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무력화 ‘재밍 신호’ 차단...Pseudo-Random 기술 채택 시스레인의 GPS 신호 교란 장치가 특허에 등록됐다. ‘자체 재밍 상쇄 기술’이 이번 특허의 핵심이다. 자체 재밍 상쇄 기술은 타깃 무인항공기(드론)를 무력화하기 위해 방사하는 ‘재밍 신호(Jamming Signal)’를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 기술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을 고도화한 ‘의사난수(Pseudo-Random)’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각종 재밍으로부터 운용 드론을 보호하면서 타깃 드론을 재밍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시스레인은 드론에 적용되는 재밍 기술을 지속 개발하며 치안·경호·대테러 등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특허는 재밍 상쇄 영역에서 새로운 차원의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시스레인 관계자는 “이번 기술은 기간시설 대테러 분야에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적의 드론 공격으로부터 지역·시설을 보호하는 데 특화된 솔루션”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가치창출원은 동영상 압축 기술 특허가 국제 표준 핵심 특허로 등록된 지 10년 만에 누적 기술료가 100억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국내 대학 중 최초다. 전기·전자공학부 김문철·박현욱 교수는 2014년 미국 컬럼비아 대학과 함께 국내 대학 최초로 ‘고효율 동영상 압축 기술’(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을 국제표준 특허로 등록했다. HEVC는 UHD 초고화질급 해상도를 가진 대용량 영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 기술 표준이다. TV, 방송, 스마트폰, 액션캠, CCTV, 실시간 스트리밍 등 다양한 초고화질 영상에 적용 가능하다. KAIST는 올해만 아마존, 애플, 구글 등으로부터 약 54억 원의 표준기술료 수익을 달성하는 등 104억3100만원의 누적 기술료 수익을 올렸다. 기술가치창출원은 글로벌 기술사업화 강화를 위해 기술이전 본부(TLO)와 전담 웹사이트를 신설하고 산학협력과 기술이전을 확대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기술이전 전문가 주도의 기획 기술이전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건재 기술가치창출원장은 “신설한 기술이전 본부를 통해 미래 KAIST 핵심 먹거
원익피앤이의 자회사 피앤이시스템즈가 누전 적응형 완속 충전 특허를 취득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특허 기술은 누전 발생 시 완속충전기를 제어하는 기술로, 누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고객은 안심하고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해당 특허가 제품에 적용되면 누전으로 인해 충전이 끊기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 안정성 확보 및 고객들의 충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피앤이시스템즈는 지난 6일 정부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PLC모뎀이 적용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 라인업(7kW,14kW)의 인증을 진행 중에 있다. 이 제품은 금년 10월 신규 건설현장부터 설치될 예정이다. 올해 3월 개최된 EV TREND KOREA에서 피앤이시스템즈는 자체 개발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선보였다. 해당 보드가 적용된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는 내년 1분기부터 상용화 예정이다. 안희은 피앤이시스템즈는 대표는 “완속충전기 라인업의 누진 적응형 충전 특허 및 PLC모뎀 적용을 통해 피앤이시스템즈 충전기의 강점인 최대의 충전효율과 고장률 최소화를 보증하는 동시에 안전한 충전 환경까지 제공하게 됐다”며 “안전과
삼성전자가 중소·중견기업들에 활용 가치가 높은 특허 231건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2024년도 산업통상자원부·삼성전자 기술나눔 공고'를 내고 특허를 제공받을 중소·중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기술나눔은 동반 성장 차원에서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이 가진 미활용 우수 기술을 중소·중견기업에 무상 이전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3년 이후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1700여개 중소기업에 3400여건의 기술을 나눠줬다. 2015년부터 기술나눔에 참여한 삼성전자는 작년까지 559개 기업에 1014건의 기술을 무상 이전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착용자의 두피로부터 신호를 측정해 보행 속도를 계산하고 목표 보행 속도가 되도록 보조 토크를 연산해 출력하는 '착용형 로봇' 특허, 사용자의 화면 구부림 동작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의 물체가 이동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특허 등을 제공한다. 이민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이번 나눔 기술들이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및 의료 기기 분야 등의 우수 기술들인 만큼 해당 분야에서 기술적 난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10년간 인공지능(AI) 영상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품질관리 기술 특허출원에서 한국이 세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특허청이 밝혔다. 26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미국·중국·유럽·일본 등 주요국 특허청(IP5)에 출원된 전 세계 특허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품질관리 기술 분야의 전 세계 특허출원은 2011년 6건에 불과했으나, 연평균 52.3%씩 증가하면서 2020년에는 44배인 264건에 달했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출원 증가율은 63.4%로 나타나 이 분야 출원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년 이후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특허청은 해석했다. 국적별로는 한국이 202건(25.4%)으로 가장 많이 출원했다. 중국 143건(18%), 일본 139건(17.5%), 미국 135건(17%) 순이다. 기술 분류별(IPC)로 보면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술(IPC: G06T)에 대한 출원이 29.9%로 가장 많았다. 중국과 일본이 이 분야에 관한 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고, 독일은 제어 시스템 분야(IPC: G05B)에 연구개발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
상품 URL만으로 광고 영상을 자동생성하는 서비스 브이캣이 '배너이미지 자동제작'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디자이너가 같은 디자인의 배너 이미지를 필요한 크기마다 일일이 제작하지 않도록 이를 자동화한 것이다. 해당 서비스로 이용자는 자사의 쇼핑몰 전용 배너는 물론 구글,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카오 등 광고 지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 이미지까지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다. 이용 방법은 광고할 제품의 상세페이지 주소를 입력한 뒤 필요한 이미지 크기만 선택하면 된다. 수초 내에 AI가 제품명, 할인율과 같은 정보를 입력해 다수의 이미지를 일괄 제작한다. '다수 크기 일괄제작' 기능의 핵심은 버튼 클릭 한 번으로 수정 사항을 모든 크기에 자동 적용하는 것이다. 브이캣은 '스타일싱크' 라고 불리는 이 기능에 기술 특허를 획득했다. 해당 서비스는 공식 출시 전 롯데온, G마켓,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대표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사와 연이어 장기 연동 계약을 맺으며 사용성을 입증했다. 정범진 브이캣 대표는 "배너이미지 자동제작 서비스는 디자이너가 디자인에만 집중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며 "위치가 정해져 있는 브랜드 로고와 제품
브이티지엠피가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 받고 있는 리튬황 배터리의 대면적 상용화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고 28일 밝혔다. 리튬황 이차전지는 국가의 2030 이차전지 산업발전전략에서 차세대 전지 대표 품목으로 지정된, 미래 시장을 주도하는 이차전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리튬황 전지의 이론적 에너지밀도는 리튬이온 전지의 약7배에 해당하는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양극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황은 그 자원이 풍부하므로 이차전지의 제조단가를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황 전지는 전기화학 반응 중 생성되는 리튬폴리설파이드와 황의 낮은 전도성으로 인한 짧은 전지수명과 내부의 단락 등 전지의 내구성과 관련된 단점이 있어 제품의 상용화에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리튬황 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리튬황 전지용 전극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향후 상용화 단계에서의 전극제조장비 및 제조공정의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기술적 해결과제이다. 이에 한국전기연구원의 리튬황전지 연구팀은 리튬-황 전지 구동 시 반응 메커니즘 상 생성될 수밖에 없는 리튬황고분자의 전해질로의 용해를 차단하기 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연구개발특구소재(대덕) 연구소기업 공훈은 음성인식(식별)과 안면인식 기술융합을 통한 비대면 신원 확인에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하여, 코로나19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원격교육, 재택근무 등을 대상으로 한 사용자 신원확인 솔루션 ‘후아유(Hooau)’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원격교육, 재택근무 등 비대면 신원 확인은 주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이로 인해 ID/Password의 도용, 대리 출석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공훈은 기존의 안면인식 기술이 ID와 Password를 대체할 수 있는 신원 확인 변별력이 있음에도 비대면 환경에서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를 웹 캠 이용 시 발생하는 비정상 사용자의 속임수(사진, 가면 등)에 대한 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봤다. 공훈은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식별)기술을 안면인식 기술과 결합하여 비대면 환경에서의 단일 생체인식 기술의 보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공훈의 멀티모달 신원 확인 기술은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도 웹 캠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전 등록한 학번(사번)을 발음하는 것만으로 신원 확인 과정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