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2개 공공기관 및 대학이 보유한 337건의 기술을 민간 기업에 이전한다고 28일 밝혔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보유한 미활용 기술을 중소·중견기업에 무상으로 이전하는 기술나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13년부터 올해 11월까지 26개 대기업·공기업은 총 1268개 기업에 2766건의 기술을 이전했다. 이번 기술나눔 사업에서는 에너지 관련 기술 167건, 기계 46건,환경 40건 등 총 337건의 기술이 공개될 예정이다. 한양대,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공학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은 올해 처음으로 기술나눔 사업에 참여한다. 기술나눔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에 게시된 공고에 따라 다음달 23일까지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기술이전 대상 기업은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중 확정될 예정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첨단 헬로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친환경 경량소재 에코 알루미늄(Eco-Al) 가공기술을 폴란드의 비철금속 전문기업 임펙스메탈에 이전한다. 기술 이전 선급금은 106만 유로(한화 약 13억 5천만원)이며, 특허 존속기한인 2031년까지 합금 판재 1ton당 25유로를 러닝로열티로 받기로 해 약 145억원의 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 임펙스메탈은 이전 받은 가공기술을 활용해 에코 알루미늄 합금소재를 판재로 제작, 경량부품 제조기업에 공급해 차세대 수송기기 부품 시장을 공략한다는 구상이다. 에코 알루미늄 합금 판재는 철판보다 강한 500~700 MPa급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무게는 3분의 1에 불과하며, 생산과정에서 오염물질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다. 임펙스메탈은 공급받은 에코 알루미늄 소재를 판재로 가공하는 알루미늄 압연 설비를 기존 10만ton에서 20만ton 규모로 증설하고, 완성된 합금 판재를 자동차 강국 독일을 비롯해 수요 시장이 형성된 유럽 국가에 납품할 계획이다. 생기원은 에코 알루미늄 합금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수요 시장이 성숙하지 못한데다 알루미늄 압연설비를 갖춘 기업도 전무해 판재 양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