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 기술보고서는 경량화된 용기가 레이저 마킹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선명하고 읽기 쉬운 레이저 코드 마킹을 위해 새로운 정보를 제시한다. PET 용기에 레이저 마킹 생수와 탄산음료 생산업체가 주도하는음료 산업은 소비재 포장 업계에서 리더 역할을 하며 극적인 경량화 혁신을 계속하고 있다. 최신 “초박형” 폴리에틸렌 테라프타레이트(PET)병은 전에 사용되던 병보다 50% 얇고 가볍다. 이는 마킹에 어떤 영향을 줄까? Videojet의 잉크 기반 코드는 이전의 두꺼운 포장 디자인에 인쇄할 때 만큼이나 얇은 용기에 인쇄할 때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PET병의 경량화가 연속식 잉크젯 기술로 코드를 적용할 때도 큰 영향은 없다. 하지만 레이저 마킹기의 경우,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얇은 면은 기존의 레이저가 PET를 태워 구멍을 뚫을 위험성도 있었다. 이 상태에 병을 화물 빠레트나 소매 선반에 쌓아올리면 병이 터지거나 내용물이 샐 수 있다. Videojet은 생수업체가 초경량 PET용기를 처음 개발할 때 병이 뚫릴 위험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