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픽스(TelePIX)는 자사의 박영제 미래혁신기술연구소장이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대만 기륭시에서 개최된 ‘제16회 전지구 해양 원격탐사 학술대회(PORSEC 2025)’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PORSEC(Pan Ocean Remote Sensing Conference)은 미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기구(ESA),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 세계 주요 우주개발기관의 후원으로 1990년에 설립된 국제학회다. 1992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2년마다 개최되며, 지리공간 기술을 활용한 해양 및 대기 연구 분야의 전 세계 해양 지리공간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기술 동향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권위 있는 행사다. 올해는 ‘기후 변화 속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양 원격탐사’를 주제로 국립대만해양대학교에서 열렸다. 박영제 소장은 정지궤도 해양 원격탐사 분야에서 국제적 수준의 전문가로, 학회로부터 공식 초청을 받아 해양 지리 공간 연구 노하우와 연구성과를 공유하게 됐다. 박 소장은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벨기에 왕립자연과학연구소(RBINS),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등에서 위성 원격탐사 관련 주요 프로
SAS코리아는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와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포함한 포괄적 산학 협력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SAS코리아는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에 SAS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인턴십 및 신규 입사자 추천 등 진로개발 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호서대학교는 SAS코리아의 아카데믹 프로그램을 활용해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실무 중심의 학습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호서대학교 빅데이터AI학부는 올해 SAS 프로그램 활용 교육을 위한 학부 및 대학원 강의를 신규 개설한다. 학생들은 SAS 무료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학습 자원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별 강좌를 통해 SAS 기반 분석 실습 기회도 갖게 된다. 또한 교육 및 자격증 시험, 매년 진행되는 SAS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 참여 기회, 향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구직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모의 면접, 서적 할인 등 다양한 혜택도 주어진다. 특히 호서대학교는 SAS 분석 기술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학위 연계 프로그램 ‘SAS 아카데믹 스페셜라이제이션’(SAS Academic Specialization)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호서대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가 업계 최초 파트너 프로그램 및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 클라우드(Oracle Database@Google Cloud) 상의 오라클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발표했다. 양사의 파트너사는 이제 새로운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자사 고객에게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또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 클라우드에서 오라클 엑사데이터 X11M이 지원된다. 호르헤 페르난데스 방코 액틴베르 CIO는 “방코 액틴베르는 고객에게 혁신적인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및 성능과 구글 클라우드의 데이터 분석 및 AI 도구를 함께 활용해 고객에게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카란 바타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담당 수석 부사장은 “오라클은 전 세계 기업의 증가하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며 “곧 출시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 클라우드의 리셀러 프로그램은 양사 협력 관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멀티클라우드 시장 전체에 걸쳐 처음 도입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오라클 데
세일즈포스는 4월 15일부터 17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태블로의 글로벌 연례행사에서 AI 에이전트 기술이 접목된 ‘태블로 넥스트(Tableau Next)’를 공식 발표했다. 태블로 넥스트는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자동화하고, 인사이트 도출부터 데이터 활용까지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다. 태블로는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조직 전반에서의 데이터 활용 수준을 한 층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세일즈포스가 미국 내 550여 명의 비즈니스 리더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76%는 데이터 기반의 업무 수행을 위한 부담이 커졌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분석 도구의 복잡성과 데이터 신뢰도 저하 등으로 인해, 실제 데이터 활용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90%는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데이터 접근성이 개선된다면 업무 성과가 향상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86%는 이러한 환경에서의 데이터 활용 빈도 또한 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데이터 준비부터 분석, 시각화, 활용까지의 전
팀뷰어가 ‘제조업 AI(인공지능) 기회 보고서(The AI Opportunity in Manufacturing Report)’를 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 리더의 71%가 AI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100년 만에 최대 생산성 혁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많은 직원들이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는 AI 활용으로 월 평균 10시간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활동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과 공급망 중단 등 글로벌 도전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에서 AI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주 1회 이상 AI를 사용하는 제조업 리더는 78%로 지난해 46%에서 크게 증가했으며, 이제 AI가 일상 업무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반면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AI에 대한 신뢰와 성숙도에 대한 인식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응답자의 72%는 자사의 AI 도입이 성숙 단계라고 평가하지만 자신을 AI 전문가로 인식하는 제조업 리더는 28%에 불과해 지속적인 교육과 역량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조업체들은 ▲고객 지원 자동화(28%) ▲데이터 분석(23%) ▲공급망 최적화(19%)를 위해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예측 및 의
스트래티지코리아는 ABL생명의 체계적인 데이터 통합 관리 및 정확한 데이터 분석 환경을 구축 지원을 위해 ‘스트래티지 BI’(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전사 데이터 플랫폼으로 선정하고 프로젝트를 오픈했다고 8일 밝혔다. 스트래티지는 ABL생명의 전사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는 솔루션 업체로 선정됐다. 삼성SDS와 함께 주관사로 참여해 데이터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ABL생명은 1954년에 출범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생명보험사다. 71년 동안 쌓아온 글로벌 금융노하우와 전국적인 영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10만 명의 고객들에게 다양한 보험 상품과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BL생명은 다양한 보험 상품 제공과 함께 디지털 혁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특히 최근에는 사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하기 위해 IT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ABL생명의 기존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 분산, 비효율적인 처리, 데이터 품질 저하 등으로 분석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ABL생명은 사내 통합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세일즈포스가 지능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태블로’의 조달청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신규 등록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등록을 통해 태블로는 정부 기관, 지자체, 공공 연구소 및 교육기관 등 공공기관의 데이터 기반 행정과 정책 수립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나라장터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7만여 개 수요기관과 57만 개 기업이 이용하는 범정부 공공 조달 플랫폼이다. 태블로의 이번 나라장터 신규 등록을 통해 수요기관과 기업들이 간소화된 절차를 통해 예산 범위 내에서 솔루션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회사는 전했다. 최근 공공부문에서는 데이터 개방 확대와 함께 AI, 공간정보 등 신기술을 접목한 데이터 활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지리정보와 인공지능을 결합한 지리 공간 인공지능(GeoAI), 빅데이터 기반의 정책 의사결정, 민간 데이터와의 협력 등이 주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데이터 품질 관리와 윤리적 고려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이번 태블로의 나라장터 등록은 정책 수립, 행정 서비스 개선, 공공 데이터 활용 촉진 등 다양한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를 지원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태블로
S2W가 산업용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오는 9일 오후 2시 ‘우리 회사에 꼭 맞는 생성형 AI,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을 주제로, 기업들이 생성형 AI 구축 과정에서 직면하는 도전과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 고려 요소를 소개한다. 특히 데이터, 인프라, 업무환경 등 각 기업의 환경을 반영한 맞춤형 생성형 AI 적용 방안과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보완할 전략도 공유한다. 또한, 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의 적용 사례를 통해 도입 효과와 시사점을 분석할 예정이다. SAIP는 멀티도메인 교차분석 기술에 정보 보호 기능을 결합한 플랫폼으로 현대제철의 ‘HIP(Hyundai-steel Intelligence Platform)’, 롯데멤버스의 ‘세그먼트 랩(Segment Lab)’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돼 성과를 내고 있다. 발표자로 나서는 정진우 S2W AI총괄이사는 단순 도입을 넘어 실질적인 성과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웨비나가 최적화된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본 행사는 기업용 생성형 AI 도입을 고려 중인 누구
지멘스가 알테어 엔지니어링을 약 100억 달러의 기업 가치에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지멘스는 기계 및 전자기장 시뮬레이션,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 분석, AI 분야의 새로운 역량을 추가해 시뮬레이션과 산업용 AI 분야 리더십을 확장한다. 알테어 팀과 기술을 영입함으로써 가장 포괄적인 디지털 트윈을 더욱 강화하고 시뮬레이션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모든 규모의 기업이 복잡한 제품을 더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롤랜드 부쉬 지멘스 AG 사장 겸 CEO는 “알테어 고객, 파트너, 직원 모두가 지멘스에 합류하게 된 것을 환영한다. 알테어의 획기적인 혁신 기술을 Siemens Xcelerator 플랫폼에 추가하면 세계에서 가장 완벽한 AI 기반 설계,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포트폴리오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지멘스와 알테어는 오늘날 복잡성이 커진 세계가 요구하는 규모와 속도로 혁신할 수 있도록 고객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우리는 지멘스의 ‘원 테크 컴퍼니(ONE Tech Company) 프로그램‘을 통해 산업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리더십을 확장할 것이다. 이를 통해 모든 산업이 데이터와 AI가 주도하는
알테어가 오는 3월 5~6일 연례 행사인 ‘퓨쳐닷인더스트리 2025’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1만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시뮬레이션,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고성능 컴퓨팅(HPC) 등 최신 기술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다. 1일차는 통합 메인 세션으로, 2일차는 시뮬레이션·데이터 분석·고성능 컴퓨팅·학계 관련 4개 트랙으로 진행된다. 올해는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포드, AMD, 포레스터, 머크 등 글로벌 기업의 40여 개 발표가 이틀간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는 아시아태평양, 미주, 유럽-중동-아프리카 3개 시간대로 운영되며, 한국 시간 기준 오후 1시부터 시작한다. 모든 발표는 한국어 동시통역이 지원된다. 주요 발표로는 ▲포레스터 로완 커런 수석 애널리스트의 ‘에이전트 AI: 엔터프라이즈 자동화의 차세대 진화’ ▲루시드 모터스 찰스 와일디그 차량 엔지니어링 부문 부사장의 ‘타협 없이 혁신하기’ ▲독일 머크·크라운 포인트 테크놀로지스의 ‘지식 그래프와 LLM을 활용한 임상 운영 혁신’ ▲엔비디아·AMD·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참여하는 ‘HPC와 AI를 위한 지속 가능한 컴퓨팅’ 패널 토론 ▲포드·오라클 클라우
[독일 하노버=김유활 기자] 글로벌 산업 기술 전시회인 하노버 메세 2025(HANNOVER MESSE 2025)의 사전 간담회가 19일(독일 현지 시간) 독일 하노버에서 열렸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인공지능, 자동화, 친환경 기술이 핵심 의제로 논의되었으며, 글로벌 산업 혁신과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2025년 전시회의 공식 파트너 국가인 캐나다도 참가해 AI 및 스마트 제조,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한 산업 전략을 발표했다. AI·자동화, 산업 혁신의 핵심 동력 하노버 메세 2025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주제는 지난해 이어 올해도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을 비롯 이들 기술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전시를 비롯한 다양한 행사에서 집중 분석한다.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AI 기술이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를 이끌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을 선도하는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AI의 산업 적용 사례와 미래 전망을 발표했다. 발표에 나선 LSTM(Long Short-Term Memory) 기술을 개발한 AI 전문가인 제프 호크라
SAP APAC(아시아 태평양)은 새롭게 개편된 아태 지역의 회장으로 사이먼 데이비스를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데이비스 회장은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아태 지역에서 SAP의 전략, 운영, 인사, 영업, 서비스, 파트너십, 수익성 등을 총괄하게 된다. 사이먼 데이비스 회장은 한국, 호주, 뉴질랜드, 인도, 일본, 중화권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총괄하며 78개 사무소에 걸쳐 3만1000명 이상의 직원을 관리하게 된다. 현재 SAP는 아태 지역에서 현대차·기아, NEC 코퍼레이션(NEC Corporation), 콜스 그룹(Coles Group), 위프로(Wipro), 후지쯔(Fujitsu Limited), 시세이도, 히말라야, 코클리어(Cochlear), 일본항공을 비롯한 주요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비스 회장은 지난 25년간 아태 지역에서 IT 솔루션을 개발, 판매 및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세일즈포스, 오라클 등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들과 함께 일해 왔다. 최근에는 스플렁크에서 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지역의 수석 부사장 겸 총괄 책임자로 3년 넘게 근무했다. 또한 그는 여러 상장 전(pre-IPO) 기술 기업의 이사회 일원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K-디지털 트레이닝 첨단산업·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사업자로 선정돼 한국생산성본부와 함께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K-디지털 트레이닝은 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이 주관하는 훈련 과정으로 디지털 산업에서 현장 실무를 경험하고 AI,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민관 협력 인재 양성 사업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참여하는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는 특정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 중심으로 실무 프로젝트를 통해 교육생들이 기업의 요구에 적합한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AI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기술 스택과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카카오클라우드로 배우는 AIaaS 마스터 클래스’를 운영한다. 클라우드 엔지니어, AI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등 클라우드 및 AI 분야의 전문가 양성 과정으로 클라우드 및 리눅스 입문 강의부터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서비스형AI(AIaaS)를 위한 머신러닝 및 AI 실습 등을 진행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전반적인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카카오클라우드 인프라 지원 ▲카카오엔터
콩가텍이 ‘에이레디.IOT(aReady.IOT)’를 출시하고 ‘에이레디.COM’의 애플리케이션-레디 기능을 확장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통해 COM에서 클라우드까지 안전한 IoT 연결을 위한 강력한 소프트웨어 빌딩 블록을 제공한다. 이로써 최신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간소화하면서 혁신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에이레디.IOT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복잡성을 줄여 다양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 간 원활한 통신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계자들 고유의 핵심 역량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콩가텍은 소프트웨어 빌딩 블록을 고객이 요구하는 조합으로 제공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전 설정된 빌딩 블록은 OPCUA, MQTT, REST 등의 프로토콜을 통해 머신, 시스템, 장치, 센서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 수집, 원격 모니터링, 예측 유지 보수뿐 아니라 설비종합효율(OEE) 증대와 같은 유지보수 및 관리까지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및 시각화를 위해 에지에서 직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특정 요건에 따른 작업 실행과 같은 자동화 프로세스를 빠르고
마키나락스(MakinaRocks)가 세계적인 자동화 기업인 ‘쿠카(KUKA)’의 자회사이자 IoT/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인 디바이스 인사이트(Device Insight)와 산업용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생산 환경에 특화된 AI 솔루션의 도입을 가속할 예정이다. 데이터 수집에서 데이터 거버넌스, 맞춤형 알고리즘과 AI 에이전트 개발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AI 구현 속도를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세계적인 산업용 로봇 메이커인 쿠카 로봇에 특화된 AI 기반 예지보전과 산업용 AI LLM 등을 공동 개발해 유럽 현지의 제조 기업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산업용 IoT, 데이터 엔지니어링 및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최적화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세계적인 자동화 기업인 쿠카의 자회사로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다. 데이터 기반 팩토리(Data-Driven Factory) 접근 방식으로 게롤슈타이너(Gerolsteiner), 코스타(COSTA) 등 글로벌 고객에게 생산 현장의 디지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