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산업동향

배너

스마트 혁명 중인 자동차·에너지·항공 산업

  • 등록 2012.08.07 14:20:29
URL복사

6대 IT 융합산업이 뜬다(Ⅰ)
스마트혁명중인자동차·에너지·항공산업

우리나라 IT 융합은 정부의 대표적인 IT 정책으로 지난 2008년 7월 발표한 ‘New IT 전략’과 2010년 7월부터 추진되고 있는 ‘IT융합 확산전략’ 등을 통해 자동차·조선·항공 등 일부 주력 산업 중심으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 정부는 이들 성과를 바탕으로 헬스케어ㆍ먹을거리 등 국민 생활 밀착형 분야로 확산하기 위해 IT 융합 2단계 확산전략을 관계 부처 합동으로 수립 중에 있다. 각 부문별 현황과 미래를 두 차례에 거쳐 집중 분석해 본다.

김유활 기자 (yhkim@hellot.net)

자동차 IT 융합
시장 선점 위해 자동차·IT 업체 합종연횡



자동차에 IT 기능이 통합되면서 자동차의 변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자동차 IT 융합기술인 텔레매틱스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가 본격 출시되며 시장 파이 확보를 위한 경쟁도 본궤도에 올랐다.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IT 기업은 서로의 기술을 연계한 스마트카 전략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스마트카 시장 선점을 위해 IT 업체와의 협력 관계 구축과 우군 확보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구글·애플 등 글로벌 IT 업체들도 자동차 관련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구글의 경우 지난해 무사고 무인자율주행 자동차의 20만 마일 시험 주행을 성공한 바 있다. 유럽에서는 도이체텔레콤, 삼성전자, 소니 에릭슨, BMW 등이 참여해 자동차-스마트폰-가전 간 효율적인 연동을 위한 표준인 웨비노스(webinos) 개발을 진행 중이다.
자동차와 IT 분야 스타 기업 간 합종연횡은 화려하다. GM은 모토롤라와 지난해 2월 4G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OnStar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그해 5월에는 구글과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으로 활용할 수 있는 OnStar 제공에 합의했다. 포드도 MS와 싱크와 음성인식·와이파이를 결합한 카 인포테인먼트 마이포드터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소니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차량용 정보 단말기의 공동 개발에 나섰다.
벤츠는 구글과 인터넷 지도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서치&센드를 S클래스와 CL클래스 쿠페에 장착했다. BMW도 구글과 내비게이션에 구글 검색 기능을 도입한 커넥티드 드라이브를 선뵀고 인텔과는 PC·팩스 등이 내장돼 이동 사무실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오피스카를 개발하고 있으며, RIM과도 블랙베리 등 스마트폰과 차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이밖에 폭스바겐은 구글과 3D 내비게이션을 개발하고, 애플과는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iCar를 준비 중이다. 도용타의 경우는 MS와 윈도 클라우드 애저 플랫폼을 활용해 텔레매틱스 응용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해 2월에는 멀티 미디어 시스템 엔튠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지난 2009년 삼성전자가 개발한 차량용 반도체를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KT와는 와이브로와 3G 이통망 등을 활용한 와이브로 자동차를 올해부터 생산하기로 했다. 현대는 또 보다폰과 지난해 3월 유럽 텔레매틱스에서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인피니온과는 자동차 맞춤형 반도를 공공 개발하기로 했다.
기아차도 MS와 차세대 오디오 시스템, 차량 정보 시스템, 내비게이션, 텔레매틱스를 개발하기로 했으며, SKT와는 음성인식과 원격 제어 등이 가능한 스마트카 개발을 타진하고 있다.
르노삼성의 경우도 SKT와 모바일 텔레매틱스(MVI)를 고급 차종에 접목해 올해 출시한다.
국내 관련 업계의 기술은 선진국과 짧게는 2년 길게는 5년 정도 수준 차를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이다. 차량 탑재용 텔레매틱스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이동통신 업체와 자동차 회사 간 긴밀한 연계를 통한 개발로 2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지능형 자동차 부품과 시스템은 선진 기술 대비 65~80% 수준, HVI(Human-Vehiclo Interface) 기술은 70% 수준, 증강현실 기반 HUD 정보 표출 기술은 초기 단계로 5년의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에너지 IT 융합
미래 ‘에너지 안보’ 핵심은 IT 융합이다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게 바로 에너지 IT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그러나 국내 에너지 IT 도입률은 저조하다. 실제 기업의 그린 IT 시스템 도입률은 1.6%로 나타날 정도. 대규모 투자비용도 그러려니와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검증도 부족한 실정이니 도입률은 낮을 수밖에 없다.
이 분야 공급 시장은 독일의 지멘스, 미국 하니웰, 일본 아즈빌 등 글로벌 기업의 독과점 형태를 띠고 있다. 다만, SKT·KT·삼성·LG·포스코 등 대기업의 경우, IT 기반 ESCO(에너지 절약 전문 기업) 시범 사업,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KMEG(마이크로 에너지 그리드) 사업 등 정부의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관계 전문가들은 그러나 중소 IT 기업이나 에너지 전문기업은 자금과 기술 등이 부족해 규모가 큰 목표 관리제 대상 기업 시장에 진출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의 프로젝트는 실제 참여 업체는 물론 효과 측면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 IT 기반 ESCO 시범 사업 일환인 산업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의 경우, 이노셈코리아가 평택에 있는 금호타이어 공장을 대상으로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추진했는데 연간 6%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였다. 삼성테크윈이 연세의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에서도 연간 12%의 에너지 절감률을 거뒀다.
기존 전력망에 IT를 접목한 에너지 효율 최적화 프로젝트인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는 총 2,395억 원을 투입, 지난 2009년 12월 시작돼 내년 5월까지 진행되는데 한전과 삼성 등 171개 업체가 참여해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이 사업이 마무리되면 본격적인 스마트그리드 확산이 가능해질 것이란 게 업계의 기대.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전기·열·가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KMEG는 코엑스·구로디지털단지 등 6개 지역과 미국·핀란드·러시아 등 8개 지역에 실증 단지를 선정해 마이크로 그리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출범한 이 프로젝트에는 삼성물산·KT·나라컨트롤·LG이노텍 등 56개 기관이 참여해, 오는 2014년 11월까지 총 4,414억 원을 투입한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클라우드 기반 저비용 에너지 관리 솔루션 개발, 에너지 다소비 산업 대상 에너지 효율화 실증 단지 조성, 기반 조성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이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선진국은 에너지+IT 전략을 국가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오바마 정부에서 원격 근무, 스마트 그리드를 중점 추진하고 있다. 원격 근무에 필요한 시설 구매, 통신비에 대해 최대 1200달러씩 세금을 감면해주고 있으며, 도입 기업 대상으로 최대 5만 달러의 법인세를 감면해주고, 스마트그리드에 45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버몬트 반도체 공장은 FEMS를 구축해 연간 51억kw를 절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EU는 오는 2020년까지 신재생 20% 확대, 온실가스 20% 감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기후 및 에너지 패키지 20-20-20’을 지난 2008년 합의했다. 또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건물 에너지 관리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재난과 에너지 부족 대응을 위해 에너지+IT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은 BEMS 보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호타시에는 에너지 부족과 재난에 대비한 마이크로 그리드를 확산하고 있다.

국방·항공 IT 융합
5,000억 달러 규모 NCW에 주목하라



세계의 국방기술은 IT를 활용해 전장 정보를 공유, 센서가 찾아낸 표적을 타격 수단에 빠르게 전달해 전투력을 증대시키는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NCW)으로 집중되고 있다.
NCW 구현의 핵심은 첨단 IT 기술을 국방 분야에 적용해 네트워크 중심전에 대비하는 동시에 무기체계와 항공 IT 기술의 국산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국가 안보 관련 IT 산업은 이처럼 우리나라뿐아니라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2015년까지 약 4,81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될 만큼 초대형이 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방사업은 5년 내지 15년의 중장기 계획에 의해 반영·시행돼 빠르게 변화하는 최신 IT 기술을 적용한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곤란하다. 군의 보안과 안전성 우선 관행으로 내부적인 연구개발에 의거한 기술·제품을 선호하며 방위산업의 기밀성에 따라 민간 기업은 장기 플랜에 대한 정부 접근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 현행 방위산업 업체 지정은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 장비 업체 위주로 이뤄진다. 미국이 군사 변혁의 핵심을 소프트웨어에 두는 것과 비교되는 지점이다.
일부 국산화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선진국과의 기술력 격차도 우리의 현주소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예컨대 항공기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 개발 지원 등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한 성과도 있지만 미국 등 선진국과 기술력 격차는 여전하다는 설명이다. 이들 전문가에 따르면 국내 항공 IT 융합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최대 59.5%, 기술 격차는 4.3년으로 여전히 취약하다.
정부는 이와 관련 국방 IT 사업에 박차를 가해 왔다. 국방부와 지식경제부는 지난 2007년 133억 원을 투입해 U-실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방위사업청은 지경부와 함께 2007년부터 올해까지 500억 원을 투입한 소프트웨어 플래그십 사업을 추진한다. 또 국방 분야 선도적 적용 사업에는 65억 원을 투입해 2004년 시작해 2009년 마무리했으며, 국방 내장형 SW 활성화 협력 사업을 통해 군 특화 기술개발 과제 16개를 도출시켰다. 85억 원 규모의 WBS 사업은 지난 2010년부터 올해까지 두 차례에 거쳐 진행됐고, 1999년부터 2009년까지 3,367억 원을 투입해 민군겸용 기술 사업이 추진됐다.
관련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국방 IT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방 수요와 연계된 국방 IT 융합시장 창출 방안 마련이 시급하고 입을 모은다. 이들은 또 핵심 기술 독자 개발 대상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개편하고 국산화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미국의 경우 고등연구계획국(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DARPA)에서 기술 기획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 I2O(Information Innova-tion Office), STO(Strategic Techno-logy Office) 등 6개 그룹에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전차와 차량사업부인 TACOM(Tank Automotive Command), 해군의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ONR(Office of Naval Research) 등 국방부 산하와 각군 산하에 자체 연구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