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ST, 차세대 연료전지 전해질 생산온도 낮춘 합성법 개발
-
ETRI “반도체 혁신 주도할 p형 반도체 소재 개발”
-
KAIST·네이버, LLM 상품 추천 성능 높이는 기술 개발
-
KIST-LG화학, CO₂ 전환기술 '전해질 범람' 막는 은 나노촉매 개발
-
KAIST “차세대 진청색 페로브스카이트 LED 불안정성 해결”
-
KAIST, 미생물 이용한 계란 대체물 개발 “비상식량 활용 가능”
-
KAIST “AI로 배터리 원소·충방전 상태 인식 성공”
-
훼스토 피에조 기술을 통한 생산 기술 혁신
- 2024-06-30 09:40
- 서문선·안성빈, 한국훼스토 엔지니어
-
IoT 인프라의 자동화
- 2024-06-29 11:26
- 힐셔(Hilscher)
-
태양광 발전이 대량 도입된 배전계통 전압 제어 과제와 대책
- 2024-06-29 11:17
- 이이오카 다이스케, 주부대학 공학부
-
VPP 비즈니스 실현에 필요한 애그리게이션 플랫폼
- 2024-06-29 11:00
- 요시무라 다이스케, 도쿄전력홀링스주식회사 지역에너지이노베이션 사업실 기술지원 그룹
-
[전문가 기고] 전기차 이후 시대로의 전환, 이미 시작됐나
- 2024-06-28 08:47
-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동남아시아 및 APJeC 지역 세일즈 부사장 크리스탄토 수리야다르마
-
KAIST, 챗GPT 활용해 소재 물성 예측하는 챗봇 시스템 개발
-
KAIST, 반도체 소자 열 활용한 컴퓨팅 기술 개발
-
KAIST, 마그논 오비탈 홀 효과로 반도체 발열문제 실마리
-
SK온, 리튬메탈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개발...상온 구동 가능
-
KAIST, ‘땀 포도당 수치 진단’ 웨어러블 기술 개발
-
에너지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촉매 기술 개발
-
KAIST, 잡아당겨도 고화질 유지하는 초박막 디스플레이 개발
-
KAIST, 실내조명 활용한 고감도 이산화질소 센서 개발
-
미세 전자 소자를 연결하는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 개발
-
전력계통 수급 조정·제어 개요
- 2024-06-02 10:33
- 아마노 히로유키, 전력중앙연구소
-
제조업에서 로봇의 눈이 필요한 이유와 시대적 흐름
- 2024-06-01 11:00
- 김병호, 픽잇코리아 대표이사
-
카본 뉴트럴이 요구하는 전력 시스템과 분산 리소스에 대한 기대
- 2024-06-01 09:46
- 이시이 히데오·하야시 야스히로, 와세다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