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W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닐 제튼 인터폴 사이버범죄국장이 경기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본사를 방문했다. 닐 제튼 국장의 취임을 계기로 양사는 이번 만남을 통해 S2W와 인터폴 간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고도화되는 글로벌 사이버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공조 방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인터폴의 S2W 본사 방문은 지난 2022년에 이어 두 번째다. S2W는 2020년 인터폴 파트너사로 선정된 후, 고도의 지식그래프 기술로 딥다크웹과 텔레그램 등 다양한 히든 채널에서 수집된 정보 간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추론한 데이터를 제공해 ‘클롭’, ‘콘티’ 같은 대규모 랜섬웨어 조직을 검거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제33회 파리 올림픽 기간에 인터폴 합동수사팀(JTF)에 올림픽 관련 위협 분석 정보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날 S2W는 글로벌 사이버범죄 수사 효율성을 높일 ‘자비스’의 새로운 인공지능 기능 ‘다크챗’을 소개했다. 닐 제튼 인터폴 사이버범죄국장은 “지난 수년간 다양한 사이버범죄 데이터 분석에 수준 높은 인텔리전스를 제공해 왔다”며 “향후 S2W와 인텔리전스 기술 협력을 강화해 국제사회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조치를 이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
S2W가 금융 시장의 다양한 보안 위협 동향과 대응책을 담은 금융 보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S2W 금융 보안 TF는 지난달 공개한 첫 보고서에서 피싱 페이지, 사칭 앱 등 국내 금융사를 사칭한 금융 사기 사례와 보안 위협을 다뤘다. 이번에 발표한 보고서는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해커와 국내외 기업 데이터 탈취에 초점을 맞췄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금융권을 노리는 딥다크웹 내 위협 포스팅은 연평균 약 85% 상승했다. 다크웹과 텔레그램 등 다양한 채널로 금융권 위협 정보가 거래되고 있으며, 다크웹상에서는 브리치포럼에서 활동 유저 규모가 가장 크다고 밝혔다. 금융 위협 인텔리전스 하이라이트 챕터에서는 S2W의 위협 인텔리전스 센터가 분석한 해커 인텔브로커를 프로파일링해 최근 해당 유저가 금융권에서 일으킨 데이터 탈취 사례를 소개했다. 주요 금융 기관과 파트너십 관계인 미국 회사의 데이터 유출 사고로, US 은행의 고객 데이터 약 270만 건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S2W는 해당 챕터에서 데이터 탈취형 악성코드를 ‘스틸러(Stealer)’로 명명해 위험도를 자체적으로 평가했다. 2023년 이후 다크웹 포럼 및 텔레그램 채널에서 활동 중인 상위 6종 스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