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테크노파크(부산TP)는 국내 최초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전기차 전자파 적합성 시험평가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정을 획득했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부산테크노파크에서 발행하는 시험성적서(KOLAS 성적서) 하나로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게 됐다. 부산테크노파크는 지난해부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 시행 세칙'을 만족하는 전기차(충전시스템 포함) 전자파 실험실을 구축해 전자파 시험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1월부터는 전기차 뿐 아니라 전기 이륜차까지 시험 대상을 확대했다. e-모빌리티 전체 분야의 전자파 실험이 가능한 설비를 구축하고 이에 따른 기술 지원 체계를 준비해놨지만, 국내에서만 인정받는 제한된 성적서만 발급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번에 획득한 KOLAS 인정 범위는 전기 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전기 굴착기와 친환경 수송산업 분야 장비까지 확대돼 폭넓은 기술 지원이 가능해졌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평가 국제공인시험은 부산테크노파크 지사단지에 소재한 '전자파 시험동'에서 진행된다. 시험동에는 전자기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국제규격에 부합하는 10m 체임버(완성차에 대한 전자파
인증 소요 비용·기간 대폭 아껴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국제전기기기인증기구(IECEE)로부터 국내 최초로 자동제어장치(IEC 60730-1) 기능안전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CBTL)으로 지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자동제어장치 기능안전 분야 인증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18개국 24개 기관이 지정돼 있으며, 한국에서는 KTL이 유일하다.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제품들에 다양한 기능과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면서 예기치 않은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동제어장치 기능안전 분야 시험은 사용자 실수, SW 오류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제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를 운용할 때는 부주의로 문이 열리지 않도록 자동 잠금 기능이 탑재돼 있다. 자동 잠금 기능이 특정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기능안전 시험이다. 그동안 국내기업은 가정용 전기기기(세탁기, 냉장고 등) 수출에 필요한 인증 획득을 위해 해외기관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고가의 인증비용, 긴 인증획득 소요 시간, 시험 중에 발생한 오류 수정(디버깅) 어려움, 개발 기술 해외
[첨단 헬로티]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센터장 박상도, 이하 KCRC)는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KOLAS 인정을 받아 국제공인시험기관이 됐다. 이번 KOLAS인정은 이산화탄소 포집공정기술의 핵심소재인 습식 및 건식 흡수제의 농도와 이산화탄소 포집량을 측정하는 시험방법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Korea CCS 2020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번 인정은 이산화탄소 포집 흡수제의 특성평가를 위한 수질의 TOC(총유기탄소) 인증범위가 확장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 기존 수질의 TOC 인증범위는 0.3~1000mg/L였다. 이번에 인정받은 TOC 인증범위는 기존보다 확장된 0.1~700000mg/L로 국내에서 유일하다. 이로써 KCRC는 고농도의 유기물(흡수제)에 대한 인증결과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 또한, KCRC는 TGA를 이용한 건식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포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에 대한 KOLAS 인정도 확보하여 대표적인 습식과 건식 포집기술의 성능평가를 인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했다. 전 세계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시장은 2016년 42억 5,190만 달러에서 연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