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입액이 환율 상승 여파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ICT 수출액은 2개월 연속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8월 ICT 수입은 135억2000만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18.7% 증가했다. 이는 1996년 ICT 수출입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치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ICT 수입액 급증의 가장 큰 원인으로 환율 급등을 꼽았다. 7월 말 1299.1원이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9일 1350.4원으로 급등하며 13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입이 67억2000만달러로 26.1% 급증했고 휴대전화도 9억9000만달러로 29.6% 늘었다. 디스플레이는 4억1000만달러로 16.3% 증가했지만 컴퓨터·주변기기는 13억2000만달러로 5.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대만 ICT 제품 수입이 20억2000만달러로 31.9% 급증했고 베트남도 13억7000만달러로 30.3% 증가했다. 일본은 10억8000만달러로 14.7% 늘었다. 우리나라의 8월 ICT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4.6% 감소한 193억1억달러를 기록했다. ICT 수출이 두
[헬로티] 과거 글로벌 교역 위기에 비해 회복 빨라...수출 증가세도 가장 가파르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우리나라의 4월 수출이 41.1%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지난 2011년 1월 이후로 10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출 증가율을 달성했다. 이로써 우리 수출은 작년 11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산업부가 4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4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1.4% 증가한 511.9억 달러, 수입은 33.9% 증가한 508억 달러, 무역수지는 3.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15대 주력 품목에서 모두 증가를 이뤘고, 그중 14개는 2개월 이상 연속 증가했다. 지난 달 소폭 감소했던 디스플레이는 2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중국, 미국, EU, 아세안 등 4대 시장으로의 수출은 모두 30% 이상 증가했고 일본, 중동으로 향하는 수출도 이번 달에는 플러스를 기록했다. 3월 수출액이 올해 처음으로 500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이번달에도 50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호조세를 지속했다. 산업부는 두 달 연속으로 수출액이 500억 달러를 넘어선 기록은 연수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8
[헬로티] 1월에 이어, 2월에도 전년 동월대비 역대 2번째 높은 수출액 달성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은 수출 증가, 컴퓨터·주변기기는 감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52.8억 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11.5%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산업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이 152.8억 달러, 수입이 91.9억 달러, 무역수지가 60.9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부는 지난달 수출액이 역대 2월 수출액 중 2번째로 높은 수출 실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국가별로는 중국(홍콩포함, 13.6%↑), 미국(6.7%↑), 유럽연합(14.0%↑) 등에서 수출이 증가했고, 베트남(↓0.8%), 일본(↓4.3%)은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84.4억 달러, 12.5%↑), 디스플레이(16.2억 달러, 22.3%↑), OLED(8.4억 달러, 32.9%↑), LCD(4.5억 달러, 4.6%↑), 휴대폰(10.3억 달러,
[헬로티]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경제 회복세 이끌어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이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3.8% 증가하며 역대 3위에 해당하는 수출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작년 우리나라 ICT 수출이 1836억 달러, 수입은 1126억 달러, 수지는 710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상반기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둔화, 글로벌 교역 감소 등 어려운 경제 상황이 지속되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지만, 지난 6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며 7개월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는 반도체(1002.5억 달러, 5.4%↑), 컴퓨터 및 주변기기(139.1억 달러, 53.1%)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반도체는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인한 수요 확대, 5G 서비스 상용화 등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역대 2위 수출액을 달성했다. 작년 640억 달러 수출을 기록한 메모리 반도체는 2분기까지는 수출이 감소했으나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수요가 증가(데이터센터, 피씨 등)하며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1.5%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