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한자연, “美친환경 모빌리티 시장서 기회 잡으려면 맞춤형 전략 수립 필요...”

URL복사

[헬로티]


"친환경 정책 수립 및 이해관계 조율 등 장기적 안목으로 대응하는 한-미 산업협력체제를 구축해야"


바이든 정부에 들어서면서 미국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 강화의 일환으로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확대 가속화에 나섰다.(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의 친환경자동차 관련 정책 기조의 변화에 따라 정부와 국내 기업이 맞춤형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전현주 연구원은 8일 발표한 산업동향 보고서에서 미국이 자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구체화한 공급망 재편 및 일자리 유지 정책이 국내 기업에 기회인 동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미국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 대한 기회 요인을 살리고 위협요인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양자·다자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기업은 생산지를 고려한 공급망 구축과 생산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에 들어서면서 미국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 강화의 일환으로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확대 가속화에 나섰다.


미국 친환경차(HEV, PHEV, BEV) 판매량은 2020년 기준 세계 3위이며, 미국 내 친환경차 생산 비중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18년 3.7% → 2023년 13.7%, AutoForecast Solution)


바이든 정부의 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 정책은 국내 자동차업계에 기회이자 위험 요소


연구원은 미국의 핵심 소재 및 부품의 공급망 재편 검토로 인해 관련 부품기업 밸류체인에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 등 핵심 품목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맹국과 연계를 강화한다는 내용의 공급망 재검토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제조 원가가 낮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부품 의존도를 감소시켜야 하므로 품질, 비용, 수급을 고려한 공급업체 발굴이 필요하고, 이때 미국 시장 내 한국 기업의 비중을 높일 수 있는 반사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서 친환경 정책 및 이해관계 조율 등 장기적 안목으로 대응하는 한-미 산업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기업·연구소·대학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을 참여시켜 지속가능한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등을 통해 미국 중심 역내 공급망 편입을 유도하는 등, 양자 및 다자 협력체제를 활용한 정책·기술·연구 분야의 협력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또 미국 시장 공략과 국내 자동차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한 글로벌 밸류체인의 재검토 필요성도 강조했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미국 판매를 위해 생산지를 고려한 공급망 구축 및 생산 전략이 필요하며, 동반진출한 중소부품기업의 해외 고객 다변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하는 등 공급망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국내 기업들은 미국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진출 확대를 목표로 다각적 전략을 검토 중에 있다. 현대차를 비롯한 완성차 업체들은 내연기관 모델을 친환경차로 대체하고,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등 친환경차 경쟁력 제고에 열을 올리는 모양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전자와 같이 배터리, 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부품기업들은 전기차 시장 확대에 대응하고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미국 내 라인 증설을 적극 검토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