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피 각질, 가려움, 뾰루지 등을 동반하는 지루성두피염은 만성화되기 쉬운 습진성 피부질환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증상이 점차 이마, 귀, 목 뒤쪽으로 퍼질 뿐 아니라 자칫하면 탈모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지루성두피염의 보여지는 증상만을 보고 이 질환을 단순한 위생과 연관 짓곤 한다. 그러나 지루성두피염은 잦은 두피자극, 진균 감염, 열 대사 장애, 불규칙한 생활습관, 스트레스와 같은 여러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발병하는 인체 질환이다.
고운결한의원 서초점 이종우 원장은 이와 관련 “다양한 자극원에 의해 인체 방어시스템인 면역체계가 교란되면 두피의 영양공급이나 순환 등에 이상이 생겨 다양한 염증이 만들어진다”며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에 국한된 것이 아닌 전반적인 인체 시스템를 확인하여 그에 어울리는 치료와 관리를 진행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지루성두피염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마다 차이나는 지루성두피염의 구체적인 부위나 증상, 원인 등에 대한 꼼꼼한 분석이 필요하다. 쿼드 더블 진단을 활용하여 환자마다 다른 생리적, 병리적 특성에 대해 자세하게 파악하면 그에 적합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처방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면역세포 활동을 증진시키고 원인을 해결하는 한약과 침/약침, 자율신경계를 회복시키고 혈 순환을 순조롭게 하는 순환치료, 두피가려움, 비듬, 염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외용치료까지 본인에게 어울리는 맞춤치료를 꾸준하게 병행해 나가면 체질이 건강하게 변화되어 지루성피부염 증상 또한 자연스럽게 개선된다.
무엇보다 두피가 예민해져 있는 상태이므로 평소 생활 속에서 과도하게 자극을 주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 머리를 감은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잘 말려주고, 모자나 헤어 제품의 사용은 최대한 줄이는 등 일상관리를 통해 두피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질환을 이겨내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넓게 보면 지루성피부염에 속해 두피지루성피부염으로도 불리는 지루성두피염. 섣부른 자가진단으로 방치하거나 남의 치료법을 따르는 것이 아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올바르게 벗어나야 한다.
최윤제 기자 (choi@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