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겪는 질병 중엔 두통이 있다. 대개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이 나아지곤 하는데 약을 먹어도 지속적으로 두통이 있다면 ‘경추성 두통’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이들 전문의에 따르면 경추성 두통의 원인은 목 근육과 인대, 관절의 부정교합을 비롯한 디스크 등이 있는데, 주로 잘못된 자세가 원인이 되어 신체 불균형 및 디스크 질환이 나타나고, 이 때문에 경추성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오랜 시간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할 경우 편한 자세를 찾게 되고, 이때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오래 취해 체형의 틀어짐이 생기게 되는데, 목 근육뿐만 아니라 어깨 근육을 비롯한 전신 근육이 과도한 긴장을 겪어 이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목에 있는 근육이나 인대의 긴장 및 손상으로 인해 신경이 자극을 받는 경우에도 경추성 두통이 발생하기 쉬운데 두통과 함께 목, 어깨 통증이 찾아오거나 고개를 돌릴 때 통증, 안구 피로감, 충혈이 동반될 경우에도 이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인다.
또한 통증이 발생하는 쪽의 눈이 아프다거나, 시력이 감소하는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팔이나 손이 저리는 듯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하며,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목을 움직일 경우에 통증이 심해질 수도 있다.
서울통증의학과 박의석 원장은 “경추에서 발생된 문제이기 때문에 경추 치료가 이뤄져야 두통의 원인을 차단할 수 있는데, 척추 질환이나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지 살펴보는 게 필요하다”며 “문제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지만, 조기에 진단받고 적합한 조치가 이뤄진다면 도수치료와 같은 비수술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호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도수치료는 수술적 처치 없이 전문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통증이 있는 부위의 근골격 조직을 손으로 직접 만져서 자극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물리치료로 시행 전 체계적인 진단과 상담을 통해 경추 관절 및 주변 신경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박 원장은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해 척추질환의 진행을 예방한다면 경추성 두통을 바로잡을 수 있다. 틈틈이 스트레칭과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면서 “하루 종일 컴퓨터를 다루는 직장인이라면 모니터 높이를 자신의 눈높이 정도로 높여 경추근육의 긴장을 푸는 자세로 작업하고 책상, 의자 높이를 본인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