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와 '양극화 해소 자율협약' 체결 롯데케미칼은 동반성장위원회, 협력 중소기업과 함께 '양극화 해소 자율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은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롯데케미칼은 협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동반성장펀드 출연과 신용보증 지원을 비롯해 해외 판로 개척, 기술혁신 지원 등 3년간 총 3260억원 규모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하도급 등 협력거래에서 대금 결정시 합리적 산정 방식으로 협의 하에 결정하는 등 '대금 제대로 주기' 원칙을 지키고 납품 단가 조정협의 제도를 운영한다. 협력 중소기업은 연구개발(R&D), 생산성 향상 등 혁신 노력을 강화하고 제품·서비스 품질 개선, 가격경쟁력 제고, 임직원 근로조건 개선, 신규 고용 확대 등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동반성장위는 롯데케미칼과 협력 중소기업의 양극화 해소·동반성장 활동이 실천되도록 기술·구매 상담의 장을 마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 홍보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롯데케미칼 동반성장 프로그램의 우수 참여 파트너사로 선정된 원림, 용호기계기술, 대흥실업, 코츠 등
[첨단 헬로티] 한전KDN(사장 박성철)은 중소기업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에너지ICT생태계 육성에 기여하기 위한 중소기업지원 협력연구개발사업을 6월 6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도부터 매년 시행중인 협력연구개발사업은 한전KDN의 대표적인 동반성장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사업화가 가능한 에너지ICT 신기술과 신제품 등을 개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 한전KDN은 협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지난 15년간 39개 중소기업에게 약 70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하여 다수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하였으며,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에너지ICT융복합 신규 사업도 발굴하고 있다. 이번 공모는 중소기업기본법에서 정한 중소기업 중, 연구개발 전담부서 또는 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전력ICT 분야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연구개발 신청서를 작성하여 공모에 참가할 수 있다. 지원 분야는 전력ICT 신기술과 신제품, 수입대체 국산화 연구개발 등이며, 특히 정부의 8대 선도사업과 인공지능과 관련된 개발과제의 경우 우대한다. 협력연구개발 기업으로 선정되면 총 연구개발비의 60% 범위 내에서 최대 3억 원까지 지원한다. 개발기간은 24개월 이내이며, 지원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