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매매·전세 모두 0.01% 상승 유지…수도권 상승세 견인, 지방은 등락 엇갈려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2025년 8월 첫째 주(8월 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모두 지난주와 동일하게 0.01%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8월 9일 밝혔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으나, 권역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0.04%→0.05%)과 서울(0.12%→0.14%)은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지방(-0.02%→-0.03%)은 하락 폭이 확대되며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서울은 재건축 이슈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도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면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강북 14개 구에서는 성동구(0.33%), 광진구(0.24%), 용산구(0.22%) 등이 상승을 주도했으며, 강남 11개 구에서는 송파구(0.38%), 양천구(0.18%), 서초구(0.16%)가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 지역은 0.02%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평택시(-0.32%)와 고양 일산동구(-0.22%) 등 일부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청계천, 강릉·순천·군산, 시흥·원주 7곳 신규 지정 올해 하반기부터 자율주행차 실증 구간이 기존 7개 지구에서 14개 지구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3일인 오늘 최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통해 서울 강남과 청계천, 강원도 강릉 등 7개 신규지구 선정과 광주광역시 등 기존 3개 지구 확장에 대한 평가를 마쳤다면서 24일에 시범운행지구를 확정·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남, 청계천, 시흥, 강릉, 원주, 군산, 순천 등 7곳이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로 추가됐다. 자율주행 민간기업은 해당 지구에서 자율차를 활용해 여객·화물 유상 운송을 할 수 있다. 자동차 안전기준 면제 등 규제 특례를 받아 사업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자율주행 실증 서비스가 가능하다. 신규로 지정된 7개 지구에는 교통이 혼잡한 도심지역(강남·청계천), 여행수요가 많은 관광도시(강릉·순천·군산), 대중교통이 열악한 신도시(시흥·원주) 등이 포함됐다. 시범운행지구는 2020년 5월 시행된 자율주행자동차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된 제도다. 앞서 서울 상암, 제주 등 7개 지구가 지정됐고, 이번 신규 지정으로 2년에 만에 전국 10개 시·도 14개 지구로 확대되게 됐다. 국토부는 기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