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레터

[전자기술 뉴스레터] 반도체 규제│HBM│GTC 2025│트웰브랩스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5-09 16:07:11
  • 조회수 : 9
  • 추천수 : 0

미국의 대중규제, 누구에게 이득인가

최근 미국이 또 한 번의 강수를 뒀습니다.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대폭 강화하면서, 이제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H20’까지 중국행을 막은 건데요. 단순히 "중국에 팔지 마" 수준이 아니라,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 간 AI 패권 전쟁이 본격화한 겁니다. H20은 중국 수출을 염두에 두고 만든 엔비디아의 대응 카드였는데, 이마저도 미국 정부의 규제망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중국도 가만있지 않겠죠. 자국산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고, 틈새를 노리는 다른 국가·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건, 미국 내부에서도 "이러다 중국 기술 자립만 도와주는 거 아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AI 반도체는 더 이상 기술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외교·안보·무역 전선까지 확장된 글로벌 전장입니다. 
more
HBM3E 주도권 전쟁, 독주와 반격과 반등

AI 모델은 점점 더 커지고, 연산은 더 복잡해지고 있죠. 그만큼 메모리의 성능이 중요해지는 시점인데요. 바로 이 타이밍에 등장한 주인공이 있습니다. 이름하여 HBM3E. 최신 HBM의 진화판으로, 지금 AI 업계가 주목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HBM3E는 기존 HBM3보다 훨씬 더 빠르고, 더 많이 담을 수 있습니다.

대역폭은 높이고, 지연 시간은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까지 챙긴 이 녀석은 대규모 언어모델(LLM),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센터, 자율주행까지 AI가 필요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필수템으로 자리 잡을 준비 중이에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도 HBM3E 개발과 양산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more
GTC 2025, 추론 시대 앞당기는 엔비디아

AI 추론, 이제는 학습만큼이나 중요한 시대가 됐습니다. 대규모 언어모델(LLM)이 실제 서비스로 들어오면서, 효율적인 추론 인프라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죠. 이 지점에서 엔비디아가 다시 한 번 판을 흔들었습니다. GTC 2025에서 엔비디아는 차세대 추론 플랫폼 ‘블랙웰 울트라 AI 팩토리’와 오픈소스 추론 소프트웨어 ‘다이나모(Dynamo)’를 공개했는데요. 

블랙웰 울트라는 기존 GB200 NVL72 대비 1.5배 향상된 성능을 자랑하며, 추론 처리량과 정확도를 동시에 잡는 ‘TTS(Test-Time Scaling)’ 기술을 탑재했습니다. 그리고 핵심은 다이나모. 파이토치, 텐서RT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와 호환되며, GPU 자원을 자동으로 최적화해주는 스마트 라우팅·메모리 매니저·GPU 플래너까지 갖췄죠. 이건 단순한 추론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클라우드급 AI 운영 체계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more
[인터뷰] 멀티모달의 혁명

요즘 AI는 단순히 텍스트만 잘 처리해서는 부족하죠. 이미지는 물론이고, ‘영상’까지 제대로 이해해야 진짜 실력자 대접 받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주목받는 국내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이름하여 트웰브랩스(Twelve Labs). 이들은 영상 속 장면을 단순한 이미지의 나열로 보지 않습니다. 시간의 흐름, 맥락, 행동, 이벤트의 전개까지 영상 전체를 하나의 ‘이야기’로 이해하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죠.

실제로 캐나다 스포츠 구단 MLSE와 협업하며, 하이라이트 생성, 선수 분석, 콘텐츠 검색 등에서 AI의 영상 이해력이 얼마나 강력한 무기가 되는지 입증 중입니다. 특히 놀라운 건, 이렇게 정교한 영상 분석을 더 ‘가볍게’ 구현해냈다는 점. 그 덕에 기업 입장에선 더 빠르고 경제적인 AI 영상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어요. 트웰브랩스는 영상도 문맥으로 이해하는 시대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more
첨단이 제안하는 전자기술 솔루션

 

추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추천
* [전자기술 뉴스레터] 반도체 규제│HBM│GTC 2025│트웰브랩스 새글 관리자 2025/05/09 10 0
110 [자동화기술] 자율제조 핵심 기술 (1편) - 로봇이 산업 DX 미래다 새글 관리자 2025/05/07 29 0
109 [산업단지신문] 4월 주목해야 할 산업단지 소식만 모았습니다 관리자 2025/04/18 148 0
108 [자동화기술] AI와 업무 혁신, 그리고 기업의 대응전략 관리자 2025/04/14 159 0
107 [전자기술 뉴스레터] 초미세공정│TSMC│엣지AI│ST 관리자 2025/04/11 185 0
106 [헬로티레터] 4월의 소식│빅테크-딥시크-보안-트웰브랩스 관리자 2025/04/07 264 0
105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 바우머코리아, 센서·엔코더·비전 카메라 중심의 머신비전 솔루션 선보인다 김유주 2025/03/14 807 0
104 [전자기술 뉴스레터] 자체 개발 AI 칩 열풍 그리고 보법이 다른 엔비디아 속셈 관리자 2025/03/04 612 1
103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 미래 머신비전의 핵심은? ‘AI, 이커머스’ 관리자 2025/02/25 591 1
102 [전자기술 뉴스레터] CES가 가리키는 그곳에 ‘혁신과 미래’ 있었다 관리자 2025/02/19 373 0
101 [헬로티레터] 2025년 맞은 빅테크, 기술 및 투자 동향 알아보기 관리자 2025/02/18 456 0
100 [자동화기술] AW 2025 주목할 베스트 솔루션 (3편) 관리자 2025/02/13 293 0
99 [전자기술 뉴스레터] 격화하는 美中 반도체 전쟁, 딜레마 속 우리나라 산업 전망 관리자 2025/01/17 339 0
98 [자동화기술] 2025년 산업 자동화 전망과 업계 전략 관리자 2025/01/17 340 0
97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 머신비전 글로벌시장 확대 가속화…연평균 8.32% 성장 예측 관리자 2025/01/17 402 0
96 [헬로티레터] 일상으로 스며든 AI 에이전트, 본격 AGI 시대 도래하나 관리자 2025/01/17 359 0
95 [헬로티레터] 의심 없는 AI 투자 광풍, 내년에는 어떤 그래프 그릴까? 관리자 2024/12/02 491 0
94 [머신비전앤메트롤로지] 엠비젼, SWIR 조명 개발 성공으로 이목 집중 관리자 2024/11/25 430 1
93 [전자기술 뉴스레터] AI가 그리는 미래, 멀티모달 기술이 바꿀 산업 지형은? 관리자 2024/11/13 625 1
92 [자동화기술] 업계 전문가가 제안하는 맞춤형 디지털 제조 혁신 방안 관리자 2024/11/08 809 0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