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인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설비자산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메인텍은 주요 설비/시설 자산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표준화하여 설비/시설자산을 통합 관리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이번에 선보인 설비자산관리 솔루션 ‘Dream’은 생산 차질과 수리비용 등 엄청난 손실을 일으키는 설비고장의 사전 예방을 위한 솔루션이다. ‘Dream’은 설비자산의 전 라이프사이클을 지원하는 고객가치 중심의 솔루션으로, 설비관리 업무에 최적화된 통합적이고 유연한 프로세스를 확보하여 설비자산을 보다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
코파데이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주력 자동화 소프트웨어인 ‘zenon’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코파데이타가 선보인 zenon Software Platform은 실시간 보고, 원활한 연결, 상황인식, 유연한 아키텍처 및 고급 보안 기술을 제공하여 IT 및 OT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통합하고 인더스트리4.0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zenon은 IT와 OT 시스템의 결합을 통해 제조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며 인더스트리4.0 기술 적용으로 경쟁력 유지와 조직의 성장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제품 품질에 관한 문제를 감지하여 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해결하거나 사용자에게 문제를 알린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 및 이력 데이터를 통해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높은 제품 품질을 보장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
엑트엔지니어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스카라(SCARA)로봇, 다관절로봇, 산업용로봇, 그리퍼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엑트엔지니어링인 전시한 도시바머신(Toshiba Machine)의 수직다관절로봇 TVL 시리즈는 컴팩트한 공간에서 조립 및 픽 앤 플레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TVL500의 경우 표준 사이클 시간은 0.4초 미만이며 팔길이는 500mm이다. 스카라로봇 THL 시리즈는 기존 제품 대비 50% 이상의 경량화를 실현했으며, 전력 용량의 최대 70% 감소시킨 컴팩트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가반하중은 시리즈에 따라 2 ~ 10Kg로 나눠진다. 엑트엔지니어링은 자동화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도시바의 스카라 로봇, 수직다관절 로봇, 로봇 컨트롤러를 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LS메가피온의 서보드라이브, 서보모터, 로타리인코더, 산업용로봇 등도 공급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
오토스토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공개해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오토스토어의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은 선반식 창고에서의 작업 통로와 층간 공간을 제거하여 75% 공간 절감이 가능한 큐브형 창고다. 현재 창고에 4배 물량의 상품 저장이 가능하다. 반대로 기존 공간을 1/4로 줄일 수도 있다. 시스템 구선은 빈, 그리드, 로봇, 포트,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빈은 물품 적재함이며 바닥부터 적층되는 구조다. 그리드는 로봇 이동용 알루미늄 레일과지지 구조물이다. 로봇은 그리드를 이동하며 빈을 통째로 포트에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모든 로봇이 모든 빈을 피킹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로봇이 고장 나도 다른 로봇이 고장 난 로봇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오토스토어는 올해 기존 로봇 ‘R5’를 ‘R5+’로 업그레이드 했다. R5+는 최대 425mm의 빈을 운반할 수 있다. 포트는 로봇이 작업자에게 빈을 통째로
비젠트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ICT 기반의 지능화된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위한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UNIME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비젠트로가 선보인 UNIMES는 주문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생산 공정 전반에 걸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분석자료로 제공하며, 합리적인 생산활동과 품질 혁신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제조환경을 구현하는 솔루션이다. 또한, 생산 현장의 작업자를 고려해 터치 모니터 등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로 구현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마이다스아이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다분야 통합 해석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마이다스아이티가 선보인 MIDAS MTS(Mechanical Total Solution)는 MIDAS NFX와 MESHFREE를 통합한 상호명으로 CAE 운영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지원 서비스 패키지이다. MIDAS NFX는 일반 설계자들이 제품설계에서 요구되는 각종 구조/열/유동해석과 궁극의 목표인 최적설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자 친화적인 작업환경과 신뢰도 높은 결과를 제공하는 토탈 해석 솔루션이다. 유한요소(FEM) 기반의 다분야 통합 해석 솔루션인 MIDAS NFX는 고객가치 중심의 토탈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오프라인 교육,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MIDAS MESHFREE는 사용자가 설계한 모델을 형상 수정 없이 시뮬레이션하여 설계한
크레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휴대용 핸드헬드 3D 화이트라이트 스캐너 ‘Go!SCAN SPARK’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크레아텍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휴대용 3D 스캐너 ‘Go!SCAN SPARK’는 빠른 스캔 속도와 손쉬운 사용을 특징으로, 다양한 크기와 복잡한 형상도 빠르고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스캔데이터를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하여 고객의 제품 개발 및 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Go!SCAN SPARK는 빠른 스캐닝 속도로 대부분의 측정물을 몇 분 안에 스캔할 수 있으며, 스캔 데이터는 역설계 및 3D 프린팅 소프트웨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하다. 크레아텍 관계자는 “Go!SCAN SPARK는 사용자 숙련도와 관계없이 다양한 크기의 측정물을 스캔할 수 있으며 스캔하는 동안 스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바투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다축 광엔코더 MAP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투잼의 다축 광엔코더 MAPS(Multi-axis Absolute Position-posture Sensor)는 3차원 공간에서 이동하는 물체가 어느 위치에 어떤 각도로 놓여있는지 측정하는 장치다. MAPS는 절대 좌표가 기록된 2차원 스케일과 좌표를 읽는 광센서로 구성된다. 물체에 스케일을 부착하고 MAPS로 측정하면 사용자가 관심 있는 물체 위의 관측점이 공간에서 이동하는 궤적을 알 수 있다. 바투잼의 MAPS 제품인 ‘MAPS-Q 시리즈’는 평면에서 나노미터 분해능으로 구동하는 장비에 사용되는 위치 센서로, MAPS-Q3와 MAPS-Q6가 있다. MAPS-Q 시리즈의 장점은 절대좌표를 측정하기 때문에 위치 초기화가 필요 없다. 또 스케일을 이동물체에 고정하여 직접 물체의 위치와 회전각을 측정한다. Abbe error나 구동장치의
아이지피넷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3D 데이터 최적화 통합 플랫폼 ‘3DxSUITE(3D스위트)’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아이지피넷이 선보인 3D스위트는 ASFALIS / CADdoctor 및 Elysium 제품군을 통합해 V5와 JT, STEP 간의 3D CAD 데이터, 형상, PMI, 속성, 어셈블리 구조까지 변환하는 3D 모델링 최적화 통합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은 3차원 데이터의 변환, 검증, 수정, 비교, 간략화 등의 디지털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데이터의 최적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아이지피넷 관계자는 “기획, 설계, 제조, 판매 등에 이르는 모든 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다양한 CAD/CAM/CAE 및 3D 툴이 사용되어 3D 데이터의 변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3D스위트는 최고의 3D 최적화 데이터의 품질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이레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 ’미니탭’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레테크가 선보인 미니탭은 품질 개선 분야의 다양한 산업과 품질, 연구, 신뢰성 등의 분야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의 기초가 되는 시각화, 통계분석, 예측 및 개선 분석을 제공한다. 주요 분석기능은 기본적인 통계 도구 모음과 품질 제조에서 꼭 필요한 측정시스템 분석, Gage R&R, 공정능력분석, 실험계획법, 신뢰성 분석,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분석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제조 공정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품질 데이터의 수집, 가공, 분석을 자동화해 분석 시간을 최소화하고 실시간으로 품질 관련 지표 모니터링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
모터114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저전압 일체형 서보모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모터114가 선보인 저전압 일체형 서보모터 ‘리드샤인’은 2000년 중반부터 AC서보 드라이버 개발을 시작해 지난해 4세대 모델인 EL8이 출시됐다. 드라이버는 STO 기능과 함께 용량은 400W부터 7.5kW까지, 17bit·23bit 엔코더 사양의 모터는 100W부터 5kW까지 지원한다. 드라이버 일체형 저전압 서보모터 iSV2 시리즈는 17Bit 엔코더를 기반으로 해 CANopen 및 RS485 통신을 지원한다. 주요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형 AGV 구동부 및 AMR에 적용된다. 또한 장비 내에서 스텝모터로 대응하기 어려운 고속 영역에 잘 맞는 사양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
웰콘시스템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객 맞춤형 서보 드라이브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웰콘시스템즈가 선보인 ‘WELCON Servo Drive’는 국책연구기관에서 20년 이상 성숙된 제어 알고리즘을 탑재했으며 다양한 모터-엔코더 조합에 대한 튜닝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CE, KC 인증을 획득한 다양한 보호 회로가 탑재됐으며 직관적이고 사용이 쉬운 UI를 제공한다. 특히 고객이 원하는 사양과 형상의 서보 드라이브 개발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 웰콘 관계자는 “기존 대량생산된 표준형 서보 드라이브에 다양한 고객사들이 알아서 맞춰 쓰는 제어기가 아니라, 고객사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완벽히 적용되는 맞춤형 서보 드라이브를 공급하여 비용절감과 User의 편익 및 생산 효율성을 높여준다”고 설명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
타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무선충전기 송·수신 장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타보스가 선보인 무선충전기 수신 장치(RX)는 수신 제어기(RX Controller) 와 수전 코일 패드(RX Coil Pad)로 구성됐다. 수신 제어기 모델은 TWC-2500W-A-RXCTL-25V와 TWC-2500W-A- RXCTL-50V이다. 충전 전압/전류는 25V모델은 Max.29V, Max 60A, 50V모델은 Max.58V, Max 40A이다. 수전 코일 패드는 수전 제어기에 연결해 사용하면 된다. 무선 충전기 송신장치(TX)는 입력 전압/전류 AC 200V, 12A의 송전 제어기(TX Controller)와 송전 코일 패드(TX Coil Pad)로 구성된다. 송전 코일 패드는 송전 제어기에 연결해 사용하며 방열판은 분해가 가능해 방열판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 타보스는 2007년 창업 이래로 리튬이온전지 및 에너지 관련 제품과 무선충전기, 리튬
에이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디지털 기반의 물류혁신을 이루는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 AMR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이로보틱스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 AMR은 디지털 기반에 자기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LiDAR를 자율주행 지게차에 부착하여 SLAM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A지점에서 B지점으로 물류이동을 ±10mm 오차범위 내에 24시간 내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자동충전 기능으로 인해 충전이 필요한 경우 자동충전 위치로 가는 등 디지털 기반의 물류혁신에 최적화되어 있다. 에이로보틱스 관계자는 “고객들은 구인난, 작업자의 안전저해, 수작업에 의한 생산량 저하, 아날로그식의 작업 환경으로 인한 원가 증가 등의 문제들이 자율주행 무인 운반 방식 등의 기술로 하여금 신속하게 해결되길 바라고 있다”며 “자율주행 무인 지게차 AMR은 고객에게 맞춤식으로 제안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시리얼통신 전문 기업 시스템베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현장에 필요한 무선 컨버터와 I/O 컨버터 등의 상품을 전시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눈길을 끈 시스템베이스의 ioLory는 I/O 제어 모습을 빛으로 시각화했으며, 자체 Local LoRa 무선망을 이용해 장치의 설정, 제어, 모니터링, 동작 등이 고루 가능하게 제작되었다. 무선통신 및 원거리 네트워크인 BASSO-1040DT/DIO는 다기능 제품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입력 및 출력 장치들을 특정 규격으로 변환 통신한다. 공장 같은 산업 현장에서 기계 및 설비 제어, 측정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