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넥스버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넥스버(대표 이유형)는 SF+AW 2021에서 고해상도 25GigE 카메라, 특수목적 산업용 임베디드 PC, VIS-SWIR 특수 카메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넥스버에서 소개할 25GigE, 50GigE와 100GigE는 고해상도 고속프레임을 구현하며 장거리와 단거리 모두를 커버 할 수 있는 다양한 액세서리 및 케이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PTP지원을 포함해 카메라 네트워크 및 정확한 카메라 동기화가 가능하며 CPU오버헤드, 대기시간 및 지터가 낮다. 또한 IEEE 및 AIA 표준화로 인한 업계 수용성이 좋고 타 인터페이스 대비 가성비가 매우 뛰어나다. Nuvo-8208GC는 산업용 등급의 강력한 설계와 MIL-STD-810G(충격, 진동방지인증)을 갖춘 견고한 엣지 AI플랫폼이다. 하이엔드급 Nvidia그래픽 카드를 듀얼로 장착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제품은 자율주행 객체인식, 비전검사, AI보안, 가상현실, AI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이오비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이오비스(대표 김종환)은 SF+AW 2021에서 미크론 이하 미세 결함 검출용 오토 포커스 광학 솔루션, 다채널 조명기술을 적용한 표면검사 솔루션, Dual 레이저 라인 프로파일 센서 기반 두께 측정 3D 비전 솔루션 등 차별화된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오비스는 먼저 미크론 이하 미세 결함 검출용 오토 포커스 광학 솔루션을 선보인다. 오토포커스는 정밀한 검사 어플리케이션에서 초점을 자동으로 유지해주는 광학 모듈 솔루션이다. 미크론 이하의 작은 불량을 검출해야하는 OLED 패널 등의 초정밀 검사 공정에서는 고배율의 광학계를 사용하므로 심도(DOF)가 매우 작다. 이런 환경에서는 미세한 기구적 움직임으로도 초점이 틀어질 수 있어서 실시간으로 초점을 유지해 주어야 지속적인 영상 취득이 가능하다. 이오비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반사 타입과 레이 폴딩 두 가지 방식의 기술을 적용한 오토포커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쓰리디산업영상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쓰리디산업영상(대표 김규년)은 SF+AW 2021에서 스마트팩토리용 비전 검사 시스템 ‘핀박스’와 비전 전용 소프트웨어인 ‘애니룩’을 선보일 예정이다. 핀박스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필수요소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가능한 비전 검사 시스템이다. 검사제품 사출부터 제품 양불 판정 및 제품 적재의 공정까지 가능케 하는 솔루션으로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이와함께 선보일 애니룩(AnyLook)은 비전 전용 소프트웨어로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의 제품이 변경되거나 검사사양이 추가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새로운 작업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작업을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 AnyLook의 큰 장점이다. 쓰리디산업영상은 2010년 설립 이래, 국내 산업용 영상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싸이로드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싸이로드(대표 임상빈)는 SF+AW 2021에서 Teledyne FLIR와 폰토스펙트럴의 최신 카메라를 선보일 예정이다. 블랙플라이 에스(Blackfly S)는 Teledyne FLIR 머신비전의 플래그쉽 모델이다. 0.4MP부터 24.5MP의 해상도, USB3와 GigE 인터페이스, 보드레벨과 케이스 타입의 넓은 파생형을 보유하여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Spinnaker라는 통일된 SDK를 지원함으로 모델 변경시에도 개발 과정이 단축된다. GigE 모델은 IEEE1588 PTP 지원과 Lossless Compression을 지원한다. 포톤스펙트랄(UV, SWIR)는 가시광선, 근적외선의 범위를 넘어 비가시광 영역인UV, SWIR 파장대를 검출할 수 있는 글로벌 셔터 카메라다. 특히 UV카메라는 Deep UV부터 SWIR까지 광대역의 파장대 검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세계 최초의 UV 측정이 가능한 글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화인스텍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화인스텍(대표 김묵현)은 SF+AW 2021에서 다양한 글로벌 메이커의 최신 카메라를 선보일 예정이다. 첫 번째로 전시될 퓨전 시리즈 'FSFE-3200T-10GE' 카메라는 최대 3개의 파장대역과 채널당 최대 320만 화소의 표준 또는 맞춤형 설계로 구성된다. 405~1000nm 범위(가시광 - NIR)에서 채널당 최소 25nm폭까지 좁은 파장 범위를 맞춰서 제공한다. 또한, 10GigE 멀티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동시에 고속 출력이 가능하다. 머신비전 카메라 전문 메이커인 SENTECH이 출시한 GMAX0505(Gpixel) Sensor를 탑재한 25메가 카메라도 전시된다. 이 카메라의 주요 특징은 Mono/Color 2종류로 Resolution : 5120 x 5120 Pixel, Cell Size : 2.5um, Sensor Size : 1.1", FrameRate : 30fps, Lens Mount :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어이미징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코어이미징(대표 김병엽)은 SF+AW 2021에서 NEON 스마트 카메라와 Baumer VLXT Series를 선보일 예정이다. NEON-2000-JT2 AI 스마트 카메라 시리즈는 AI 기반 공장 자동화를 위한 머신비전 구축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출시됐다. 엔비디아 젯슨 TX2 AI 모듈로 구동되는 이 새로운 스마트 카메라 시리즈는, AI 머신비전 개발 및 통합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올인원 디자인, 작은 설치 공간 및 사전 설치된 비전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있다. NEON-2000-JT2는 생산에 있어 품질 보증과 검사가 중요한 식음료, 소비재, 농업과 같은 노동집약적 제조업에서 생산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제품 검사에 에이디링크 AI 머신 비전 솔루션을 활용한 한 고객은 50배 더 많은 제품을 검사할 수 있었으며, 이전보다 3배 더 많은 95%의 검사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코어이미징이 SF+AW 2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엠브이텍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엠브이텍(대표 권기선)은 SF+AW 2021에서 RAVID 머신비전 S/W 프레임워크 & 비전 라이브러리와 LED 칩 딥러닝 AOI 검사장비, 카메라 모듈 렌즈 외관 검사장비를 선보일 예정이다. RAVID 프레임워크는 Vision Inspection 개발 전문 툴이다. 많은 경험과 엔지니어링 스킬이 요구되는 머신비전 산업의 부족한 기술력을 RAVID 프레임워크를 통해 채우고, 보다 빠른 속도의 장비 개발을 지원하여 고객의 물적 인적 자원 절약 은 물론 비전 소프트웨어의 완성도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LED 칩 딥러닝 AOI 검사장비는 검사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딥러닝 시스템을 도입했다. Color Camera 사용으로 시인성을 개선하고, 65M Camera 사용으로 검사 효율을 개선시켰다. 또한, High Precision Lens 사용으로 비전 정확도 상승 및 이미지 퀄리티를 개선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시원광기술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시원광기술(대표 김일목)은 SF+AW 2021에서 자체 개발한 머신비전용 렌즈와 long working 대물렌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머신비전용 렌즈는 텔레센트릭 구조와 동축조명을 적용한 모델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머신비젼용 표준렌즈다. Long Working 대물렌즈는 High Resolution, Long Working Distance 대물렌즈로서 2X, 5X, 10X, 20X, 50X가 있으며, 해외업체와도 경쟁할 수 있는 품질로서 상시 재고 보유하고 있다. 시원광기술은 20년 이상의 업력으로 산업용 현미경, Machine Vision, System등 광학기기의 설계 및 제조는 물론, Lens, Prism, Filter, Mirror, Window등의 광학 부품 제조에서도 숙련된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바올테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바올테크(대표 이진원)는 SF+AW 2021에서 자체 개발한 멀티판독 비전시스템, 중량체적이미지 관리시스템, 체적이미지 관리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멀티판독 비전시스템은 다량 바코드를 동시에 판독하여 물품의 입고·출고·재고 관리의 편의성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제품의 이력 추적을 통하여 대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Vision Solution으로 다량의 멀티 바코드 동시 판독, 신속한 입·출고 관리 및 물류 검수 기능, 멀티 바코드 판독률 향상으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 물품 이력 정보 활용을 통해 대고객 서비스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함께 선보일 중량체적이미지 관리시스템(TRUE-DWS)은 물류의 중량 및 체적을 산출하고, 동시에 바코드 스캔 및 이미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고속 컨베이어에서 이송 중인 제품의 바코드, 중량, 체적, 이미지 정보를 취득한 후,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성림엔터프라이즈(이하 성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성림은 SF+AW 2021에서 당사가 개발한 절삭전용기, 피드유닛, 스핀들유닛을 선보일 예정이다. 절삭전용기는 특정한 가공물의 특정한 가공 공정을 목적으로 특별히 전용 설계 제작된 공작기계다. 피드유닛은 절삭공구 또는 제품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유닛이며, 스핀들유닛은 절삭공구 또는 제품 회전을 위해 사용하는 유닛이다. 유닛, 절삭전용기의 사용범위는 넓다. 이 장비들은 단추 구멍에서 부터 반도체 라인까지 부품 소재를 가공하는데 사용이 되며 사용업체도 다양하다. 성림은 주문 생산에 있어 자동차 부품사를 비롯해 전용기 제작 기업까지 확대됐다. 고객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한 사양의 제품도 최적화된 시스템을 통해 최단 기간 내에 제작 및 공급하고 있다. 성림은 지난 1991년 설립된 이래 유닛, 전용기 주변기기 판매 및 제작에 주력하고 있다. 품질 인증 SYSTEM ISO9001을 인정받아 유닛, 인덱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가 9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인 오토메이션 월드(Automation World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는 첫 회부터 31년 연속으로 오토메이션 월드에 참가하여 다양한 신제품 및 종합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역시 신제품 및 출시 예정 제품을 위주로 6개 존을 구성, 오토닉스의 기술력과 신제품에 대한 홍보를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6개 존은 △세이프티 존 △변위센서 존 △머신비전 존 △IO-Link 존 △LiDAR 존 △SCADA 으로 각 존마다 제품 실물이 적용된 데모키트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또한, 오토닉스는 IO-Link 적용 제품 및 LiDAR, SCADA 등의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춘 제품도 최초로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국제 안전 규격에 적합하게 개발된 세이프티 제품군(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IO-Link 통신을 통해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기기에 전달하는 중계박스형 리모트 I/O(ADIO)와 근접센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헥사곤은 센서 및 소프트웨어, 자동화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서, 제조 전반에 걸쳐 스마트 매뉴팩처링을 구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엔 새롭게 출시한 고성능 레이저스캐너 AS1이 장착된 레이저트래커 기반의 자동화 스캐닝 시스템을 중심으로 솔루션을 공급하며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헥사곤 김성완 지사장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클라우드 기반의 솔루션 최적화를 통해 고객사의 업무 연속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Q. 주력사업은. A. 우리의 주요 포트폴리오는 크게 세 가지 핵심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가상 프로토타입을 사용해 엔지니어가 설계를 검증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디자인&엔지니어링 사업’, 제품 생산 주기 전반에 걸쳐 생산성을 높이고 고품질 부품 생산을 지원하는 CAD/CAM을 포함한 ‘생산 소프트웨어 사업’ 그리고 실제 제품의 정밀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결과를 분석해 품질 및 효율성,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측정 및 검사 솔루션 사업’이다. Q. 상반기는 어떻게 보냈나. A. 백신접종 확대 등에 따른 경기 심리 개선과 경기 회복, 국내 신규 R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데키스트는 12년간 다져온 현장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라디오노드 제품을 자체 개발, 생산해오고 있다. 열(온도) 검증, 환경 모니터링 전문 브랜드 라디오노드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기술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센서 데이터 통합 전송은 물론 PC나 모바일로도 데이터를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 업무 수행을 위한 이동을 최소화해 준다. Q. 주력사업은. A. 최근 콜드체인(저온 유통 시스템)의 수요 증가에 비해 공급량은 급속하게 늘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온도 센서는 물론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망 결합에 대한 기술적인 어려움 때문이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고자 라디오노드는 콜드체인 온도 모니터링 솔루션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선보이고 있다. 또한,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과 안전에 대한 규제 강화로 가스 감지나 근무 환경에 대한 환경 모니터링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대기질·수질·유독가스 관리 센서를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다. Q. 상반기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하반기 기대는. A. 올해 2월부터 본격적인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백신의 안정성과 보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
헬로티 임근난 기자 | 1998년에 설립된 코스닥 상장업체 에스에프에이(SFA)는 디스플레이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의 물류자동화 설비와 핵심 공정장비 공급을 주력해 오다, 최근에는 2차전지·반도체·유통 등의 Non-Display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리더’로 또 다른 진화를 하고 있다. 김영민 대표에게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SF+AW 2021)’ 출전 의미와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Q. 주력사업은. A. 에스에프에이(SFA)는 메카트로닉스 기술과 고도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최첨단 자동화설비를 공급하는 종합장비회사이다. 특히, 각종 물류자동화 설비와 핵심 공정장비 공급을 주력으로 하여 우리나라가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에 이바지하면서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 왔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각종 스마트 팩토리 요소기술 접목 기반의 스마트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보다 더 큰 성장 잠재력을 지닌 2차전지·반도체·유통 등의 Non-Display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성장 기반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비앤피이노베이션의 SmartSee Cloud 솔루션은 강력한 산업 재해 예방, 실시간 모니터링 및 사고 알림과 현장 영상 공유 및 그룹 통화를 통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고의 정확한 원인과 안전 관리의 법적인 증거 자료를 제공한다. 현재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서비스가 제공된다. ‘2021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 전시회를 앞두고 비앤피이노베이션 이승준 대표에게 전시회 출전의 의미와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Q. 주력사업은. A. 비앤피이노베이션은 비대면 스마트 작업·안전관리·원격지원 솔루션인 ‘SmartSee Safety Cloud’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VoIP Core 미디어엔진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조끼는 기존 웨어러블 제품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