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전 세계 산업에는 ‘지속가능성’ 광풍이 불고 있다. 여기에는 친환경 요소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저탄소 나아가 탈탄소를 향한 지속적인 약속에 의거한 움직임이다. 완성차 업계도 이에 대응해 ‘전동화’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완성차 브랜드는 이제 너 나 할 것 없이 ‘엔진(Engine)’에서 ‘모터(Motor)’로 자동차 동력을 전환하는 추세다. 특히 ‘대배기량 고성능 내연기관 엔진’을 브랜드 핵심이며 철학으로 여겼던 슈퍼카 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자동차 시장에 진정한 파란이 일고 있다는 방증이자, 과도기를 넘어서 변혁이 진행 중인 자동차 시장 상황을 의미하기도 한다. 완성차 업계는 이런 흐름 속에서 한때 주력 모델로 손꼽혔던 ‘자식 같은’ 모델의 단종을 선언하고 나섰다. 업계에는 ‘판매 실적 저조’에서 ‘수익 저하’로 이어지는 시장경제 원리에 따른 움직임으로 분석하는 시각부터 전동화를 주된 이유로 지목하는 시각까지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단순한 단종으로 향한 모델도 있지만, 단종 후 전동화 기술을 입고 재탄생을 예고한 모델이 있다는 게 관전 포인트다. 이번 ‘오토 스페션 I’에서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국내 완성차 및 해외 완성차 국내 법인
▲ 미국과 대만 등에서 삼성전자의 새 '갤럭시 노트7' 에서도 발화됐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결국 삼성전자가 판매를 중단했다. 2016.10.1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삼성전자가 배터리 발화문제로 두번씩 판매중단을 하게 된 '갤럭시노트7'에 대해 내부적으로 단종을 결정했다. 11일 삼성전자는 새 노트7에 대한 교환 및 판매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전면 중단이 아닌 잠정 중단이라고 명시했지만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더이상 판매할 수 없다고 판단해 사실상 단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 노트7은 안전성 문제로 신뢰가 바닥에 떨어진데다 원인규명하는데 기회비용이 너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 내부에서는 노트7을 접고 내년 상반기 출시예정인 차기작 갤럭시S8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1차 리콜 당시 문제의 제품을 즉시 수거해 자체 원인규명을 밟고 해결책을 찾던 때와 달리 지금은 안전성 문제가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한국국가기술표준원 등의 결과발표에 의존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노트7이 이미 알려진 배터리 분리막 결함 외에 고속충전, 홍채인식 등의 고성능 기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