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의 유연하고 민첩한 제조 환경 구현이 필수로 떠오른 시대다.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DX)은 피할 수 없는 과제이자 숙명이다.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은 산업·공장 자동화(FA)의 한계를 개선하고, 설계부터 서비스까지 전 가치사슬(Value Chain)에 이르는 지속 가능한 제조와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의 비전을 제시한다. 이처럼 현시점의 공장은 급변하는 시장 양상과 예측 불가능한 변수 속에 직면했다. 지금의 제조 현장은 이를 증명하듯,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학습·수행하는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시대로 거듭나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과거의 성공 공식을 비롯해,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전통적인 제조 방식의 한계가 더욱 조명되고 있다. 이는 공급망 불안정, 다각적인 시장 요구, 탄소 중립 등을 통해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실제로 글로벌 비즈니스 컨설팅 기관 ‘딜로이트(Deloitte)’는 지난해 ‘글로벌 제조 산업 전망(2024 Manufacturing Industry Outlook)’ 보고서에서 이 같은 흐름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제조
다쏘시스템이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생산 운영 계획·관리·최적화 솔루션 델미아 브랜드를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SMATOF 2023은 이달 17일부터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해당 전시회는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를 맡고,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산업 전시회다. 18회째를 맞은 올 전시회에는 110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다쏘시스템이 이번 전시회 부스에 내놓은 델미아는 제품 개발·제조 운영 관리·최적화 등을 위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다. 해당 솔루션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구축한 계획 및 운영을 관리하는 기술로, 기존 엑셀 기반 시스템 대비 생산 계획 수정, 생산 일정·납기일 등과 관련한 예측을 가능케하는 소프트웨어로 알려져 있다. 특히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기반 제품군 오르템즈(ORTEMS)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및 특이사항 등에 대해 ERP·MES 등과 연동·인터페이스화한 후 수정된 생산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오르템즈는 이 과정을 통해 장비 효율성 증가, 긴급 납품 및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