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로티]
LG화학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확고한 일등 지위 구축을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2020년에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7조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현재까지 총 28개의 글로벌 자동차 업체로부터 82개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현재 누적 수주 금액이 36조원을 돌파했다. 수주 금액 중 2015년까지 발생한 누적 매출 약 2조원을 제외하면 수주 잔고는 34조원 수준이다. 특히, 올해 말부터 출시되는 2세대 전기차(300km이상 주행) 시장에서만 30조원 이상의 수주를 기록해 앞으로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18년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올해 1조2천억 원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3조7천억 원의 매출이 예상되며, 향후 2020년 7조원 등 연평균 55% 이상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LG화학 관계자는 “초기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의 경우 시장 여건이 미비해 수주 금액의 60~70%가 매출로 실현됐으나, 최근 전기차 시장 여건이 개선되면서 이 비율이 80~90% 수준까지 올라갔고, 프로젝트에 따라 추가 공급 요청 사례도 늘고 있다”며 “이를 고려했을 때 최소 약 30조원의 매출은 이미 확보한 셈으로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LG화학이 대규모 수주량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세계 최대 생산 능력을 갖추고, 50만대 이상의 전기차에 배터리를 납품하며 쌓은 노하우를 기반으로 원가 경쟁력은 물론 성능과 안전성 측면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경쟁력으로 인해 올해에도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배터리 인증 이슈가 있는 중국에서도 최근 수주를 기록하는 등 올해 중국에서만 총 3건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다.
LG화학은 이러한 대규모 수주 성과와 함께 차별화된 선제적 R&D를 통해 향후 현재 주행거리보다 2배 이상 갈 수 있고, 충전 시간도 20분 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 등을 통해 가격, 성능,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지속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3세대 전기차(500km 이상) 시장에서의 수주도 확실한 1위를 수성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실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대규모 3세대 전기차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고 있고, LG화학도 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앞으로 수주 금액은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배기가스 배출 및 연비 규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모델 개발 및 출시 시기를 앞당기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