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사용성 확충과 기술 개발이 로드맵...물류 로봇 시장서 입지 공고히 할 것” 트위니가 ‘2024 미래혁신기술박람회(Future Innovation tech eXpo 2024)’에서 열린 이노베이션어워즈에서 로보틱스 부문 최고혁신기술상을 획득했다. 이번 시상식은 모빌리티·로보틱스·인공지능(AI)·빅데이터·블록체인 등 기술 관련 유망업체를 포상하는 행사로 올해 처음 신설됐다. 트위니는 자율주행로봇(AMR) 모델 ‘나르고 오더피킹(Nargo Order Picking)의 혁신성·기술성·사업성 등을 인정받아 이번 상을 수상했다. 트위니는 공장·물류센터 자동화를 목표로 AMR 및 로봇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나르고 오더피킹은 지난해 5월 출시된 후 국내 15개 물류센터 현장에서 150대 이상이 활약하고 있다. 천영석 트위니 대표는 “앞으로도 고객의 사용성을 제고하는 설계를 고안하고, 기술 개발을 지속해 물류 로봇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트위니는 지난 6월 'e커머스피칭페스타 2024'에서도 대상 격인 산업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한국로봇사용자협회와 업무협약 체결...지속 가능한 로봇 트렌드 정조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 지속가능성 확보로 시장 전환점 될 것” 브릴스가 한국로봇사용자협회(KORUA)와 로봇 리퍼비시(Refurbish)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로봇 리퍼비시는 중고 로봇 기체를 개선하거나 재제조하는 과정을 뜻한다. 양 기관은 이달 23일 개막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현장에서 이 같은 공동의 뜻을 밝혔다. 앞으로 중고 로봇 재제조 및 품질 인증 체계를 확립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브릴스는 중고 로봇의 재제조 및 리퍼비시 과정을 지원한다. KORUA는 로봇 품질검사 데이터 제공 및 재자원화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원 재활용 및 효율성으로 인한 중고 로봇 공급망이 확충되고, 관련 기술 지원 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이는 비용 절감, 비즈니스 모델 확장, 자원·에너지 소모 절감 등으로 이어져 로봇 업계에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양 기관의 협력은 중고 로봇 업계의 성장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십”이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HW·SW 툴킷 공개...협동로봇·AI 융합 트렌드 새 항로 개척한다 엔비디아 아이작 가속 라이브러리 및 매니퓰레이터, 인공지능 모델 접목 향후 유니버설로봇 플랫폼 ‘폴리스코프 X’에 AI 이식 계획도 유니버설로봇이 협동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용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툴킷 ‘UR AI 액셀러레이터’를 선보였다. 이번 툴킷은 로보틱스·인공지능(AI) 가속 플랫폼 ‘엔비디아 아이작(NVIDIA Isaac)’ 내 AI 파운데이션 모델 플랫폼 ‘아이작 매니퓰레이터(Isaac Manipulator)’ 및 가속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 여기에 AI 모델도 포함된다. 여기서 엔비디아 아이작은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툴 ‘엔비디아 젯슨 오린(NVIDIA Jetson Orin)’에 활용되는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적 역량을 통해 협동로봇은 대상물의 형태 특성 파악, 잡기 ,이동 등 가동에 대한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태 감지·추정·추적, 경로 계획, 이미지 분류, 품질검사, 상태 감지 등 기능을 구현한다. 아울러 이번 솔루션은 3D 센싱 기술 업체 ‘오벡(Orbbec)’사의 ‘제미니 335Lg 3D(Or
‘삼락열처리’社 핀 삽입 및 부품 적층 공정 특화 자동화 요소 이식 불량률 감소, 작업자 보호 등 효과 기대 빅웨이브로보틱스가 ‘삼락열처리’사에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했다. 삼락열처리는 부품 표면 열처리 업체로, 자동차·선박·중장비·항공기·의료기기 등 부품 생산 과정에서 열처리 기술을 활용한다. 이번에 핀 삽입, 부품 적층 등 각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채택했다. 빅웨이브로보틱스는 정밀성이 요구되는 핀 삽입 공정과 무거운 부품을 쌓는 과정에 해당 솔루션을 제공했다. 양사에 따르면 두 공정은 단순 반복 작업으로, 이번 솔루션 도입으로 공정 정밀도는 유지하면서 장시간 업무 시 작업자 부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됐다. 빅웨이브로보틱스는 삼락열처리 작업 현장에 HD현대로보틱스 산업용 로봇을 배치했다. 이를 통해 작업 파트별 균일한 부품 공급과 생산 효율 극대화를 노렸다. 김민교 빅웨이브로보틱스 대표는 “앞으로도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자동화 솔루션 공급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 방폭·용접 로봇 등 로봇 솔루션 역량 내세워 “로봇 기반 자동화 솔루션 전파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 브릴스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시상식 ‘2024 로보월드 어워즈’에서 제조 부분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브릴스는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방폭·용접 로봇 등으로 구성된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를 보유했다. 이번 수상은 BRS 시리즈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협동로봇 기반 스마트 AI 팔레타이징 CCTV 기술을 필두로 어워즈에서 수상한 이후 2년 연속으로 달성한 쾌거다. 브릴스는 현재 4~210kg으로 가반하중이 세분화된 산업용 로봇 라인업 8종, 제조·물류·식음료(F&B)·의료 등 분야에서 활약하는 협동로봇 제품군 10종, 방폭형 협동로봇 4종, 하이브리드 AMR 두 종 등을 각종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BRS 시리즈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룩셈부르크 ‘DDE’사 협업 기반 언어·행동 인공지능 모델도 함께 공개 고성엔지니어링이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자율주행로봇(AMR)과 협동로봇을 접목한 플래그십 모델 ‘MOMA(Mobile Manipulator)’를 전시했다. 여기에 룩셈부르크 소재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AI) 서비스 업체 ‘DDE(Data Design Engineering)’과 협업한 로봇 및 자동화제어시스템(ACS)을 함께 공개했다. 고성엔지니어링은 MOMA에 해당 기술을 이식한 데모를 참관객에게 소개해 주목받았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과거와 미래가 한데 펼쳐지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렸다. 최창신 고성엔지니어링 대표는 “MOMA는 수준 높은 기술력을 토대로 그동안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활약했다”며 “이번 전시회에서 우수한 자사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토대로 한 시연 모습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특별상 받아...수상작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버추얼 트윈 기술 우크라이나 재건 프로젝트서 활약해 “가상 기술 활용해 스마트시티 구축에 기여할 것” 다쏘시스템이 ‘제2회 서울스마트도시상(Seoul Smart City Prize)’에서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특별상’의 주인공으로 선정됐다. 이번 수상은 ‘체르니히브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에서 활용된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플랫폼’과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술로 달성한 쾌거다. 해당 프로젝트는 우·러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우크라이나 체르니히브(Chernihiv)를 재건하는 사업으로, 다쏘시스템은 프로젝트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컨소시엄 대표 수상자로 선정됐다. 다쏘시스템은 체르니히브 지역을 디지털 가상 공간으로 구현해, 시뮬레이션 재건 시나리오를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데이터는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서 저장·관리했다.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기술은 인공지능(AI), 모델링, 시뮬레이션 등 기술을 접목한 기법이다. 다쏘시스템은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 2021년 강원 영월군 도시재생뉴딜사업 내 신규 사업자로 선정돼 기술을 제공
브라질 자동화 기술 ‘GTEX’, 호주 로봇 솔루션 ‘Robotine’ 등과 협력체계 구축 “브라질·호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뉴로메카가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집중하고 있다. 이달 브라질 자동화 솔루션 업체 ‘지텍스(GTEX)’와 호주 로봇 솔루션 업체 ‘로보타인(Robotine)’ 등과 로봇 생태계 구축을 완료했다. 뉴로메카는 앞선 8월 독일 공정 자동화 업체 ‘에를리히(Ehrlich)’와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뉴로메카 측은 두 달 만에 또 하나의 협력 레퍼런스를 추가해 해외 시장 진출이 순항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지텍스는 기존 산업용 로봇 비즈니스를 확장해 협동로봇 시장으로 진출함에 있어 그 교두보로 뉴로메카를 선택했다. 뉴로메카 측에 따르면, 양사의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식음료(F&B) 산업에 레퍼런스를 보유한 뉴로메카의 역량이 주요했다. 이어 로보타인은 로봇 기반 자동화 솔루션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뉴로메카 파트너 교육 과정을 거쳐 호주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비즈니스를 전개할 방침이다. 뉴로메카는 이 밖에 미국·중국에 법인을 개설하고, 양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구축한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 개막...기존 공구·툴부터 신기술 장착한 하드웨어까지 실시간 관전 전 세계 10개국 300개사 총출동해 참관객 4000명 끌어모아 포럼, 세미나, 동시 개최 행사 등 솔루션·볼거리·통찰력 ‘삼박자’ 하드웨어(Hardware)는 산업혁명 도래 이전부터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도구(Tool)로 활약해왔다. ‘단단한’을 뜻하는 ‘Hard’와 ‘물건’을 지칭하는 ‘Ware’가 융합된 합성어로, 금속 도구라는 뜻에서 파생돼 탄생했다.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제품인데, 이 개념이 확장돼 컴퓨터 하드웨어가 탄생하기도 했다. 하드웨어는 긴 역사를 가진 만큼 그동안 수많은 변혁을 거쳐왔다. 인간이 활용함에 있어, 효율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순 설계 변화부터 직전 세대 대비 새로운 형태가 출시되기도 했다. 단순한 수공구에서 기계·장비로의 진화가 대표적 사례다. 이렇게 여러 각도에서 인간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 하드웨어는 여전히 우리 산업 안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이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전무후무한 형태 확장을 경험하고 있다. 이 양상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하드웨어는 로봇이다. 로봇은 기계·장비보다 더욱 정밀하고, 효율
내압 방폭 제품군 전시해...“현장 안전이 가장 중요”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에 참가한 완 지운 테크놀로지(이하 완 지운)가 내압 방폭 솔루션을 한자리에 전시해 참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완 지운이 공개한 내압 방폭 솔루션은 독일 스탈(STAHL)사의 제품이다. 완 지운 관계자는 두 가지 제품을 특히 강조했다. 내압 방폭 LED 램프 ‘6
산업용 로봇·3D 라이다 융합 공정 혁신 데모로 참관객 ‘이목 집중’ 쿠카로보틱스와 의량일렉트릭이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에 공동 부스를 꾸렸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양사는 부스에 쿠카로보틱스 산업용 로봇과 의량일렉트릭 3D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기술을 선보였다. 의량일렉트릭 관계자에 따르면, 이 기술은 로봇 끝단(End Effector)에 3D 라이다
망치, 삽, 니퍼, 커터, 롱노우즈, 드라이버, 임팩트·스크류 드라이버, 임펙트 렌치, 글루건 등 공구 제품 총망라 공구 솔루션 업체 파니코(PANRICO)가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에 출전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파니코가 이번 전시장에서 선보인 공구 솔루션은 망치부터 무선 제품군까지 다양하다. 망치, 삽, 니퍼, 커터, 롱노우즈, 드라이버, 임팩트·스크류
대만 하드웨어 페스티벌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가 개막했다. 개막 첫날에는 참관객·참가기업·VIP 등이 한데 모여 행사를 즐겼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
다이완용(Amelia W.J.Day)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 사무총장이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주요 내빈 투어에서 참가기업 및 참관객과 소통하고 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주요 내빈이 개막식 이후 전시장 투어에 참석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ional Joint Association of H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