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중국에 의존하는 이차전지 음극재 원료인 흑연과 반도체 등 제조 원료인 무수불산 국내 생산 기업에 한시적으로 보조금을 주기로 했다. 특히 이차전지 음극재 원료인 흑연의 경우 중국이 미중 전략경쟁 와중에 무기화 의도를 공공연히 드러내 그간 직접 보조금 성격의 지원에 신중하던 정부가 경제안보 차원의 결정을 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18일 필수 추가경정 예산안 설명 자료에서 “비축, 수입선 다변화가 어려운 고위험 경제안보 품목의 국내 생산 보조 사업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국내 생산 원가와 수입 단가와 차액을 올해부터 2년간 70% 한도에서 한시적으로 지원한다. 올해 신규 배정된 예산안은 146억 원이다. 정부는 지원 대상 품목으로 흑연과 무수불산을 대표적인 예로 제시했다. 흑연은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 재료지만 중국이 천연·인조 흑연에 걸쳐 세계 음극재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대부분 중국 기업에서 음극재를 조달하고, 부분적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에서 구매한다. 이차전지 신소재 사업을 그룹 차원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육성 중인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 소재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을 중심으로 탈중국 흑연 공급망 구축에 주력 중이다.
현재 포스코퓨처엠이 중국산 천연흑연 원료를 들여와 국내에서 음극재를 가공해 완제품을 만든다. 그룹 차원의 탈중국 음극재 공급망은 아프리카산 흑연 도입·가공 체계가 완결되는 2027년께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유일의 음극재 양산 업체인 포스코퓨처엠은 중국 경쟁 업체들의 밀어내기식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은 천연흑연 기반 음극재 완성품을 1㎏당 2달러대에 팔고 있는데 이는 포스코퓨처엠의 공급가보다 40∼50% 낮은 수준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중국 업체들의 음극재 판매 가격이 원재료 가격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어서 중국 정부 차원의 보조금이 없이는 유지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관측이 많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국내외 고객 주문 감소로 천연 흑연 기반 음극재를 생산하는 세종 공장의 가동률이 최근 30%대에 머물러 있다. 작년 포스코퓨처엠은 음극재 사업에서 수백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핵심 품목 공급망 안정 예산 중 국내 생산 비용을 보조하는 경제안보 품목 예시에 무수불산과 흑연이 포함돼 정부안대로 통과된다면 당사 음극재 사업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