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연,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 활용한 마이크로파 주파수 빗 생성기술 개발
-
그린수소 생산시대 앞당길 수 있는 기술 국산화
-
-
일본 수출규제 '불소계 폴리이미드' 국산화...폴더블 디스플레이 적용 기대
-
나노크기 인공 지문 활용한 차세대 IoT 보안 원천기술 개발돼
-
그물망 구조의 전자피부 소자 세계 최초 개발...“장시간 부착해도 편하게 사용”
-
“열처리 없이 상온에서 유기태양전지 효율 10% 개선”
-
국내 연구진, 3,000회 측정 가능한 혈당센서 기술 개발
-
서울대 연구진, 세계 최초 기계결합 나노머신 구현
-
'차세대 에너지 변환' 고성능 프로토닉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
KAIST, AI 연합학습 속도 4.5배↑...“스마트폰 과부하 문제 해결”
-
IBM-TEL, 3D 적층기술 활용한 300mm 실리콘 웨이퍼 생산공정 개발
-
생기원, “나노섬유 정렬 기술로 수소연료전지 수명↑”
-
“기존 회로 대비 반도체 칩의 전력 소모 크게 줄여”
-
국내 연구진,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박막 개발
-
코로나19 사태 속 서비스 로봇 활용과 인터랙션 기술
- 2022-07-23 09:27
- 안도 타케시, 파나소닉 주식회사 로보틱스추진실
-
EtherNet/IP와 함께 장치 레벨 링을 사용하기 위한 지침
- 2022-07-23 09:07
- 조익영, ODVA KOREA 전무
-
국내 연구진, 빛으로 동작 ‘초방사 양자엔진’ 세계 첫 구현
-
친환경 태양전지, 불량 원인 꽉 잡아 발전 효율 높인다
-
퀀텀 방열, 반도체 패키징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
친환경 복사 냉각 소재 개발돼...“에너지 없이 건물·자동차 표면 냉각”
-
“발전소 질소산화물 78% 줄인다”...암모니아 혼소 기술 개발
-
국내 연구진, 슈퍼 태양전지 '내구성·효율' 잡는 다기능성 필름 개발
-
버추얼 트윈 기술이 하이테크 산업 ESG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