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이 북미 신재생에너지와 데이터센터 시장을 동시에 겨냥하며 현지 전략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 회사는 차세대 ESS 플랫폼과 데이터센터 전용 배전 솔루션을 앞세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9월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신재생에너지 전시회 ‘RE+ 2025’와 13일부터 15일까지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전력산업 전시회 ‘NECA 2025’에 연이어 참가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ESS, 변압기, 직류 솔루션, 배전 제품 등 주요 전략 품목을 공개하고 현지 고객사와의 협력 기반을 넓힌다. ‘RE+ 2025’에서는 20부스(186㎡) 규모의 전시관을 열고 차세대 ESS 플랫폼, 초고압 변압기, DC 솔루션을 전시한다. 차세대 ESS 플랫폼은 LS일렉트릭이 전력전자와 모터제어 역량을 기반으로 독자 개발한 제품으로 전력변환 핵심 부품인 PEBB를 200kW 단위로 모듈화해 블록처럼 적층이 가능하다. 필요한 용량에 맞춰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모듈 단위의 독립 운전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현장 맞춤형 에너지 운용이 가능하다. 글로벌 ESS 시장은 2023년 44GWh에서 2030년 506GWh로 확대될 전망이다.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지난 1일부터 9월 5일까지 중국 장쑤성 화이안시에서 진행한 ‘2025 중국 장쑤성 화이안시 스마트제조 벤치마킹 연수’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연수는 중국 스마트제조 혁신 거점을 직접 확인하고 현지 기업 및 기관과 교류하기 위해 마련됐다. 화이안시는 중국 남북을 잇는 교통 요충지이자 대운하의 핵심 거점으로 오랫동안 ‘운하의 수도’로 불려왔다. 현재는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와 하이테크산업개발구 등 2대 핵심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첨단 인프라를 제공하며 글로벌 제조 기업을 유치하고 있어 스마트제조의 새로운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제조혁신협회는 이번 연수를 루커스인터네셔널과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총 14개 기업에서 18명의 임직원이 참가했다. 참가 기업들은 중국을 대표하는 스마트제조 기업들의 생산라인과 연구시설을 직접 둘러보고 현지 정부기관 및 산업단지 관계자와 네트워킹을 통해 맞춤형 밋업을 진행했다. 주요 방문지는 전기차 및 상용 전기 트럭 제조사 BYD, 크로마토그래피와 바이오 정제솔루션 장비 기업 Hanbon Science, 태양광 모듈 및 에너지 솔루션 제조사 트리나솔라 등이었다. 또한 1996년 화이안시에 진출한 한국타이어와 외자기업
잡코리아가 AI 기반 추천 기능을 고도화하고 서비스 UI·UX를 전면 개편했다. 이번 개편은 구직자 프로필과 행동 패턴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해 개인화된 공고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지원 환경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잡코리아는 자체 개발한 AI 솔루션 '룹(LOOP Ai)'의 3가지 모델을 내재화해 추천 기능을 강화했다. 업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어 구인구직 데이터를 학습 가능한 강점을 살려 프로필·공고·행동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정합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구직자는 이력서뿐 아니라 관심 공고 설정, 클릭, 검색, 입사지원 등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추천을 받을 수 있다. 구직자에게는 5가지 테마의 AI 추천 공고 리스트가 제공된다. '합격 가능성이 높은 공고', '유사 직무·관심사 기반 공고', '직무별 TOP 랭킹', '최신 인기 공고 갓뜨공', '닮은꼴 유사 공고' 등이다. 이를 통해 개인화된 탐색 경험을 제공하고 지원 효율성을 높였다. UI·UX도 크게 개편됐다. 잡코리아 앱 메인 화면에 'AI 추천' 버튼을 신설했으며 제스처 방식의 '밀어서 지원하기' 기능을 도입해 원클릭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이력서 등록부터 입사 지원까지 절
세일즈포스가 한국을 포함한 24개국 CFO 26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CFO의 72%는 AI 에이전트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78%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AI 활용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CFO들은 AI를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닌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74%는 AI 에이전트가 비용 절감뿐 아니라 매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 답했으며 도입 기업의 평균 매출은 약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CFO들은 AI 예산의 25%를 에이전틱 AI에 투자하고 있으며 AI 에이전트가 위험 평가(74%), 재무 예측(58%), 비용 관리(54%) 등 주요 재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전 보수적인 입장을 보였던 CFO들의 태도도 크게 달라졌다. 과거 70%에 달했던 AI 기술 투자에 대한 신중한 시각은 4%로 줄어들었으며 전체 CFO의 56%가 AI 투자 전략에 자신감을 보였다. ROI 평가 기준으로는 비용 절감, 리스크 및 규정 준수 개선, 매출 성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사이냅소프트가 자사의 대표 제품인 ‘사이냅 문서뷰어’가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과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영역으로 활용이 확대되며 LLM 서비스에서 근거 확인을 위한 필수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생성형 AI와 LLM이 업무 환경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AI가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 확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LLM이 답변과 함께 참조 문서나 출처를 제시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사용자가 해당 근거 문서를 빠르게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사이냅 문서뷰어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며 AI 시대의 새로운 핵심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사이냅 문서뷰어는 웹사이트 문서 열람 솔루션에서 출발해 현재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핵심 정보 시스템 전반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LLM 시스템과 연동해 근거 문서 확인 기능을 강화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의 신뢰성과 업무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ECM 시스템에서는 계약서, 기술 문서, 규정 등 기업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LLM이 참조한 특정 페이지나 단락을 즉시
노조미 네트웍스(Nozomi Networks)가 포레스터 웨이브(Forrester Wave): IoT 보안 솔루션, 2025년 3분기 보고서에서 리더(Leader)로 선정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노조미 네트웍스는 Current Offering(현재 제공) 부문에서 평가 대상 업체 중 최고 점수를 기록했으며 Strategy(전략) 부문에서도 최고 점수를 획득했다. 포레스터는 이번 보고서에서 총 23개 기준에 따라 9개 주요 IoT 보안 공급업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노조미 네트웍스는 장치 식별 및 분류, IoT 인프라 위험 관리, 네트워크 위협 모니터링, 장치 위협 모니터링, 장치 구성 모니터링 및 관리, 위협 인텔리전스, AI 기능, 비전, 로드맵, 가격 책정 유연성 및 투명성, 지원 서비스 및 제품 등 11개 항목에서 만점(5점)을 받았다. 보고서는 "노조미의 모든 디지털 자산 보호 접근 방식은 IoT 보안을 조직 내 우선순위로 삼고자 하는 고객에게 가장 적합하며, 단순히 엔드포인트 보안의 한 부문에 그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포레스터는 노조미 네트웍스의 차별화된 IoT 자산 검색 기능을 강조했다. 빌딩 관리 시스템 프로토콜을 포함해 Wi-Fi, 블루
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은 검사, 안전 관리, 운영 최적화 등 전 영역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학습하며 반복되는 단순 업무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복잡한 의사결정까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생산 품질 향상, 비용 절감, 안전성 강화라는 가시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다. 소리 분석 기반 검사에서는 정확도와 속도의 부족이 지적되고 대규모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체계는 기존 감시 장비에 의존해 사각지대와 대응 지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플랜트와 제조업에서 쏟아지는 방대한 운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생산성과 의사결정 속도가 저하되는 상황도 빈번하다. 이러한 제약은 곧 비용 손실과 안전 리스크로 이어지며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번 웨비나는 디플리, 위드로봇, 오픈컨트롤이 제안하는 AI 기반 검사·안전·운영 혁신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각 기업은 실제 현장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자사 기술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하며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산업 AI가 가져올 실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AI 청각 검사 기술을 통한 품질 관리
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은 검사, 안전 관리, 운영 최적화 등 전 영역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학습하며 반복되는 단순 업무를 자동화하는 동시에 복잡한 의사결정까지 지원한다. 이를 통해 생산 품질 향상, 비용 절감, 안전성 강화라는 가시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여전히 한계를 지니고 있다. 소리 분석 기반 검사에서는 정확도와 속도의 부족이 지적되고 대규모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체계는 기존 감시 장비에 의존해 사각지대와 대응 지연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플랜트와 제조업에서 쏟아지는 방대한 운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생산성과 의사결정 속도가 저하되는 상황도 빈번하다. 이러한 제약은 곧 비용 손실과 안전 리스크로 이어지며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번 웨비나는 디플리, 위드로봇, 오픈컨트롤이 제안하는 AI 기반 검사·안전·운영 혁신 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각 기업은 실제 현장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자사 기술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하며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산업 AI가 가져올 실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AI 청각 검사 기술을 통한 품질 관리
원프레딕트가 ‘AI 팩토리 회사’라는 새로운 브랜드 태그라인을 내걸고 차세대 산업AI 플랫폼을 선보였다. 원프레딕트는 9월 3일부터 5일까지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 참가해 주력 솔루션과 산업AI 운영체제를 공개한다. 이번 전시는 자율제조AI 전문기업으로 공식 포지셔닝하는 첫 무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전시에서 공개된 핵심은 산업AI 운영체제 ‘AI 팩토리 OS’와 이를 구성하는 제조데이터 플랫폼 ‘cyclone’, 설비·공정 단위 성능 관리 플랫폼 ‘가디원 pdx’다. cyclone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정제·관리하는 기반 플랫폼으로 데이터 자산화와 AI 모델 운영을 지원한다. 가디원 pdx는 설비와 공정 전반의 상태를 진단·예측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과 품질예측(Predictive Quality)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이미 검증된 바 있다. 원프레딕트는 AI 팩토리 OS를 통해 단일 장비 모니터링을 넘어 공장 전체를 아우르는 지능형 운영체제를 제공한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cyclone과 pdx가 이 플랫폼의 핵심
몽고DB(MongoDB)가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베이스 현대화 전략과 주요 고객 사례를 공개했다. 지난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몽고DB 닷로컬 서울(MongoDB.local Seoul)’ 행사와 함께 진행된 미디어 브리핑에서 몽고DB는 최신 기술 동향과 국내외 도입 사례를 공유하며 기업들의 비즈니스 현대화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21개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는 몽고DB 연례 기술 교류의 일환으로 서울은 아시아 지역 핵심 무대로 꼽혔다. 기조연설을 맡은 톨스튼 발터(Thorsten Walther) 몽고DB CXO 어드바이저 매니징 디렉터는 AI가 불러올 산업 전반의 변화와 이에 대응한 데이터베이스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AI는 모든 것을 바꾸고 있으며 특히 개발자에게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5만여 고객들이 공통으로 직면한 과제는 세 가지다. 더 빠른 개발, 복잡성 없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그리고 기술 부채를 청산하는 현대화의 시급성”이라며 “몽고DB는 이러한 과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발터 디렉터는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며 “오라클에서 포스트그레
인섹시큐리티가 오픈소스 공급망 공격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인섹시큐리티는 옵스왓(OPSWAT)의 최근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오픈소스 및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공급망 보안 위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주요 인프라 보호 분야 글로벌 기업 옵스왓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다.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은 npm, GitHub 같은 오픈소스 저장소에서 다수의 패키지를 가져와 조립하는 방식이 일반화됐다. 이러한 의존성이 늘어나면서 악성 코드가 삽입된 패키지를 통해 연쇄 피해가 발생하는 공급망 공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ESLint 관련 오픈소스 패키지인 eslint-config-prettier가 공격에 악용된 사례가 확인됐다. ESLint는 전 세계 개발자가 자바스크립트 코드 품질 검사를 위해 주간 3100만 회 이상 다운로드하는 도구다. 단 한 번의 피싱 공격이 수백만 프로젝트에 파급 효과를 일으킨 셈이다. 공격은 npm 공식 메일을 사칭한 피싱 이메일에서 시작됐다. 해커는 유지보수 관리자의 액세스 토큰을 탈취한 뒤 악성 버전(8.10.1, 9.1.1, 10.1.6, 10.1.7)을 npm 레지스트리에 배포했다. 동일 관
이글루코퍼레이션과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기업 에브리존이 글로벌 안티랜섬웨어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양사는 3일 화이트디펜더(WhiteDefender)를 기반으로 한 보안 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이글루코퍼레이션의 하이브리드 XDR(Extended Detection & Response) 아키텍처와 에브리존의 100% 시그니처리스 안티랜섬웨어 솔루션 화이트디펜더를 결합해 랜섬웨어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XDR은 여러 보안 도메인과 데이터 소스를 통합해 위협을 탐지·대응하는 차세대 보안 체계로 기존 보안 인프라와 유연하게 연계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췄다. 이를 통해 조직은 사용자·계정·자산 전반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한 기능을 상황에 맞춰 선택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화이트디펜더는 행위 기반 탐지·차단 알고리즘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신·변종 랜섬웨어까지 실시간 차단하는 기술로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보안 인증을 획득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입증받았으며, 이번 협력으로 XDR과 통합됨에 따라 더 넓은 산업군에서 효과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할
오케스트로가 오는 4일 열리는 온라인 웨비나 ‘Beyond(脫) VMware 2025: 새로운 가상화 전략을 묻다’에서 자사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를 중심으로 한 전환 전략을 발표한다. 웨비나는 올쇼TV를 통해 생중계되며 VM웨어 전환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기술적 대안과 운영 해법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브로드컴의 VM웨어 인수 이후 가상화 환경은 기술, 운영, 라이선스 정책 전반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오케스트로는 ‘OKESTRO로 시작되는 beyond VMware’를 주제로, 콘트라베이스의 핵심 기능과 실제 전환 사례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 시나리오를 공개한다. 발표는 서영석 오케스트로 솔루션전략본부장이 맡아 35분간 진행한다. 콘트라베이스는 GPU 가상화, 스케줄링, 모니터링 등 AI 인프라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스케줄 기반 스냅샷 자동 생성, 가상머신 최적 배치, 호스트 유지보수 모드 등 운영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도 포함된다. 특히 운영 시스템 전환의 핵심인 마이그레이션 툴 ‘콘트라베이스 레가토(CONTRABASS-Legato)’는 CDP 기반 연속 복제를 통해 초단위 컷오버 기능을 제공하며 VM웨
카스퍼스키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급성장 중인 양자컴퓨팅이 기존 보안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을 지니고 있다며 선제적 대비를 촉구했다. 카스퍼스키는 3일 기자 발표를 통해 양자컴퓨팅의 양면성을 지적하며 정부·기업·연구기관이 포스트 양자 암호(PQC)로의 체계적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시아태평양은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인도, 대만, 호주 등이 앞장서며 양자컴퓨팅 도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금융, 제약, 스타트업 분야에서의 활용이 활발한 가운데, 시장은 지난해 3억9210만 달러에서 2032년 17억8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세르게이 로즈킨 카스퍼스키 META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 글로벌 연구분석팀장은 “이는 매우 고무적인 동시에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양자컴퓨팅은 혁신을 열 수 있지만 새로운 사이버 위협의 시대를 앞당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카스퍼스키는 가장 시급한 양자 보안 위협으로 세 가지를 지목했다. 첫째, ‘지금 저장하고, 나중에 해독(Store Now, Decrypt Later)’ 전략이다. 공격자가 현재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집해 두었다가 향후 양자컴퓨터로 해독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과거의 외교·금
에스투더블유(이하 S2W)가 국제형사경찰기구 인터폴(INTERPOL)과 자사의 보안 AI 플랫폼 ‘퀘이사(QUAXAR)’에 대한 3년 공급 재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S2W는 6년째 인터폴과 협력 관계를 이어가며 민관 공조를 기반으로 국제사회 안보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퀘이사는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기반으로 사이버 위협을 탐지·대응하는 CTI 솔루션이다. 내부 보안 체계로는 감지하기 어려운 외부 공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공격표면관리(ASM), 디지털위험보호(DRP), 위협인텔리전스(TI)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효율적이고 전방위적인 보안 관리가 가능하다. 출시 이후 인터폴뿐 아니라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 다수의 공공·정부기관과 국내외 대기업에 공급되며 범용성과 제품성을 인정받았다. S2W와 인터폴의 협력은 수사 공조와 정보 공유로 이어졌다. 2020년부터 S2W는 인터폴 사이버범죄국과 협력해 다크웹 인텔리전스를 제공했고 국제 랜섬웨어 조직인 ‘클롭(Cl0p)’, ‘콘티(Conti)’ 검거에 기여했다. 또한 제33회 파리 올림픽 기간에는 올림픽 관련 위협 분석 정보를 인터폴 합동수사팀(JTF)에 제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