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부터 입찰·신용평가 등에 활용 국토교통부는 7월 31일, 2025년도 건설업체 시공 능력 평가 결과를 공시했다. 이번 평가는 전국 등록 건설업체 중 신청한 73,65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8월 1일부터 입찰 자격, 신용평가, 보증 심사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종합 순위, 전년과 동일…삼성물산 1위 올해 토목건축공사업종 시공 능력 평가에서 삼성물산이 34조 7,219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현대건설(17조 2,485억 원)과 대우건설(11조 8,969억 원)이 각각 2위와 3위로 전년과 동일한 순위를 기록했다. 종합건설 업종별 공사실적 토목건축 분야에서는 삼성물산이 13.7조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현대건설이 11.3조 원으로 2위, 현대엔지니어링이 10.2조 원으로 3위에 올랐다. 토목 분야에서는 대우건설이 2.5조 원으로 선두를 달렸으며, 현대건설이 1.9조 원으로 2위, SK에코플랜트가 1.5조 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건축 분야에서는 삼성물산이 12.3조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현대건설이 9.4조 원으로 2위, 현대엔지니어링이 9.3조 원으로 근소한 차이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산업·환경설비 분야에서는 삼성엔지니어링이 13.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 토목 구조물 설계 분야의 '파이프랙 자동화 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특허를 출원했다고 26일 밝혔다. 파이프랙은 플랜트에서 원료와 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과 케이블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번에 개발한 AI 기반 설계 자동화 기술은 파이프랙이 지지해야 하는 배관이나 케이블 등의 설계 정보와 플랜트가 건설되는 지역의 바람, 지진 하중 등 정보를 반영해 자동으로 파이프랙 설계를 완성하고 최적화된 구성 요소도 선정해준다. 또 파이프랙 설계를 위해 먼저 진행돼야 하는 배관, 전기, 계장(측정 및 제어 장치) 등의 선행 설계가 변경돼도 수정된 정보를 자동으로 반영해 새로운 설계 도면을 제공한다. 잦은 수정으로 인한 인적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설계 검토를 위한 투입 인력 등도 줄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 시스템을 다른 설계 자동화 기술과 연계해 배관 구조 설계를 완전히 자동화할 방침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2019년부터 플랜트, 주택 등 건설산업 전반에서 자동화 설계 시스템이 필요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선정하고, 연구개발을 지속해오고 있다"며 "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동향 정보와 건설산업의 대응 방향을 담은 'CERIK ESG 인사이트' 1호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내외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ESG 이슈에 대응해 ESG가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획된 간행물이다. 건산연은 작년 말 '건설업 ESG 경영연구팀'을 구성해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원은 앞으로 ESG 인사이트를 지속해서 발간해 건설산업 내 ESG 확산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보고서에서 연구원은 "최근 ESG 이슈 확산은 건설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건설산업내 ESG에 대한 이해도와 대응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당면한 ESG 현안 해결을 위해 공공과 민간, 기업 및 개인을 넘어서는 공감대 형성과 실질적인 혁신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