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열린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당선되며 새 정부의 막이 올랐다. 헌정 역사상 최소 득표 차이를 보일 정도로 치열했던 이번 선거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공약이 제시됐다. 이에 윤석열 정부의 기업 정책 동향에 국내 기업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중소 벤처기업 육성은 새 정부의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윤석열 정부는 국내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회복하고, 각 기업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중소 벤처기업 성장 위한 성장사다리 복원한다 새 정부는 중소 벤처기업 지원사업을 종합 평가해 '혁신성장 프로그램'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중소 벤처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 시 3년 유예기간의 확대를 적용하며, 정부 지원 역할 강화 및 실리콘밸리형 모델을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새 정부는 중소 벤처 스타트업의 역할을 강조하며, 성장사다리 구축 강화에도 힘쓸 것을 밝혔다. 성장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 스케일업 맞춤형 금융 지원 및 R&D 지원을 대폭 확대하며, 맞춤형 혁신 전문인력 제도를 도입해 신산업 진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뿐 아니라 중견기업의 유형별 및 업종
크래비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크래비스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산업제어의 핵심기술인 필드버스 시스템이다. FnIO G-시리즈는 다양한 산업용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90종 이상 다양한 I/O 묘듈을 구성하고 제공한다. 또한 컴팩트한 사이즈와 슬라이스 모듈 확장 방식으로 효율적인 공간을 활용한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Removable Terminal Block 방식 제공으로 전장 배선 및 설치 시 작업자에 쉽고 편리한 작업 환경 제공한다. FnIO M-시리즈는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에 적합한 리모트 I/O 시리즈로 이중화, 핫스왑 기능을 지원한다. Backbone 구조로 핫스왑을 지원하며, 유지보수 시에도 통신 끊김없이 안정적으로 교체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IPC 블럭 시리즈는 다양한 산업용 프로토콜 호환가능한 컴팩트한 사이즈의 산업용 PC다. 크래비스는 산업제어의 핵심기술인 필드버스를 국내 처음으로 상품화에 성공하고, 외국 선진업체에 공급하는 등 제품 경쟁력을 검증받은
인터배터리 2022,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서 개최 2만2800여개 특허...지식재산권 강자 LG에너지솔루션 작년 107.5% 성장률로 경쟁사 앞지른 SK온 양적 팽창보다 '질적 성장' 집중하는 삼성SDI 오는 17일 인터배터리 2022 개막을 앞두고 세계 배터리 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내 대표 배터리 제조 3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터배터리 2022는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전문 산업 전시회로, 배터리 재팬, CIBF(China International Battery Fair)와 함께 세계 3대 이차전지 전문 전시회로 꼽히고 있다. 한국은 세계 시장에서 알아주는 자타공인 전기차 배터리 제조 강국이다. 작년 한해, 우리 배터리 3사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차지한 점유율은 30.4%다. 내수가 압도적으로 강한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선 3사의 시장 점유율이 무려 56.5%까지 치솟았다. 전 세계에서 팔리고 있는 전기차의 절반 이상이 한국 회사에서 만든 배터리를 쓰고 있는 셈이다. 그중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LG에너지솔루션은 작년 한해 전 세계 전기차 시장서 배터리 사용량이 60.2GWh를 기록하면서 중
어노테이션에이아이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어노테이션에이아이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가공 Tool AnnoWiz다. AnnoWiz는 데이터 가공 업무에 최적화된 UI/UX를 제공하며, 강력한 AI Assist 기능과 다양한 어노테이션 타입을 지원한다. AnnoWiz는 ▲강력한 Auto Polygon 기능 ▲사용자중심의 워크보드, 모니터링 ▲Project, Task별 코멘트 기능을 통한 협업 ▲데이터 품질관리와 QA 기능을 제공한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어노테이션에이아이는 ‘DevOps를 이용한 범용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 모델 전주기를 효율적으로 개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MLOps(Machine Learning Operations)로, 향후 고품질의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구축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모델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Euresys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Euresys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산업용 이미지‧비전 프레임 그래버다. Euresys는 ▲CoaXPress 프레임 그래버 및 Camera Link 프레임 그래버로 최고의 성능 제공하는COAXLINK 시리즈 및 GRABLINK 시리즈 ▲이미지 분석 라이브러리 및 소프트웨어 도구 Open eVision Libraries ▲비전 표준 IP 코어 Vision Standard IP Cores를 전시한다. Euresys는 이미지 및 비디오 수집 구성요서, 프레임 그래버, FPGA IP 코어 및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컴퓨터 비전, 머신 비전, 공장 자동화, 의료 영상 및 비디오 감시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미지 분석 측면에서 Euresys의 기술은 얼룩 감지, 하위 픽셀 측정, 패턴 일치, 색상 분석, 광학 문자 인식, 바코드 판독 및 검증, 딥러닝을 이용한 3D 검사 및 분류. 벨기에와 독일에 R&D를 하고 있는
큐알에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큐알에스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3D 비젼 시스템이다. 큐알에스의 3D 비젼은 Projector와 Camera를 이용한 3D Vision System이다. Mono & Color Camera 적용 가능하며, 2D/3D 매칭 기술을 적용했다. Alignment 기능도 포함했다. 3D 비젼은 자동화가 어려운 제품 및 공정에 3D Vision을 적용해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 무작위로 적재돼 있는 작업물을 정확하게 찾고 로봇이 작업물의 정렬 위치까지 고려해 집어서 다음 공정 기계에 옮길 수 있게 된다. 큐알에스는 2D비젼 (딥러닝)/3D 비젼 (빈피킹),레이져 커팅장비,소프트웨어 개발업체다. 자체개발한 3D 비젼을 이용해 로봇과 연동해 빈피킹 및 2D 검사를 도와준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
에프에이에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프에이에스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CIS(컨택트 이미지 센서)다. CIS(컨택트 이미지 센서)는 촬상 센서, 로드렌즈, 광원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있는 바(Bar) 타입 라인 스캔 이미징 모듈이다. FAS는 CIS모듈 판매를 시작으로 일반 비전 카메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 비전 컴포넌트 업체다. 다양한 메이커들과 공급계약을 체결하였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 가능하며 고객의 기술적 요구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안해준다. FAS는 여러 가지 데모제품들을 보유하고 있어 언제든지 샘플테스트와 제품평가가 가능하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
뉴로클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뉴로클이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딥러닝 비전 시스템 소프트웨어다. 뉴로티는 산업 전문가용 Deep Learning Model Trainer로, 딥러닝 관련 배경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간단한 과정만으로 고성능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체 개발한 Auto Deep Learning Algorithm(자동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쉽고 빠르게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여 원하는 곳에 바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모델 활용 시에 많은 리소스의 투입 없이도 모델의 성능을 유지하며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뉴로엑스는 딥러닝 전문가용 Deep Learning Model Trainer로, 직접 다양한 hyperparameter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딥러닝 프로젝트 진행 시에 많은 리소스가 소요되는 데이터 관리와 Modeling 구조가 모두 딥러닝 전문가에게 맞춤으로 설계되어 있다. 뉴로알은 뉴로티와 뉴로엑스에서 생성된 모델을
비즈캠(Vizcam)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비즈캠이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대표적인 제품은 하이브리드 비전 소프트웨어인 ‘인트윗’과 알티유, 위저프로가 있다. 이번 전시회에 소개될 제품을 하나씩 살펴보면, 양품 이미지들의 자가학습만으로 AI 비전 검사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비전 소프트웨어 ‘인트윗(Intuit)’ 이다. 인트윗(Intuit)은 비즈캠(VizCam)이 보유한 딥러닝과 머신러닝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수년간 안정성과 신뢰성 테스트를 거쳐 출시한 제품이다. 사용자는 검사하고자 하는 제품의 양품 이미지를 수집하여 검사 영역 ROI를 설정해 주고 학습 버튼만 클릭하면 인트윗(Intuit)의 자체 AI 알고리즘이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인트윗은 제조 현장에서의 오퍼레이터가 직접 코딩을 하거나,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부담을 덜어준다. 각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서 블랍 또는 라인 디펙 검사, 단일 검사에서 복합결함검사까지 모두 가능한 프로세스를 지
에드몬드옵틱스가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드몬드옵틱스가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대표적인 제품은 테크스펙 PlatinumTL 텔레센트릭 렌즈, 테크스펙 TitanTL 텔레센트릭 렌즈, 테크스펙 HP 시리즈 고정초점거리 렌즈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각각의 렌즈 특성을 살펴보면, 테크스펙 PlatinumTL 텔레센트릭 렌즈는 반도체 및 전자기기의 검수, 측정, 검량 용도를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정밀 디자인을 채택하여 높은 telecentricity(<0.1°) 및 낮은 왜곡(<0.1%)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완전 개방 시 f/6에 도달하는 조절 가능한 조리개를 통해 높은 광처리량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대형 포맷의 28.7mm diagonal sensor를 지원함에 따라 Sony IMX342 APS-C 센서 및 기타 유사한 포맷 센서(예: Sony IMX530)와 호환이 가능하다. 이 렌즈는 매우 뛰어난 콘트라스트를 생성하여 가장 높은 수준의 측정 정확도로
리스광시스템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리스광시스템이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대표적인 제품은 현미경, 텔레센트릭 렌즈, 웨이퍼 검사 시스템이다. 전시될 제품을 하나씩 살펴보면, 현미경은 쾰러 조명계 & 튜브 렌즈, 대물 렌즈로 구성되어있는 광학계이며, 다양한 배율의 튜브 렌즈와 대물 렌즈 적용이 가능하다. 필터, 편광자, 빔 스플리터 등 다양한 광학 부품들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간적 제약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되어있다. 웨이퍼 검사, 원자 현미경, 바이오 칩 검사 등에 사용이 되고 있으며, 고객 요청에 따른 전 사양 커스터 마이징이 가능히다. 다음으로 텔레센트릭 렌즈는 시료의 단차 또는 원근감으로 인한 불필요한 영상을 제거하고 2D 영상을 보여주며, 필드 높이 & 투시 각도에 관계없이 검사가 가능한 광학계다. 스탠다드 타입과 고 분해능 타입이 있으며, 현재 시장 동향에 맞춰 가기 위해 센서 사이즈 1.1인치가 커버 가능한 라인업이 구성 되어있다
트리비젼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트리비젼이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대표적인 제품은 머신비전용 카메라, 열화상카메라와 프레임 그래버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주요 제품을 살펴보면, 먼저 고해상도 CXP 카메라인 하이크로버트 카메라다.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로, ▲SONY IMX411 Sensor(CMOS) ▲151M(14, 208 x 10, 640 pixels) ▲ Cell Size : 3.76um x 3.76um/ frame rate : 6.2fps ▲ M72 Mount, optical back focal length 19.55mm(0.8") ▲ CoaXPress with DIN Interface 특징을 갖고 있으며, 모델로 사이즈는 ▲MV-CH1510-11XM : 120(W) x 120(H) x 84.6(D)mm, ▲MV-CH1510-10XM/C : 100(W) x 100(H) x 74.3(D)mm로 구분된다. 그리고, 함께 전시될 프레임 그래버는 ▲Intel i350 칩셋
뷰런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뷰런 이번 SF+AW 2022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글로벌 머신비전 카메라 제조업체인 The Imaging Source의 다양한 머신비전용 카메라다. 우선 전시될 제품은 IP67-rated FPD-Link III 카메라다. The Imaging Source의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용 IP67 등급 하우징 카메라는 자동차, IoT 및 표준 머신 비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단일 또는 다중 카메라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합하다. 견고한 카메라는 최대 15m의 케이블 길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The Imaging Source의 FAKRA 케이블과 함께 사용할 때 완벽하게 호환되는 (IP6K6 및 IP6K7/ISO 20653) FPD-Link III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이미지 데이터, 명령 및 전원 공급 장치는 얇은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송다. IP67 등급 FPD-Link 카메라는 최신 NVIDIA Jetson 및 Raspberry Pi 4 플랫폼과 함께 사용할 수 있
ㆍ이 콘텐츠는 유니버셜로봇에서 진행한 웨비나 '협동로봇을 활용한 쉬운 로봇 자동화 ’에서 '딥러닝 기반 2D 이미지 분석 솔루션(코그넥스 민태희 이사)' 발표내용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정리 | 헬로티 이동재 기자 eltred@hellot.net 머신비전이란? 머신비전은 쉽게 말하면 컴퓨터 자동화 장비에 눈을 달아주는 기술입니다. 머신비전 시스템은 인간의 시각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는데요. 사실 인간의 눈은 극도로 정교한 광학장치입니다. 눈이 정보를 포착하고 뇌로 보내면, 뇌는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일을 하죠. 머신비전 기술에서는 카메라, 조명, 렌즈가 눈의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를 포착하고 두뇌에 해당하는 프로세서로 전송하면, 프로세서는 알고리즘을 통해 포착된 정보를 해석하게 됩니다. 머신비전 기업이 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집중하고 있는 키워드는? 머신비전과 관련된 1000개 이상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코그넥스는 머신비전 시스템 시장과 관련해 주목해야 할 키워드로 ▲물류 ▲딥러닝 ▲3D ▲4차 산업혁명을 꼽았습니다. 글로벌 리딩 기업이 회사의 장기적 성장 동력이라며 주목하고 있는 키워드라면 분명 그럴 만한 이유가 있겠죠? 그럼 각
ㆍ이 콘텐츠는 유니버셜로봇에서 진행한 웨비나 '협동로봇을 활용한 쉬운 로봇 자동화 ’에서 나온 질문과 답변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정리 | 헬로티 조상록 기자 Q. 협동로봇이 펜스 설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성도 좋은 것은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협동로봇은 느리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제조 환경에서는 생산량 또한 매우 중요한 검토사항이잖아요. 그래서 협동로봇에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안전센서 등이 있다면 최고 속도, 안전 속도 구분하여 동작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가능한가요? A. 협동로봇이 사이클 타임이 느리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산업용 로봇이 속도가 빠른 것은 사실입니다. ‘산업용로봇 vs 협동로봇’으로 보면 느린 것 같지만, 전체적인 생산량을 보면 비슷합니다. 협동로봇은 안전성 평가를 받는데요. 이 평가 기준이 250mm/s 이상으로, 움직이는 로봇일 때입니다. 바꿔 말하면 협동로봇은 250mm/s 이상으로 움직이며 이 속도는 사람의 일반적인 팔 동작보다 빠릅니다. 그리고 협동로봇에 탑재된 안전센서 기능들은 산업안전보건법의 기준 하에 대부분 협동 작업 환경을 커버합니다. Q. 기존 산업용 로봇과 협동로봇의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