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한포진은 땀이 많이 나는 여름에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기가 건조한 겨울철에도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다.
손발에 수포, 각질, 가려움 등을 동반하는 한포진은 발병 부위의 특성상 여러 가지 생활의 불편함을 불러오는데, 겨울형 한포진의 경우 피부가 점차 건조해지면서 균열이나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겨울형 한포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눈에 보이는 증상만을 보면 한포진을 단순한 피부 이상으로 여기기 쉬우나 한포진은 체내 불균형에 의해 생겨나는 면역성 질환으로 피부와 인체, 그리고 생활환경까지 꼼꼼하게 살펴 치료해야 한다.
피부 전문 한의사인 정민희 원장(고운결한의원 인천점)은 “한포진은 지속적인 피부자극이나 스트레스, 과로, 불면, 불규칙한 식습관 등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면서 발병하는 피부질환으로,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며 환자를 괴롭힐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포진 치료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한포진 환자 개개인마다 차이를 보이는 생리적, 병리적 특성에 대해 꼼꼼하게 분석해야 한다. 환자의 체질과 면역 상태, 염증 정도, 그리고 생활습관까지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면 오직 그 환자만을 위한 맞춤치료를 개별 처방하는 것이 가능해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수시로 병변 부위에 외용제를 바르거나 치료받기 어려운 환자들이라면 ‘한포진 손팩’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동백나무 겨우살이 추출물과 옥용산 추출물이 포함된 한포진 전용 손팩은 항염, 항균을 비롯한 가려움 완화, 상처치유 등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 보습에도 탁월하여 한포진을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과 더불어 적당한 운동, 휴식, 식이요법 등의 일상 관리를 병행하면 체질이 개선되어 흐트러진 면역체계를 바로잡고 피부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섣불리 한포진 물집이나 각질을 뜯었다가는 자칫 출혈이나 2차 감염으로 번질 수 있다. 방치하여 병을 키우지 말고 전문가를 찾아가 올바르게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윤제 기자 (choi@hello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