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슨 권 CSO "AI 인프라가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게 될 것" 강조
“AI는 전력망처럼 국가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다. 이에 한국은 실행력과 기술 기반 모두를 갖춘 국가다”
오픈AI 제이슨 권(Jason Kwon) 최고전략책임자(CSO)가 지난 25일 열린 'AI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날 그는 기조연설에서 AI 기술 발전 방향과 글로벌 전략, 그리고 한국 시장에서의 협업 방향에 대해 다양한 메시지를 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는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인공지능 국제 학술회의(AI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정부 정책의 연장선에서 기획됐으며, 해외와 국내 AI 기업이 한곳에 모여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고 AI 컴퓨팅 기반시설과 AI 모형의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였다.
이에제이슨 권 CSO가 실시간 영상으로 함께 했으며, AI위 분과위원장인 카이스트 오혜연 교수가 사회자로 참여해 좌담 형식의 기조연설로 진행됐다. 제이슨 권 CSO는 'Infrastructure is Destiny'라는 주제로 AI 컴퓨팅 기반시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모형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강력한 기반시설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행사는 오픈AI의 기술 진화 흐름부터 짚는 것으로 시작됐다. 제이슨 권은 GPT-4 Turbo 이후 오픈AI가 집중하고 있는 ‘추론형 모델’을 언급하며, 단순히 정답을 제공하는 단계를 넘어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모델 학습뿐 아니라 실시간 추론에서도 높은 연산 자원이 필요해질 것”이라며, AI 인프라가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멀티모달 통합 모델의 흐름도 소개됐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비디오를 모두 다룰 수 있는 통합형 모델이 로보틱스 등 물리 지능 분야까지 확장될 것으로 전망되며, 차기 GPT-5 모델에도 해당 기술이 적용될 계획임이 시사됐다.
AI 모델 전략에 대한 논의에서는 국가별 차별화 전략의 중요성이 제시됐다. 제이슨 권 CSO는 “모든 국가가 GPT급 모델을 만들 필요는 없다”며, 각국이 잘할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해 글로벌 AI 생태계 내에서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AI 인프라 구축, 특화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로컬 언어 최적화 전략 수립 등을 핵심 요소로 꼽았다. 특히 언어는 정체성과 연결되기에 로컬라이징 역량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시장에 대한 분석도 이어졌다. 제이슨 권은 “한국은 반도체 기술, 스타트업 실행력, 과학 기반 역량이 모두 뛰어난 국가”라며, 글로벌 AI 경쟁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오픈AI가 한국산업은행(KDB)과 AI 스타트업 육성 협력을 체결했으며, 카카오와도 기술 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개발 중인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AI 인프라의 필수 요소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행사의 마지막에는 AI 기술의 현지화 필요성과 공공 분야 활용 가능성이 제시됐다. 그는 “AI가 외부에서 수입된 기술이 아닌, 우리 기술로 인식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해당 국가 내의 개발자와 기업, 정부가 함께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은 공공과 민간의 AI 채택 속도가 매우 빠르다”며, 지난 몇 년간 방문했던 스타트업 행사와 공공 프로젝트 사례를 언급하며 인상 깊은 경험이었다고 전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