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충전소 69곳 늘리고 전기차 1만대 보급?...정부 '무리수'

2016.10.13 11:40:33

▲아이오닉 전기차 © News1 이석형 기자

 

올해 1만대 보급하겠다던 정부의 전기자동차 보급계획은 충분한 충전시설이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2400여대를 보급하는데 그치고 있다. 보급계획을 수립할 때 열악한 충전시설을 반영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자충수라는 지적이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전기자동차 등록대수는 8168대로 지난해보다 2401대 늘었다. 반면 전기차 충전소는 올해 늘어난 급속 충전소 69곳을 포함해 9월말 기준 1502곳이다. 1만2000개에 달하는 일반 주유소의 12.5%에 불과하다.

 

 

1502개의 공용 충전소 가운데 30분안에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소는 606곳뿐이다. 제주도에 있는 119곳을 제외하면 내륙에 있는 급속 충전소는 487곳이다. 고속도로와 국도변에 즐비하게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은 일반 주유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록 취약하다.

 

충전소가 전기차 보급의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아직까지 전기차 주행거리가 석유 자동차의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국산 전기차 가운데 현대자동차 아이오닉이 주행거리가 가장 긴 편이다. 아이오닉은 한번 충전으로 191km를 달린다. 그외 전기차는 140km 정도 달리면 충전해야 한다. 서울에서 대전까지도 못가는 거리다.

 

석유 자동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짧기 때문에 충전소 밀도는 일반 주유소보다 더 높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러다보니 전기차 판매율이 정부의 계획보다 훨씬 더딜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지난 6월 전기차 보급대수를 당초 목표인 8000대보다 늘려 1만대로 상향 조정하는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내놨다. 9월말까지 판매된 전기차는 4812대로, 올해 목표 1만대는커녕 당초 목표 8000대도 달성하기 어렵게 됐다.

 

전기차를 구매하겠다고 신청한 4812대도 올해안에 소비자에게 인도되기 어려워 전기차의 실제 보급률은 이의 절반에 그칠 전망이다. 신청대수 4812대 가운데 2411대가 미출고 상태다. 이전이 완료된 차량은 2401대뿐이라는 얘기다. 목표의 24% 수준이다.

 

미출고 차량이 절반에 이르는 까닭은 현대자동차 아이오닉의 공급이 늦어지고 있는 탓이다. 현대차는 생산된 아이오닉을 유럽에 우선 공급하다보니 국내 신청물량을 제때 맞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 12일 오후 현대차 고위 관계자와 비공개 회의를 가지고 대책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급속충전소를 전년대비 2배 수준인 1000기로 확충할 계획"이라며 "신규 충전소는 대형마트나 공영주차장 등 접근성 좋은 장소를 중심으로 구축하고 향후 전국 모든 고속도로에 충전기를 구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준섭 기자 (sman321@news1.kr)

 

뉴스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