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경북 지역 로봇 판매·유통 본격화 “맞춤형 로봇 솔루션 통해 中企 자동화 지원 강화할 것” 브릴스가 세종엔지니어링 산업용·협동 로봇 유통·판매 공동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세종엔지니어링은 산업용 로봇, 자동 공급 장치, 자동 검사 장치 등을 취급하는 엔지니어링 업체다. 자동화 시스템 설계와 로봇 치팅 분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브릴스는 세종엔지니어링의 이같은 역량과 폭넓은 네트워크에 주목해 경남·경북 지역 공식 대리점으로 지정했다. 세종엔지니어링은 앞으로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 유통·판매를 맡게 됐다. 아울러 세종엔지니어링은 브릴스의 산업용·협동 로봇 제품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자동화 기술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자동 검사기, 머신탠딩, 빈 피킹 등 브릴스 로봇 기술을 접목해 고객 맞춤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브릴스도 세종엔지니어링을 거점 삼아, 경남·경북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자동화 통합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기존 로봇 제품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고객사 맞춤형 자동화를 구현한다는 방ㅊ미이다. 브릴스 측은 이를 통해 로봇 솔루션뿐만 아니라, 자체 로봇 제조 역량까지 강화해 산업 전반에서 자동화 혁신에 기
휴머노이드 외골격 로봇 ‘엑소모션(XoMotion)’ 시연해...이동성 장애인 지원 메시지 전달 베노티앤알 로봇 계열사 휴먼인모션로보틱스가 세계 상이군인 체육대회 ‘2025 인빅터스 게임(Invictus Games 2025)’ 현장에서 ‘엑소모션(XoMotion)’ 시연을 통한 메시지를 전했다. 인빅터스 게임은 부상·장애·질병 등을 겪은 군 복무자와 재향 군인을 위한 국제 멀티 스포츠 대회다. 지난달 16일 캐다나 벤쿠버·휘슬러에서 개막했다. 휴먼인모션로보틱스는 대회 주최 측의 공식 초청을 받아 폐막식에서 엑소모션 시연을 진행했다. 시연에는 실제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자, 엑소모션 홍보대사 클로이 앵거스(Chloë Angus)가 참석했다. 클로이는 폐회식에서 대형 대회 공식 깃발을 양손으로 잡고, 다른 이의 도움 없이 스스로 걸어가 대회 관계자에게 깃발을 전달했다. 엑소모션은 인간의 하체 관절을 닮은 12개의 액추에이터와 하이브리드 병렬 고관절 메커니즘이 적용된 휴머노이드 외골격 로봇 모델이다. 하체 장애인에게 이동성을 제공하고,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세대 웨어러블 로봇으로 주목받는다. 이 과정에서 지능형 소프트웨어가 탑재돼 인간·로봇 간 복잡한 상호
DJI Matrice 4D 및 4TD와 세트로 제공돼...드론 통한 24시간 원격 운영 지원 DJI가 차량에 탑재되는 드론 인 어 박스(Dron in a Box) 솔루션 ‘DJI Dock 3’를 출시했다. DJI Dock 3는 충전·관제 등 드론 운용을 지원하는 휴대용 드론 독(Dock)이다. DJI 차세대 드론 기체 ‘DJI Matrice 4D’와 ‘DJI Matrice 4TD’과 함께 구성됐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각종 환경에서 24시간 원격 운영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공공 안전, 긴급 대응, 인프라 점검 등을 지원한다. DJI Dock 3는 수평 보정 및 클라우드 기반 보정을 지원하며, 한 대의 차량에 두 대의 Dock을 동시에 배치 가능한 효율성을 갖췄다. 아울러 IP56 등급이 적용돼 우수한 방진·방수 성능을 제공한다. 또 예열 시 최고 50°C, 최저 -30°C까지의 온도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며, 충전까지 지원한다. 해당 독에 탑재되는 드론 두 종은 IP55 등급을 기반으로, 최대 전방 비행 시간 54분, 공중 정적 비행을 뜻하는 호버링(Hovering) 시간 최대 47분을 발휘한다. 양 드론은 광각·중간 망원·망원 등 카메라와 레이저 거리
협동로봇 특화 자동화 기술, 공압 기반 그리퍼 및 앤추에이터,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 등 개발 뉴로메카가 SMC와 협동로봇에 특화된 자동화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양사의 핵심 기술을 결합해, 협동로봇 환경에 최적화된 자동화 솔루션 개발을 목표한다. 구체적으로 협동로봇 특화 자동화 솔루션, 공압 기반 그리퍼·액츄에이터,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양사 네트워크 역량을 토대로 신규 판로를 개척한다. 뉴로메카는 SMC와의 협력을 통해 협동로봇과 자동화의 최적 결합을 이루는 혁신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로봇 기반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확장하고,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질 전망이다. 박종훈 뉴로메카 대표는 “이번 협력은 단순한 유통 계약을 넘어, 협동로봇 시장에서 자동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뉴로메카의 로봇 기술과 SMC의 자동화 노하우를 결합해 협동로봇 기반 자동화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사사히라 나오요시(Sasahira Naoyoshi) 한국SMC 사장은 “양사 협력을 통해 SMC 자동화 솔루션이 협동로봇 시장에
온 디바이스 기반 초경량화 LLM ‘시나AI’, 실시간 자율주행 경로 설계 ‘시나AI VLA V0’ 선봬 인천국제공항과 개념증명(PoC) 진행 중...“다중이용시설 내 로봇의 안전·효율 확보할 것” 인티그리트가 자체 개발 온 디바이스(On-Device) 기반 초경량화 거대언어모델(LLM) ‘시나AI 3b V1(SynaAI 3b V1)’을 공개했다. 여기에 실시간 자율주행 기술 ‘VLA(Vision Language Action)’ 플랫폼도 함께 발표했다. SynaAI 3b V1은 미국 메타(META)의 LLM ‘라마 3.2 3b’를 기반으로, 50만 건의 특정 데이터를 학습해 최적화한 한국어 전용 LLM 모델이다. 온 디바이스 AI 형태로 설계돼 별도의 네트워크 연결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공항·백화점·공공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보안성과 응답 속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인티그리트는 국내 공공장소 상업시설에 특화된 한국어 언어모델로 차별화를 꾀했다. 이를 위해 대형 백화점, 공공장소, 테마파크, 전시장 등 대규모 다중이용시설에서 사용되는 대화 응답 데이터셋(Dataset) 20만 건을 추가로 학습하고 최적화 과정을 거쳤다. 인티그리트는 앞선 12월 인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배재인 다쏘시스템코리아 CRE 본부장 인터뷰 컴퓨터지원설계(CAD)는 여전히 2차원(2D) 기반 제품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국내 생산·제조 매거진 ‘엠에프지(MFG)’는 제조·건설 등 업계 종사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여기서 2D CAD를 주로 활용한다는 응답자는 85.83%로, 이는 3D CAD 이용자 46.46%의 두 배 가까운 수치다. 중복 응답이 가능한 설문이었지만 수치상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이 배경에서 다쏘시스템 3D 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지난 1995년 출시 이후 ‘모두를 위한 3D CAD(3D CAD for Everybody)’를 슬로건으로, 지속적인 도전과 기회를 경험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 36만5000개 업체, 850만 유저가 솔리드웍스를 선택했다. 국내에서 솔리드웍스 브랜드를 담당하는 배재인 다쏘시스템코리아 CRE 본부장은 “2D CAD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됐기 때문에 그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여전히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며 “솔리드웍스는 버추얼 트윈(Virtual Twin)과 인공지능(AI)을 융합해 C
주문·납품 등 프로세스를 올인원으로...3D익스피리언스 내 솔루션으로 배치 “새로운 비즈니스 솔루션 탄생...솔리드웍스 존재감 확장에 기여할 것” 다쏘시스템이 구성·가격·견적(Configure·Price·Quote, CPQ)에 최적화된 ‘솔리드웍스 CPQ(SOLIDWORKS Configure, Price and Quote)'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리드웍스 CPQ는 제품 구성, 구조 탐색, 가용성, 가격 책정, 견적 도출 등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다쏘시스템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이하 3DX)’ 구성요소로 포함된다. 해당 솔루션은 AI 기반 '명령 예측기(Command Predictor)'와 '설계 도면 자동 생성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업무 효율 극대화에 기여한다. 다쏘시스템 관계자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버추얼 트윈, 가상 디자인 동반자(Virtual Companion), 생성형 경험(Generative Experiences) 등 다쏘시스템의 비전과 함께한다. 각 디자인팀은 3D익스피리언스 내 버추얼 트윈에 ‘제품 구성 가능성 규칙’을 연결하면, 솔리드웍스 CPQ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품 선택, 구조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산업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Karim Rashid)’, 기조 연설 및 간담회서 언급해 컴퓨터지원설계(CAD) 기술은 2차원(2D) 도면 형태로 시작했다. 이후 3차원(3D) 모델까지 소화 가능한 형태로 진화하며 다양한 산업에 디자인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다쏘시스템 3D 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이 과정을 가속화한 기술로 활약했다. 솔리드웍스는 2D 기반이던 CAD 프로그램을 3D로 바꾼 최초의 3D파라메트릭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주목받았다. 특히 운영체제(OS)를 리눅스로 활용했던 CAD 업계에 윈도우 기반 프로그램으로 등장해 변혁을 주도했다.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 솔리드웍스는 수많은 레퍼런스를 양산하며 설계 분야에서 여전한 존재감을 발휘 중이다. 특히 솔리드웍스는 산업 군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설계가 가능해 확장성이 확보됐다. 이달 23일 미국 텍사스주 시카고에서 진행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서 이를 경험한 증인을 만났다. 세계 3대 산업 디자이너로 평가받는 ‘카림 라시드(Karim Rashid)’는 1세대부터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내 차세대 방법론 ‘3D 유니버스(3D UNIV+RSES)’와 비전 프로 통합 다쏘시스템이 애플과 협력해 증강현실(AR)기기 ‘애플 비전 프로(Apple Vision Pro)에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플랫폼을 통합하기로 했다. 다쏘시스템은 3D익스피리언스 기반 ‘3D 유니버스(3D UNIV+RSES)’에서 비전 프로를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3D 유니버스는 다쏘시스템이 최근 발표한 차세대 기술로, 현실과 가상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현실 데이터가 가상에서 끝없이 연동되는 기법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3DLive’ 비전 OS 애플리케이션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에서 생성된 가상 공간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환경에서 현상을 시각화하는 데 창구 역할을 한다. 올해 여름경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때 카메라·센서·추적 기능 등 비전 프로에 탑재된 요소와 3D 유니버스에서 구현된 모습이 상호작용하게 된다. 엘리사 프리스너(Elisa Prisner) 다쏘시스템 기업 전략 및 플랫폼 혁신 담당 수석 부사장 “애플과의 이번 협력은 3D 유니버스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 협력 관계는 거대하고 고도로 다각화된 고객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생성·경험·재생’ 순환형 경제모델로 지속가능성에 다다른다 버추얼 트윈, AI 융합한 ‘3D 유니버스’, “솔리드웍스 진화에 핵심” 3차원 컴퓨터지원설계(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지난 1995년 출시된 이후 30주년을 맞아 또 다른 혁신을 입었다. 이른바 ‘생성형 경제(Generative Economy)’를 비전을 배치한 다쏘시스템의 차세대 전략 덕분이다. 생성형 경제는 경험 경제(Experience Economy)와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를 통합한 것으로, 다쏘시스템의 핵심 DNA인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그리고 ‘인공지능(AI)’이 융합된 개념이다. 여기서 버추얼 트윈은 현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단계까지 지원하는 상위 버전이다. 다시 생성형 경제는 제조·소비·폐기로 사이클이 끝나는 기존 시스템에서 생성·경험·재생이 순환되는 형태로 구축된 모델이다. 쉽게 말해, 산업·사회에서 축적한 이점을 다시 환원해 선순환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이달 23일(현지시간) 개막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콜드스냅·불워크모빌리티·원휠 등 솔리드웍스 기반 혁신 스타트업 선정 “스타트업은 협업·창의성·기술 통한 진보의 산실” 스타트업이 현시대 차세대 기반으로 각광받고 있다. 각자의 경쟁력을 통해 미래 가능성을 점친다는 점에서 혁신의 척도로 인식된다. 각국은 국가 차원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속속 펴는 중이다. 시뮬레이션 및 3D 설계 솔루션 업체 다쏘시스템은 미래향 가치 육성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3D익스피리언스랩(3DEXPERIENCE LAB)을 통해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 2만5000여 개 스타트업이 다쏘시스템의 육성 정책을 거쳐갔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개막한 생태계 축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는 다쏘시스템 기술로 혁신을 달성한 스타트업이 선정됐다. 수칫 제인(Suchit Jain) 다쏘시스템 전략 및 지즈니스 개발 부사장은 행사 첫날 열린 기조 세션에서 “현재 다쏘시스템 커뮤니티에는 전 세계 800만 명이 넘는 인재가 활동하고 있다. 여기에는 ·디자이너·엔지니어·학생·기업가 등 다양하게
쿠카 개방형 협업 플랫폼 ‘모자이크엑스’에 3D익스피리언스 포함돼...소프트웨어 혁신 가속화 “가상 공간에서의 로봇 자동화 혁신” 다쏘시스템이 산업용 로봇 솔루션 업체 쿠카와 협업한다. 앞으로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는 쿠카 개방형 디지털 협업 플랫폼 ‘모자이크엑스(mosaixx)’에 내재화돼 각종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행사장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시스템통합(SI) 주체와 엔지니어 사이의 기술적 간극을 좁히기 위해 협업의 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양 이해관계는 현장·공정을 최적화하는 가상의 생태계에서 엔지니어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D익스피리언스는 가상 공간 ‘버추얼 트윈’ 환경에서 설계·테스트·시뮬레이션·엔지니어링 등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모자이크엑스 안에서 엔지니어링 협업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퀴린 고어츠(Quirin Goerz) 쿠카 디지털 CEO는 "다쏘시스템의 버추얼 트윈 기술을 통해 모자이크엑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엔지니어는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시뮬레이션과 분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설계부터 공급망·운영까지 새 시대 발표...‘지능·몰입형 경험’ 강조 “3D 디자인 지평 연 솔리드웍스, 직관적 기능 극대화해 더욱 강해질 것” 생성형 AI 기반 에이전트 ‘아우라(AURA)’ 공개도 다쏘시스템 3차원 컴퓨터지원설계(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가 출범 후 올해 30주년을 맞았다. 지난 1995년 출시된 솔리드웍스는 PC 기반 설계 시스템의 지평을 연 기술로 주목받았다. 이를 통해 설계 분야 진입장벽을 낮췄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편리한 활용성을 보장했다. 이러한 솔리드웍스가 ‘제2의 전성기’를 열 모양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서 솔리드웍스 혁신 로드맵이 발표됐다. 이날 오프닝 세션을 맡은 마니쉬 쿠마(Manishi Kumar)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CEO 겸 R&D 부사장은 “솔리드웍스는 그동안 접근하기 쉽우면서도 저렴한 CAD 소프트웨어로 업계에 군림해왔다”며 “이러한 기조가 유지돼 최근 세대까지 그 특징을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행사
수칫 제인(Suchit Jain)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전략 및 비즈니스 개발 부문 부사장이 스타트업 대표단을 초청해 레퍼런스 사례를 소개했다.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가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3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3D익스피리언스·솔리드웍스 등 다쏘시스템 솔루션 커뮤니티와 산업계 관계자가 한데 모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반 혁신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행사 첫날에는 버나드 샬레Bernard Charlès) 회장,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솔리드웍스 CEO,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고객 역할 경험 담당 부사장 등 다쏘시스템 사단과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 등 다쏘시스템 파트너가 진행하는 오프닝 세션이 진행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솔리드웍스 CEO,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고객 역할 경험 담당 부사장 등 다쏘시스템 각 부문 리더가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의 서막을 알리는 제너럴 세션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3DXW가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3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3D익스피리언스·솔리드웍스 등 다쏘시스템 솔루션 커뮤니티와 산업계 관계자가 한데 모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반 혁신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행사 첫날 열린 오프닝세션에는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도 함께 등판해 행사 시작을 기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