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기술연구원, 신축성 있는 배터리 옷에 인쇄하는 데 성공
-
전기연구원, 비접촉 자석 기반 반대회전 프로펠러 기술 개발
-
배터리 구동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열 인식 고전력 인버터 보드
-
IAR 시스템즈의 멀티코어 디버깅 방법
- 2022-02-08 14:30
- 오재준 IAR 시스템즈 매니저
-
새로운 10BASE-T1L 표준 - 무엇이 달라졌나?
- 2022-02-08 14:20
- 토마스 브랜드 ADI 선임 FAE
-
[전문가 칼럼] 산업 자동화 시대의 제조혁신 고도화
- 2022-02-03 10:57
- 크리스티나 우나루트
-
국내 연구진, 재난현장에서 사람 찾는 레이더 센서 개발
-
UNIST, ‘나트륨 전지’ 수명 치명타, 양극 소재 미세 뒤틀림 해법 찾았다
-
뜨거운 연기를 급속도로 식혀 기체 상태 먼지를 액체로 잡아낸다
-
IBS, 자이로스코프와 닮은 분자 기계 합성...크기 2.3nm, 초소형 ‘분자 로터’ 탄생
-
한국기계연구원, AI 기반 스마트 방역로봇 개발...사람과 한 공간 방역작업도 척척
-
KIST, 액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에 상응하는 고이온전도성 고체 전해질 개발
-
'수소 생산비용과 CO2 배출량 한 번에'...공정 평가모델 개발
-
신소재 적용한 태양전지, 대면적서 최고 효율...상용화 청신호
-
저가형 배터리 '에너지 밀도 문제' 해결한 양극재 기술 개발돼
-
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으로 전기·열 만드는 방음벽 개발
-
KERI, 학계로부터 전고체전지 상용화 기술 성과 '주목'
-
새로운 방식의 전도성 고분자 기반 전기화학 다이오드 소자 개발
-
UNIIST·원자력硏·서울대, 배터리 폭발 해결 열쇠...양극 내 산소 발생 현상 규명
-
폐PU를 새PU로 되살리는 친환경 기술 국내 최초 상용화
-
KAIST, 고무 형태 고분자 전해질 개발…한번에 800km 주행
-
KAIST, 엔비디아 GPU보다 7배 빠른 '홀리스틱 GNN' 개발
-
재료연구원-인하대, 다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섬유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