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나온웍스(대표 이준경)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나온웍스가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산업용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 산업용 프로토콜 심층분석 솔루션, 인터넷 보안전화 게이트웨이 등이다. 산업용 프로토콜 변환 게이트웨이 ‘VIPER-C’는 다양한 레거시 프로토콜들을 현장에서 필요한 표준 프로토콜로 손쉽게 변환하여 준다. VIPER-C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으로 현장을 SCADA 및 산업 제어 시스템과 MES, ERP 등의 관리 시스템으로 연동하여 스마트 팩토리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이 결여되어 있던 레거시 프로토콜을 보안이 강화된 산업용 표준 프로토콜 OPC-UA로 바꾸어줌으로써 산업 현장 내 보안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산업용 프로토콜 심층분석 솔루션 ‘CEREBRO-DP’는 산업 현장의 제어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IT 영역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다루는 가치 있는 정보로 만들어 전달한다. 나온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컨셉션(대표 정구상)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컨셉션이 이번 SF+AW 2021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3D프린터 ‘CF-M2000’이다. ‘CF-M2000’은 최대 1,000 × 1,000 × 2,000(mm) 대형 출력이 가능하여 대형 구조물 및 조형물 제작이 편리한 M급 FDM 타입 3D프린터다. 내구성이 취약했던 기존 FDM 3D프린터와는 달리 냉간압연강판(SPCC)소재의 커버로 내부 온습도 유지와 안전사고 방지 기능이 있으며, IP카메라가 탑재되어 출력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컨셉션은 다년간 축적된 3D 응용기술을 기반으로 대형 3D프린터, 금속 3D프린터는 물론, 레이저 응용장비 및 3D 관련 소프트웨어 등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을 통해 R&D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파이온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맥파이온(대표 박천호)은 SF+AW 2021에서 자율주행 네비게이션 모듈을 선보인다. 맥파이온은 2004년 설립하여 현재까지, 독일, 스위스, 미국등 해외기업의 최첨단 자동화 부품과 솔류션을 도입하여 자동차, 화학, 전자, 플라스틱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물류 시스템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luebotics사의 한국 총판인 맥파이온은 Bluebotics사의 축적된 AGV 네비게이션 제품군을 국내 AGV 수요 회사에 접목을 시킬 수 있도록 제품 뿐만 아니라 설계, 제작 및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을 하고 있다. 2001년 스위스에서 설립된 Bluebotics 사는 AGV를 더욱 쉽게 설치하고 작동할 수 있도록 ANT(자연 지형지물 탐색 기술)를 개발 및 개선하는데 20년을 보냈다. 별도의 마그네틱 테이프 또는 QR 마크, 3점 반사판 등이 필요치 않고 주변의 자연 지형 지물을 스캔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유라(대표 엄대열)는 SF+AW 2021에서 IT솔루션인 유라솔루션, CADvizor, FabePLM을 선보인다. 유라솔루션은 다년간 제조업 지원 및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부품 제조기업 맞춤형 솔루션이다. CADvizor는 유라가 직접 사용하면서 설계부터 제조까지 가장 빠르게, 쉽게,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개발한 솔루션이다. OEM, 하네스 제조업체 혹은 하청업체 등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합리적인 ECAD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유라는 밝혔다. 또한 관련 엔지니어링 워크플로우를 효율적으로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CADvizor 는 웹 브라우저만으로 원활하게 설계를 할 수 있고, 다른 팀과도 협업할 수 있다. FabePLM은 기업의 업무 특성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반영을 통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업무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R&D업무 개선과 개발환경의 변화와 혁신을 주는 한국형 PLM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케이와이이엔지(대표 원경훈)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케이와이이엔지는 SF+AW 2021에서 큐씨매니저(QC MANAGER) 제품군을 전시한다. 케이와이이엔지의 큐씨매니저 제품군은 크게 큐씨매니저 싱글(QC MANAGER single), 큐씨매니저 멀티(QC MANAGER multi), 그리고 큐씨매니저 허브(QC MANAGER hub)로 구성된다. 큐씨매니저 싱글은 측정 기기와 1대 1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유무선 장비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기기에 연결하고 전송 버튼만 누르면 측정값을 유무선으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큐씨매니저 멀티는 최대 7대의 측정기기를 하나의 장비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된 장비에서 수집된 값은 큐씨매니저 싱글처럼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유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다양한 브랜드의 기기에서 전송하는 값을 인식할 수 있고, 여러 제품군의 측정 오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승전상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승전상사(대표 백종운)는 SF+AW 2021에서 온도캡, 비가역캡, 소화패드를 선보인다. 온도캡은 절연튜브에 열감지 기술을 접목해 과부하, 과전력, 과전류등으로 인한 열이 발생할 시 관리자에게 온도캡의 색상변화로 위험을 알려줘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이다. 현재 다수의 국내 특허와 일본 특허, 제품인증(UL, CE, ROHS, REACH ,등)을 보유하고 있다. 온도캡은 위험 요소가 해소되면 이전 색깔로 환원이 되지만, 비가역캡은 변화된 색깔이 원 색깔로 돌아가지 않아 관리자에게 위험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승전상사는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소화패드는 배전반의 잦은 화재를 효과적으로 방지해주는 제품이다. 승전상사는 대한민국 최초의 온도캡 개발업체로서 그간 다수의 절연캡을 개발한 기업이다. 한 센서캡으로 일본특허와 대한민국 특허를 취득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쎄네스테크놀로지(대표 이귀주)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쎄네스테크놀로지는 SF+AW 2021에서 로보 시리즈와 제로백 드라이브 시리즈를 전시한다. 쎄네스테크놀로지의 로보 시리즈는 산업용 6축 로봇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무브먼트와 정밀도를 제공하며 쉬운 인터페이스로 설치 후 운용이 용이하다. 또한 소형 다관절 로봇의 핵심부품인 감속기를 자체 개발, 제작하고 있어 단가를 낮추고 빠른 납품을 가능케 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다. 쎄네스테크놀로지의 제로백 드라이브는 하모닉 드라이브와 100% 호환 가능하며 타사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과 빠른 납기가 강점이다. 쎄네스테크놀로지는 2004년 설립 이래, 생산기기와 장비들을 자가개발, 국산화에 성공해 국내는 물론 동남아 지역까지 기기장비를 수출하고 있다. 자동화 장비, 산업용 6축 다관절 로봇 시리즈(Payload 1Kg, 3Kg, 5Kg, 10Kg, 15Kg) 그리고 Zero-back Drive (하모닉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넥스트랩은 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넥스트랩(대표 이창근)은 SF+AW 2021에서 Beyond X-Ray와 WideNET Camera를 선보인다. 그동안의 X-Ray 장비들은 잘 보여주는 역할에만 집중해왔기에, 이물질이 섞인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Beyond X-Ray는 AI기반 검사엔진으로 재질/모양에 관계없이 제품속에 있는 이물질을 자동 탐지하므로, 브랜드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부착된 장식물의 종류별 수량 자동계수, Vision기반 외관검사를 동시에 지원해 검사공정 통합을 실현할 수 있다. WideNET Camera은 넓은 공간을 Vision기반으로 측정하여 그 공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AI기반으로 분석하는 제품이다. 넥스트랩은 경쟁제품대비 더 넓은 면적을 촬영할 수 있어 설치수량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영상촬영과 분석이 하나의 디바이스 안에서 모두 이뤄지고, 계측기들은 Mesh 구조로 통합돼 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시기인더스트리(대표 정명식)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시기인더스트리는 SF+AW 2021에서 서보 모터 & 드라이버 제품을 전시한다. 시기인더스트리의 드라이버는 0rpm 이상 초저속&초정밀 제어가 가능하고 모터 정격토크의 300%까지 제어할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고속&정밀 모션이동이 가능하고 8개 모션을 입력하고 반복한다. 드라이버 파라메터 설정을 통해 ▲토크/속도 제어범위 설정 ▲회전방향 변경/내부속도 변경 ▲가감속시간 변경/알람시간 변경 ▲알람이력 확인 등이 가능하다. 시기인더스트리는 2019년 설립된 회사로, 저가형 서보 드라이버를 개발·판매하고 있다. 자동화, 로봇, 자동차 등 분야를 주요 사업분야로 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1)는 오는 9월 8일부터 10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델타일렉트로닉스코리아 주식회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델타일렉트로닉스코리아(대표 후쿠하라 히로시)는 오는 SF+AW 2021에서 델타 AC 모터 드라이브, 델타 AC 서보 드라이브, 산업용 로봇을 선보인다. Delta의 AC 모터 드라이브는 최신 전력 전자 장치와 고급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을 통해 모터 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기계 자동화를 개선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Delta의 VFD 시리즈 AC 모터 드라이브는 전력 전자 기술에서 우리의 강력한 위치를 활용하여 빠르게 발전했다. 각 드라이브 시리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 AC 드라이브는 속도와 토크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증가된 부하를 원활하게 처리하며 다양한 맞춤형 제어 및 구성 작동 모드를 제공한다. Delta 서보 시스템은 Delta의 산업 및 전자 기술의 강점을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공작 기계의 다양한 고객 요구 사항에 맞게 개발된 옴니베어링 통합 서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테크온(대표 김재동)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테크온은 SF+AW 2021에서 전력분석기, 배터리품질분석기 등 제품을 전시한다. 테크온의 전력분석기 TEKON560, 570 Power Quality Analyzer는 전력, 통신, 발전에 사용하는 전력의 상태를 측정, 진단 및 분석이 가능한 휴대형 계측기기다. 측정화면은 터치 기능을 적용해서 측정자의 사용자 편의성과 분석기능을 극대화했다. 측정과 저장 및 데이터의 분석, 출력을 대화면 터치 LCD로 가장 효과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측정 결과는 전원품질 측정기록표와 EN50160리포터로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품질분석기는 방송, 통신시스템, 전력, 발전, 전산시스템, EV, ESS, UPS 등 이차전지를 비상전원이나 주 전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전지의 성능을 분석, 진단하기 위한 대용량 고전압(1500V) 이차전지 성능 진단기기다. 부동충전 상태에서 현재의 전지정보(임피던스, 전압, 전류, 온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파스텍(대표 송진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파스텍은 SF+AW 2021에서 이더켓 토탈 솔루션, 이지스피드 등 제품을 전시한다. 파스텍의 이더켓 토탈 솔루션은 이더켓 기반의 클로즈드 루프 스테핑 시스템으로 CiA 402 드라이브 프로파일을 지원한다. 최소 사이클 타임은 0.25msec이고, 각종 마스터제어기와 실제 호환성 테스트 및 검증을 받았다. 고분해능 엔코더 채용에 따른 고정밀도(10,000/ 20,000[ppr])를 구현했으며 부하에 따른 전류 제어로 발열을 억제한다. 이지스피드는 BLDC Motor Speed Control System으로, 컴팩트한 사이즈에 사이즈 대비 높은 토크를 자랑한다. 높은 퇴대 속도와 넓은 속도 제어 범위를 가졌으며 FOC (Field Oriented Control)에 의한 전류 제어와 부하 변동 시에도 안정적인 응답을 구현한다. 효율적인 제어로 발열 억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파스텍은 높은 위치 정밀도, 높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삼정오토메이션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삼정오토메이션(대표 신동익)은 SF+AW 2021에서 산업용 Motion Controller, SJDD 시리즈, SYT Frameless Motor를 선보인다. EtherCAT통신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EtherCAT Master은 PCI Express의 Slot Type이다. Motion은 최대64축, I/O는 10,000 Points이다. 1GbE EtherCAT 통신으로 100M보다 25%통신처리속도 향상됐다. 위치 제어, 속도 제어, 토크 제어도 가능하다. 다양한 모션 프로파일 제공 및 게인 테이블 기능에 의한 모션 최적화됐으며, 강력한 소프트웨어를 통한 다양한 기능 지원한다. SJDD 시리즈는 14종의 Standard DDR과 강력한 Customized DDR이다. 크기, 출력에 따른 14종의 Standard model 제공한다. 대형, 방수, 고 정밀도 등 고객 요청 사양을 반영한 Customized m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케이피씨전자(대표 조득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케이피씨전자는 SF+AW 2021에서 자율주행 물류자동화 로봇 제품을 전시한다. 케이피씨전자의 자율주행 물류자동화 로봇(AMR)은 SLAM 기술을 이용한 FORKLIFT TYPE의 자율주행 물류로봇이다. 최대속도는 2M/sec이고, 정지 정밀도는 10mm다. Area LiDAR 4ea 외 자동 도킹 위치 보정 기능, 자동충전 기능, 사용자 정의 관제기능, 외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갖고 있다.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현장이 주요 사용처이고 컨베이어 시스템을 대체할 수도 있다. 고중량 물류, 고위험 물류, 복잡한 물류 현장 등에서도 사용된다. 케이피씨전자는 2011년 12월에 설립된 전자제어분야의 연구개발 및 제조 전문회사다.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및 LG이노텍 등의 연구개발협력업체이며, 공연무대제어장치분야의 전문기업이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Smart Factory+A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열린기술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열린기술(대표 박준호)은 SF+AW 2021에서 통합 생산관리시스템, 통합설비관리 시스템, 협업형 설비관리 시스템을 선보인다. 통합 생산관리시스템 MES은 ▲생산에 대한 종합현황 구성 ▲생산관리(작업지시 ~ 생산실적 관리) ▲재공재고 관리 ▲수주현황부터 제품 출하까지 효율적인 영업관리 ▲실시간 생산현황 모니터링의 기능을 제공한다. 통합설비관리 시스템(예방정비 + 상태모니터링)은 ▲설비 기준정보 관리 ▲자재관리 ▲작업지시 관리 ▲예방보전 및 모바일 활용 ▲리포트 및 통계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열린기술의 플랜톡은 설비 ‘판매자’ ‘구매자’ 협업형 설비관리 시스템이다. 기업의 핵심은 매출과 이익이며, 특히 제조기업은 설비관리가 중요하다. ‘플랜톡’은 설비사용기업과(구매자, Buyer) 설비 제조/판매 및 유지보수/서비스 기업을(판매자, Seller) 설비전문가로 연결함으로써, 함께 성공적인 설비관리를 하며 서로 윈윈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