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연구팀, 광손실 30배 낮춘 고성능 광소자 칩 개발
-
KAIST 연구팀, 시간 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 기법 개발
-
KAIST, 차세대 플라스틱 생산 가능한 미생물 균주 개발
-
ROS1드라이버로 ADI 트라이나믹 모터컨트롤러 마스터하기
- 2025-03-18 23:18
- 아나로그디바이스
-
한번 충전으로 최대 1천㎞ 가는 배터리 개발 청신호 켜졌다
-
KAIST, 성능 7배 높은 저온·저압 암모니아 합성 촉매 개발
-
미분무 소화설비, 친환경 대안으로 주목…가스계 설비 대체 가능성 입증
-
경희대 연구팀, 배터리 충전속도·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
-
자율 제어 AI에 의한 화학 플랜트 에너지 절약 오퍼레이션
- 2025-03-09 12:31
- 코부치 케이이치로, 요꼬가와디지털주식회사 Enterprise AI 추진실
-
FEMS 기반 DR 대응 전력관리 솔루션 필요성
- 2025-03-09 10:15
- 심윤섭, ㈜쓰리뷰 지능화팀 책임
-
제4차 산업혁명 등 스마트 매뉴팩처링과 그 대응에 관하여
- 2025-03-09 10:02
- 미즈카미 키요시, 로봇 혁명·산업 IoT 이니셔티브 협의회(RRI) 산업 IoT 어드바이저
-
저전력, 산업용 모터 제어 위한 CANopen 프로토콜 고찰
- 2025-03-08 08:31
- 아툴 쿠마르, 아나로그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
“배터리 전극 곡률 바꾸면 성능 ↑” UNIST, 최적화 설계 제시
-
포항가속기연구소, 테라헤르츠 대역 광변조 기술 개발 성공
-
경희대 연구팀, EV 충전속도 개선한 천연흑연 음극소재 개발
-
KAIST, AI 이용해 효율 높인 차세대 아연공기전지 개발
-
KAIST, 스스로 가설 세워 검증하는 뇌 기반 AI 기술 개발
-
KAIST, ‘양자오류 수정 핵심 기술’ 3차원 양자얽힘 구조 구현
-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생체모방 신소재’ 개발
-
KAIST, 나노 구조 활용한 초경량·고강도 첨단 신소재 개발
-
UNIST, 해수전지 상용화 위한 고성능 촉매 개발
-
글로벌 ECAD 툴의 설계데이터 인터페이스 전문 EDA SW ‘interCAD’
- 2025-02-14 14:16
- ㈜캐드닉스 EDA팀
-
KAIST, 감정노동 근로자 정신건강 살피는 AI 기술 개발
-
KAIST, 마스크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