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크노트] 2024년 위치추적, 내비게이션, 타이밍(PNT) 산업 전망
- 2024-04-12 11:40
- 마커스 우스터 유블럭스 선임 디렉터
-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까지…시각화 솔루션 ‘제네시스 64’로 편리하게
-
디지털 트윈, 표준 개발·적용이 중요…APS 솔루션으로 스마트 제조 전환 돕는다
-
디지털 트윈은 빅데이터 관리 기술…지멘스 엑셀러레이터로 맞춤형 솔루션 제공
-
멀티센서 3차원 측정기에서 엔트리 모델의 가치
- 2024-04-12 09:07
- 쇼지 토모카즈, YKT(주) 계측기기 서포트 센터 과장
-
이더넷-APL 길라잡이(6)
- 2024-04-12 09:04
- 조익영 ODVA코리아 전무
-
KAIST, 수 초 만에 급속충전 가능한 소듐전지 개발
-
-
[기고] 안전한 세상을 위한 무선 기술의 진화
- 2024-04-09 16:46
- 노르딕 세미컨덕터 최수철 한국지사장
-
표준연, 6G 통신 안테나 성능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
KAIST,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항암 신약 개발
-
KIST, 에너지 저장능력 33배 높인 탄소나노튜브 섬유 개발
-
KAIST, 차세대 초저전력 상변화 메모리 소자 개발
-
UNIST 연구팀, 전고체 배터리 더 안전하게 활용 방법 찾아
-
KAIST 연구팀, 뉴로모픽 신경망으로 컴퓨팅 난제 해결
-
한국기술교육대 연구팀, 혁신적 고분자 나노복합체 센서 개발
-
KAIST, 제네바대와 화학물질 없이 식각하는 반도체 기술 개발
-
KAIST 연구팀, 신약 개발 앞당길 ‘화합물 생성 AI 기술’ 개발
-
시스템 파워 사이클링 위해 액티브 로우 출력으로 하이사이드 MOSFET 입력 스위치를 구동하는 방법
- 2024-03-19 17:39
- 아나로그디바이스
-
KAIST, 리튬 이차전지 에너지 밀도·안정성 높이는 용매 개발
-
국내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 향상 기술 개발
-
UNIST, 고분자 고체전해질 대량 생산법 개발
-
KAIST 연구팀, GPU 대규모 출력데이터 난제 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