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용접 신기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
-
UNIST, 대용량 수소 저장 상용화 가능성 연다
-
UNIST, 크기 1만배 키운 태양광 수소 생산 광전극 개발
-
전기자동차 위한 배터리 매니지먼트
- 2024-02-04 11:11
- 후쿠이 마사히로, 리츠메이칸대학
-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 제어 발전
- 2024-02-04 11:00
- 요시모토 칸타로, 도쿄전기대학 미래과학부 로봇․메카트로닉스학과
-
뇌의 시각 정보 처리의 심층 신경망 모델
- 2024-02-04 10:46
- 와타나베 에이지, 자연과학연구기구 기초생물학연구소
-
실제 산업 환경에 활용 가능한 TSN의 입증된 이점
- 2024-02-03 13:02
- 테오 라이, Moxa 글로벌 TSN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책임자 겸 제품 매니저
-
국내 연구진, 유기 전극 배터리 수명 향상법 개발
-
KAIST-포항공대, 양자 시뮬레이터로 ‘양자얽힘’ 관측 도전
-
UNIST, 세계 최고 공인인증효율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
KAIST 연구팀 ‘뼈 반창고’ 역할하는 신소재 개발
-
KAIST, 땀에도 강한 웨어러블 로봇 제어 센서 개발
-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ADI의 Trinamic 모션 제어 솔루션
- 2024-01-18 16:55
- 아나로그디바이스
-
국내 연구진,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성공
-
UNIST·KAIST 연구팀, 고효율·안정성 가진 수전해 촉매 개발
-
KAIST-현대자동차, 0.6초내 수소누출 감지하는 센서 개발
-
KAIST, 기억의 단위 ‘시냅스’ 구조 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
UNIST,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음극 중간층 삽입해 안정성↑
-
EtherNet/IP, On-Machine 센서로 이더넷-APL까지 가능한 프로토콜로 진화
- 2024-01-03 14:02
- 조익영 ODVA 코리아 전무
-
KAIST 연구팀, 결빙 방지 필름 코팅 기술 개발
-
인지 기능에 데이터 구동형 모델로 다가간다
- 2024-01-03 13:18
- 쿠리가와 토모키, 하코다테미래대학 복잡지능학과
-
인간 주의 선택을 예측하는 계산론적 모델과 뇌 시각 피질 대응
- 2024-01-03 11:35
- 와가쯔마 노부히코, 도호대학 이학부 정보과학과
-
KAIST, 쭉쭉 늘어나는 고성능 유기태양전지 개발
-
UNIST, AI 활용한 6G 통신 상용화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