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5년 3월 5주(3월 3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0.02% 상승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0.01% 하락했으며, 수도권은 0.03%, 서울은 0.11% 상승했고, 지방은 0.05%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0.11% 상승했고, 인천은 0.03% 하락했으며, 경기는 변동이 없었다. 서울 강북 14개 구는 성동구가 0.30%, 용산구가 0.20%, 마포구가 0.18%, 광진구가 0.13%, 종로구가 0.09% 상승했다. 강남 11개 구는 송파구가 0.28%, 강남구가 0.21%, 양천구가 0.20%, 영등포구가 0.16%, 서초구가 0.16% 상승했다.
인천에서는 미추홀구가 0.04%, 부평구가 0.03% 상승했지만, 연수구는 0.13%, 서구는 0.05%, 계양구는 0.02% 하락했다. 경기에서는 안성시가 0.19%, 김포시가 0.18%, 고양 일산동구가 0.17% 하락했지만, 과천시가 0.39%, 성남 수정구가 0.27%, 성남 분당구가 0.24%, 용인 수지구가 0.12% 상승했다.
지방에서는 5대 광역시가 0.06% 하락했고, 세종은 0.07% 하락했으며, 8개 도는 0.03% 하락했다. 대구는 북구가 0.14%, 수성구가 0.13%, 서구가 0.12% 하락했고, 대전은 중구가 0.11%, 유성구가 0.08%, 동구가 0.07% 하락했다. 세종은 고운·새롬·소담동 중대형 규모 위주로 하락했고, 경북은 구미시가 0.23%, 포항 북구가 0.16% 하락했다.
한편,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02% 상승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은 0.04% 상승했고, 서울은 0.05%, 인천은 0.01%, 경기는 0.03% 상승했다. 지방은 0.00%로 보합 전환되었다.
서울의 경우, 지역·단지별로 상승과 하락이 혼조세를 보였지만,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대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가 지속되고 매물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강북 14개 구에서는 성북구가 길음·정릉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 마포구, 도봉구는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 11개 구에서는 서초구가 서초·방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 송파구, 영등포구, 동작구는 상승했다.
인천은 서구와 연수구는 하락했으나, 미추홀구, 남동구, 동구는 상승하며 인천 전체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경기에서는 광명시와 이천시가 하락했지만, 과천시, 안양 동안구, 성남 분당구는 상승했다. 지방에서는 5대 광역시가 변동이 없었으며, 대전은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울산은 동구, 남구, 중구, 북구 등에서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세종은 다정·고운·대평동 및 조치원읍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를 유지했다. 강원도는 춘천시와 삼척시가 상승하며 보합세를 보였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